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힘의 가치

by 5기최지원기자B posted Oct 10, 2017 Views 114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creen Shot 2017-09-10 at 11.08.01 PM.png

[이미지 제공=세계2차대전연구회,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47,200,000명의 사상자, 세계 2차대전에서 기록한 수치이다. 세계 2차대전은 몇 년 전 대한민국의 총인구와도 맞먹는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여러 근현대학자는 20세기 초에 벌어진 두 개의 세계대전을 제국주의의 폐해와 인간의 이기심을 투영하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간주하고 있다. 세계 2차 대전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지만, 그 여파로 인하여 제국주의 시대에 지배를 받았던 많은 약소국은 아직도 침략당하기 전의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힘은 '개인이나 단체를 통제하고 강제적으로 따르게 할 수 있는 세력이나 권력'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권력이 어디서 나오는 것인지는 역사를 들여다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국가 간의 권력은 무력 혹은 경제력에서 생겨나는데, 여러 국가는 무력을 선택해 왔다. 전통적으로 신성로마제국, 오스만 제국, 몽골 제국 등이 무력으로 유지되어서 큰 번영을 누렸다. 그러나 위에 서술한 국가들은 강력한 무력과 광범위한 영향력 외에도 공통점이 있다. 위에 국가들은 건국자 혹은 전성기를 이끌었던 지도자의 사후에, 그를 대체할 지도자를 찾지 못하거나 후임 지도자가 전임 지도자에 능력에 미치지 못하여 멸망하거나 분열했다. 힘의 가치는 약자를 지키고 자국민을 위해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역사를 통해 배울 수 있다.


지난 9월 3일, 북한은 6차 핵실험을 감행했고 수소탄 개발에도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핵실험 이후 여러 국가는 전 세계적인 비핵화 추세에 역행하는 결정이라며 북한을 비난했으며, 무분별한 핵무기 개발에 큰 우려를 표명했다. 북한은 김일성,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한 이후 김정은 체제로 유지되고 있다. 2013년 김정은은 고모부인 장성택을 처형하며 내부분열의 징조를 보였다. 북한은 건국자와 계승자의 사망 이후, 군사력에 집중된 경제 정책과 그로 인한 민심 상실, 내부 분열과 권력의 약화, 그리고 외국과의 외교 단절을 선택했다. 북한과 김정은은 힘이 가진 가치를 망각한 체 멸국의 길을 걷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5기 최지원기자B]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163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007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3404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113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389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19883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531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2636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0954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109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755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709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19988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237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9473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8914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355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063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1514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2662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9527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684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8931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739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131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19889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2690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032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8779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0884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8886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19908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631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8810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255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023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268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286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0757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248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2951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5 이지원 25835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282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0688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030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0915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1924
9시 등교, 갈등의 기로에 있지만 보안한다면 최고의 효과 2014.09.25 김신형 26367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6477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5644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49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