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by 2기박정언기자 posted Sep 06, 2014 Views 273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 민주개혁 실천에 나선 경기교육감, 시작된 정책


SSI_20140826173615_V_99_20140827040708.j
▲ "88.9%에 다다른 정책 시행, 여전히 엇갈리는 의견들"
(사진 출처 : http://www.seoul.co.kr/)

민주 개혁을 꿈꾸는 진보적인 성향의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의 새로운 시도, 9시 등교제가 지난 25일 시작됐다.
경기도교육청이 추진한 이 제도에 도내 2250개 학교 중 2001개교가 참여하고 있다. 학생들에게 더 나은 수면권과 건강권을 보장하고자 도입된 9시 등교제에 대한 의견은 매우 다양하다. 학생의 기본적인 수면권과 건강권을 보장하고, 가족들과 여유롭게 아침식사를 하고 등교할 수 있어 이에 찬성하는 학부모들과 학생들도 많다. 경기도 'ㄷ'고등학교의 학생 박**양은 "장거리 등교를 하는 입장으로서 9시 등교는 대환영이다. 평소 6시 이전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젠 7시쯤 일어나도 되니 한결 마음이 놓이고 여유로워졌다." 고 전했다. 하지만 이에 맞서 학교현장의 현실과 맞벌이 부부의 고충을 고려하지 않고, 광범위한 의견수렴이 진행되지 않았다는 등 반발이 거세다. 학부모단체 공교육살리기학부모연합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정책을 중단하라"고 주장하고, 경기지역 통학버스를 운영하는 경기도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 학생통학 분과위원회도 자신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시위를 하고 있다. 이처럼 9시 등교에 대한 의견들이 학교의 담장을 넘어서고 있다. 
우리에게 새로운 과제가 생겼다. 바로 9시 등교제의 문제점과 후유증들을 감싸안고 나아갈 개선책을 생각해내고, 되도록이면 빠른 시일 내에 그 개선책을 현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다. 정책 실시의 당사자인 학생들과 교사들의 9시 등교에 대한 다양한 의견 속에 그 개선책이 숨어있다. 수업시간 수를 줄이는 것, 이것이 그 해답이다. 네덜란드의 학생들은 몇년 전 자발적으로 오후 4시까지의 의무수업을 원한다는 시위를 벌였고, 이 제도의 본보기인 독일은 오후 1시가 대부분의 학생들이 하교하는 시간이다. 그들의 대부분은 평소 자신의 일을 여유롭게 진행하며 행복한 학교생활을 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최 교사는 9시 등교가 학생들에게 오히려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차라리 수업시간 수를 조금이라도 줄여 학생들에게 자발적으로 무엇인가 해나갈 수 있는 시간을 보장해주는 것이 그들에게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9시 등교제를 가지고 '연목구어(緣木求漁)'하기 보다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교육청과 일선 교사, 학생들만 대상으로 볼 것이 아니라 9시 등교가 향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곳에 눈을 두어야 한다. 비록 도교육청이 정책의 효과와 문제점을 보고 시정을 한다고 했으나, 그를 파악하려면 적지 않은 시간이 소모된다. 지금 이 상태로는 '아침이 있는 삶'이 보장된 학생들 뿐만 아니라 이 제도로 인해 영향 받는 사람들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제도가 절실하다.


0918b7c25ac28583fcb9b46c78abb96a.JPG
▲ 9시 등교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의견

(대부분이 9시 등교에 찬성했고, 아침자습 시간이 없어진 것일 뿐, 끝나는 시간이 평소와 별 차이가 없어 좋아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KYP)
인턴기자 박정언 kylie3@naver.com

(경기=박정언 기자)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전송: mail@teenet.org - 다함께 만들어 나가는 청소년 비영리 기자단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329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148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4739
손학규 대선 출마 선언 “국민주권의 시대, 우리가 열어가야 할 미래” file 2017.03.19 황예슬 11760
세계 곳곳에서 열린 세월호 3주기 추모행사. 'Remember Sewol' 1 file 2017.04.16 김채원 11760
유명 브랜드의 고객 폭행 사건 2 file 2018.05.11 구희운 11773
‘생리대 발암물질’ 논란 속에서 방법은 ‘생리컵’ 인가? 4 file 2017.08.28 박지민 11774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폐지, 과연 올바른 해결책인 것인가? 2 file 2017.06.25 이지연 11778
이시종 충북지사 “청주 서문시장 삼겹살 거리 활성화될 것” file 2018.03.06 허기범 11779
빌 게이츠의 꿈, 원자력 발전소로 이룬다 file 2020.11.17 최준서 11783
강서구 PC방 살인사건, 100만이 분노하다 2 file 2018.10.26 김준수 11790
홍콩 시위, 소녀는 왜 싸늘한 시신으로 돌아왔나 file 2019.10.21 박채원 11791
영국 산업단지서 시신 39구 실린 화물 컨테이너 발견... file 2019.10.31 김지민 11793
5000년 함께 한 무궁화, 국화가 아니다? 2 file 2019.03.07 박은서 11795
청천 프로젝트: 한중 공동의 미세먼지 해결법 2 file 2017.05.24 임형수 11800
무한도전 '그 때 그 법안, 어디까지 진행됐어?' 2 file 2017.12.07 김하늘 11801
대구 '평화의소녀상' 희망을 달다 2 file 2017.03.29 김나현 11802
숫자를 통해 알아보는 대선 file 2017.04.24 백다미 11805
소년법, 폐지 vs 개정 file 2017.10.31 전세연 11806
노화? 제대로 알고 방지하자! 1 2019.01.08 이지은 11818
구글 클래스 접속 오류... 학생부터 교사까지 '일동 당황' file 2020.09.28 황수빈 11821
과연 우리가 사는 곳은 보안이 잘 지켜지고 있을까? file 2019.07.15 신여진 11824
에이즈 치료제를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에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file 2020.03.09 김서연 11826
낙태를 둘러싼 찬반대립, 무엇이 적절한가 file 2019.03.04 조아현 11831
"동해 vs. 일본해" IHO, 동해의 새로운 표기 방법은 이제부터 고유 식별 번호 file 2020.12.15 장예원 11840
비트코인, 엇갈리는 평가와 가치 file 2018.02.02 김민우 11841
북한의 폭진, 멈출 수는 없을까 3 2017.10.17 권서현 11846
그날의 기억 잊혀도 되는 걸까? 5 file 2018.04.20 강동준 11850
전술핵 재배치, 당신의 생각은? file 2017.10.13 윤정민 11857
Snapmaker 2.0 , 킥스타터에서 3D프린터의 틀을 깨다 2019.05.30 박진서 11859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 서버 오류 발생..네티즌들 “나만 안 되나” file 2018.05.18 디지털이슈팀 11883
역사상 첫 대통령 탄핵, 혼란은 이제 끝? 1 file 2017.03.11 김나림 11885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2018.01.15 서호연 11885
평창이 낳은 스타 file 2018.03.06 김동현 11892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1892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부의 불평등 2 file 2017.05.16 양현서 11896
'국가부도의 날'로 보는 언론의 중요성 3 2018.12.27 김민서 11898
매일 총소리가 울리는 땅, 시리아 1 file 2018.03.05 구희운 11908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1909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11918
해외, 국내의 #Metoo 운동, 차이점은? 1 file 2018.05.08 김세현 11922
페이스북 이용한 '개인정보 불법 유통' 근절 필요 file 2018.04.11 신진우 11924
국민의 힘은 과거나 현재나 모두 같다. 1 file 2017.03.19 신해인 11930
총기 규제에 대한 미국 내의 두 반응 file 2018.04.05 전병규 11939
모두의 은행, 블록체인 1 file 2019.07.02 봉하연 11951
동성애 차별금지법과 동성혼 허용 개헌을 반대하는 대학 청년 연대, 기자회견을 열다. 2 2017.08.12 박수빈 11952
"청정지역" 제주도, 그곳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2020.09.07 서보민 11961
세계 각국은 인플레이션 우려 중 file 2021.06.21 이강찬 11965
물가 하락, 디플레이션이라고? file 2019.09.17 박고은 11966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1970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19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