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소년법, 개정인가 유지인가?

by 5기정채빈기자 posted Oct 02, 2017 Views 1213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과 강릉 여중생 폭행 사건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소년법을 폐지하자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부산 사하구 여중생 폭행 사건은 부산 사하고의 여자중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여학생 2명이 2학년 여학생 1명을 2017 9 3일 무자비하게 폭행한 사건이다. 피의자 여학생 중 한 명이 아는 선배에게 피해 학생이 피를 흘리고 있는 사진을 보내고, 그 선배가 경찰에 신고하며 페이스북 사하구 페이지에 사진을 업로드하며 이 사건이 알려지게 되었다. 강릉 여중생 폭행 사건은 부산 사하구 여중생 폭행 사건이 논란이 되면서 수면 위로 올라온 사건이다. 이 사건은 2017 7 17일 새벽 3시경 여고생 6명이 여중생 한 명을 무차별적으로 폭행한 사건으로, 피해 학생은 전치 2주를 진단받았으며 현재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인해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포된 사진 속의 피해자들이 모두 상처로 가득했기 때문에 이 사건들은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두 사건의 가해 여학생들은 모두 피해자를 소주병, 철근 등으로 무차별 구타하였으며, 한 여중생이, ‘피 냄새가 좋다. 더 때리자.’라는 말을 했다는 증언이 나와 더욱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청소년, 아동 범죄가 사회에 큰 충격을 안긴 것은 이번일 뿐만이 아니다. 2017 3월의 인천 초등학생 살인사건, 2015 10월 용인 캣맘살인사건, 2015 7월 천안 여중생 집단 폭행 사건 등 다수의 강력 범죄가 청소년에 의해 자행되어 왔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떤 처벌을 받았을까? 인천 초등학생 살인 사건의 주범은 징역 20캣맘살인 사건은 처벌 없음, 천안 여중생 폭행 사건의 범인들은 최소 징역 2 6개월~최대 징역 6년을 선고받았다. 이들의 형이 이토록 낮은 것은 소년법이라는 법이 이들을 보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왜 이들은 최고 무기징역까지 선고받을 수 있는 강력범죄를 저질렀음에도 이토록 짧은 징역을 선고받은 것일까?

징역형을 선고하는 데에는 크게 두 가지 목적이 있다. 주목적은 범죄자의 교화이다. 징역을 사는 동안 여러 교육을 받고 통제를 받으며 범죄자를 교화시키는 것이 징역 선고의 주목적이다. 또 다른 목적은 사회로부터 범죄자를 격리시키는 것이다. 무기형이나 장기 복역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처벌은 범죄자로부터 교화의 기미가 보이지 않거나 교화가 매우 힘들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2, 3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범죄자를 격리할 때 사용된다. 청소년 범죄 중에서도 성인이 저지른 악질 범죄만큼, 또는 그보다 더욱 잔인해 보이는 사건이 있다. 하지만, 19세 미만의 청소년은 소년법으로 보호받고 있기 때문에 무기형 또는 장기 복역을 선고 했을 때 실제 형량은 20년을 넘지 못하고, 청소년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징역 5년 이후 가석방이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된 부산, 강릉에서의 여중생 폭행 사건이 불씨가 되어, 현재 시민들 사이에서는 소년법을 폐지하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청와대 홈페이지의 국민 청원 게시판에 게재된 소년법 폐지 청원에 서명한 사람은 9 5일 저녁 8시 현재 15만 명을 훌쩍 넘었다. 청원인은 소년법을 악용하는 청소년 범죄자들이 늘고 있다’, ‘본래 취지인 청소년의 교화와는 다르게 청소년 범죄자들이 자신이 미성년자임을 악용해 일반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성인보다 잔인한 범죄를 저지르고도 솜방망이 처벌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이야기하며 소년법의 폐지를 주장하였다. 청소년 범죄자의 재범률이 40%에 달한다는 사실이 재조명되면서 소년법을 폐지하자는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있다.

abdc24b88c7702b17fd8540cc5104597.jpg

[이미지 제공=청와대 홈페이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소년법이 청소년을 보호하는 이유는 청소년 처벌의 초점을 징벌이 아닌 개화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의 금태섭 의원은 청소년을 개화하는 것이 처벌의 주목적이 되어야 한다면서 시민들의 엄벌주의적 태도에 의문을 제기하며 소년법 개정을 반대하였지만, 표창원 의원은 소년법 개정에 앞장서고 있다. 이처럼 정치, 법조계 인사들의 의견 또한 분분한 만큼 소년법의 개정 여부가 궁금해진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5기 정채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이진하기자 2017.10.09 17:01
    피해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만큼 소년법이 어서 개정되는것이 우선인 것 같네요.. 좋은 기사 정말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570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355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6754
'학생을 위한' 수능 절대평가 과목 확대, 학생을 위한 것인가? 6 file 2017.08.24 도서영 12010
모두의 은행, 블록체인 1 file 2019.07.02 봉하연 12011
부산시 교육청 학생인권조례 제정 임박 file 2017.10.02 박상혁 12012
논란 속의 '페미니즘' 1 2018.04.18 이가영 12012
2018년, 최저임금 인상 5 file 2017.07.21 최현정 12034
헌법기관 vs 헌법기관... 아직 끝나지 않은 싸움 file 2017.03.21 박찬웅 12037
청소년들의 일상이 되어버린 SNS 2 file 2018.01.03 정유정 12043
2021년 최저임금 130원 인상된 8,720원 결정…역대 최저 인상률, 그 이유는? 1 file 2020.07.24 이민기 12045
무너지는 교사의 인권 2 file 2018.04.02 신화정 12060
이번 설날 연휴, 고속도로 정체가 발생한 이유는? 1 file 2019.02.20 권민성 12067
대한민국 공직사회...잇따른 과로사 file 2017.03.17 최시현 12106
"낙숫물이 댓돌을 뚫는다." 1 2018.09.27 유하은 12110
청소년들이 던져야 할 질문 하나, 과연 문명의 발전은 인류를 행복하게 해주었을까? 2 2019.01.11 임효주 12122
대통령의 경제공약, 어디까지 왔는가 file 2019.05.22 김의성 12126
유기질 폐기물이 에너지 자원으로? file 2019.02.28 서민석 12129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12131
사드, 그리고 각국의 시각 3 file 2017.03.22 김규리 12134
소년법, 개정인가 유지인가? 1 file 2017.10.02 5기정채빈기자 12137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기자단 단톡방에서 성차별적 표현 쓴 회원에 대해 경고조치 검토중” file 2017.08.16 디지털이슈팀 12139
영국 노딜 브렉시트와 유럽 회의주의의 파장 file 2020.12.15 박성재 12143
국공립 어린이집의 확대 file 2019.11.29 임소원 12145
최저임금 차등화, 불붙은 논쟁 1 file 2018.03.26 조현아 12149
우리가 쓰는 하나의 색안경, '빈곤 포르노' 1 file 2018.12.17 이지우 12151
끝까지 지켜보아야 할 세월호 인양 2 file 2017.03.07 김하늘 12152
살충제 계란 파동, 그 현황과 피해 1 file 2017.09.01 오수정 12153
날마다 변화하는 “매미나방의 피습” file 2019.08.05 김선우 12155
끝나지 않은 그들의 수라, 미제 사건 file 2017.03.18 최사라 12161
헌법재판소,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file 2019.05.28 김민준 12167
잇따르는 티베트 분신, 그러나 국제사회는 무관심... file 2018.03.02 박현규 12172
학폭위 이대로 당하고 있어야만 하나? 1 2019.01.29 김아랑 12172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바람 이뤄줄까 file 2017.05.25 서은주 12173
일본대사관 앞으로 날아든 노란 나비들 -제1294차 수요집회를 다녀와서 3 file 2017.08.07 홍정연 12174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 변동 1 2018.10.01 권나영 12177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file 2017.03.25 김주영 12180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아시나요? 2 file 2017.07.08 이가현 12188
그늘막 쉼터, 호응 얻고 있지만 아쉬움도 남아... 5 file 2017.08.08 박현규 12194
양산 폐교회 건물 인근에서 훼손된 사체 발견 file 2021.01.11 오경언 12194
유력 美 국방장관 후보 플러노이, '72시간 격침' 기고문서 군사 혁신 강조 3 file 2020.11.24 김도원 12205
아리아나 그란데, 맨체스터 아레나 공연 중 테러 7 file 2017.05.30 서주현 12213
여성 위생용품 생리대, 발암물질 또 검출 논란 4 file 2018.10.19 김수림 12213
안희정, 국민에게 사과 … 피해자에게는? file 2018.03.22 박소현 12219
우주로 나아가기 위한 한걸음, '인공 잎사귀'에 대하여 file 2019.04.15 전수이 12235
인천 물폭탄..심각해지는 자연재해 4 file 2017.08.16 조유림 12238
스마트폰 중독,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8.01 유재훈 12238
철원 자주포 사고, 2년 전과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다. 2 file 2017.09.05 권민주 12242
민주-보수 4당의 정치 구도, 향후 어떻게 전개될까 2 file 2018.01.31 양륜관 12253
대한민국 교육의 주체는 누구인가? 1 file 2018.07.13 강민지 12266
상업적 대리모 그리고 인간 존엄성 1 file 2020.05.06 임효주 122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