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갈색 지방, 지방이라고 다 같은 지방이 아니다!

by 5기박광천기자 posted Sep 22, 2017 Views 201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살을 빼는 갈색지방


현대인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무서운 질병은 무엇일까. 정답은 비만이다.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한 정의에 의하면, 비만이란 체내 지방량이 정상보다 많이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지방간, 담낭질환, 관상동맥질환(협심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수면무호흡증, 통풍, 골관절염, 월경 이상, 대장암, 유방암 등 다양한 합병증을 야기하기도 하며, 실제로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이미 1996년 비만을 질병으로 정의하였다.

하지만 모든 지방이 비만의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비만의 원인은 백색지방세포로 우리가 흔히 지방으로 간주하는 대부분이 여기에 속하며 백색지방이라고도 한다.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저장하는 백색지방과는 달리, 우리 몸에는 저장된 지방을 분해하며 열에너지를 방출시키는 갈색지방세포’(또는 갈색지방)베이지색지방세포’(또는 베이지색지방)도 함께 존재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여기서 말하는 지방이란 글리세린 한 분자에 지방산 3분자가 에스터(ester)결합을 이루고 있는 트라이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가 아닌, 에너지를 지방의 형태로 저장하는 지방 세포(lipocytes)를 지칭한다.

백색지방세포와 갈색지방세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함유량 차이다. 갈색지방세포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함유가 높아 갈색을 띠는 반면, 백색지방세포의 경우 미토콘드리아가 상대적으로 적어 흰색을 띤다. 베이지색지방의 경우, 초기에는 백색지방세포로 존재하나 특정 상황에서 베이지색지방으로 변해 갈색지방세포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발생단계에서 백색지방으로 분류된다.



갈색지방으로부터 비만의 해결을 찾다


갈색지방세포는 생물체 내 다른 세포에 비해 미토콘드리아 함유량이 높다.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는 세포질에서 생명체의 에너지 대사와 관련된 주요한 세포소기관으로, 해당 과정 후 만들어진 피루브산(pyruvate)으로부터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일어나는 TCA 회로(TricarboxylicAcid Cycle)를 통해 세포가 이용 가능한 에너지 저장 형태인 아데노신 삼인산(ATP, Adenosine triphosphate)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 함유량이 높은 세포는 에너지를 많이 만들어낸다고 추측할 수 있다. 실제로 물질의 생합성, 쓸개즙 생성 등 다양한 분비 물질을 합성하고 해독작용에 필요한 효소를 생산하는 간세포와 신체의 활발한 운동을 위해 에너지를 과량 소모하는 근세포의 경우 일반적인 체내 세포보다 더 많은 양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다.

미토콘드리아 외막을 통과할 수 있는 피루브산은 다양한 경로에 의해 얻을 수 있는데, 탄수화물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해당 과정 이외에도 아미노산의 분해와 지방산의 β-산화가 포함된다. 갈색지방세포가 저장된 지방을 원료로 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이유 역시 이와 관련되어 있다.


b13f543a1d136ad0eb1ed856003f49f7.PNG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전자전달계와 산화적 인산화 과정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박광천기자]


특이하게도, 갈색지방세포에서 생성되는 ATP의 양은 미토콘드리아 함유량이 높은 다른 세포들에 비해 낮은데, 이는 갈색지방이 비만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결정적 근거로 작용한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에는 피루브산 산화부터 TCA 회로까지 세포 호흡이 진행되며 발생한 호흡 산물인 NADHFADHATP의 형태로 전환시키는 전자전달계가 존재한다. NADHFADH가 산화되며 전달된 고에너지 전자는 전자전달계의 단백질들을 환원시키며 에너지를 전달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전자수용체인 산소에게 전달되어 물 분자를 형성한다. 고에너지 전자를 얻어 활성화된 전자전달계의 단백질들은 미토콘드리아 기질의 수소 이온을 수소 이온의 농도가 높은 미토콘드리아 외막과 내막 사이의 공간(막간강)으로 능동 수송한다. 수송된 수소 이온(양성자)ATP 합성효소(ATPase)를 통해 상대적으로 수소 이온 농도가 낮은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농도 차에 따라 이동하면서 발생한 에너지로 ATP를 합성하게 된다.

갈색지방세포가 어떠한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면 UCP-1이라는 짝풀림 단백질(uncoupling protein)을 합성하게 되는데, 이 짝풀림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으로 이동하여 통로 단백질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ATP 합성효소를 통해 이동해야 할 상당량의 수소 이온이 통로 단백질을 통하여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유출되며 미토콘드리아 막간강과 기질의 수소 이온 농도 기울기는 파괴된다. 결론적으로 UCP-1이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에서는 동일한 양의 호흡 산물로부터 적은 양의 ATP가 합성되게 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갈색지방세포는 정상 세포에 비해 같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 더 많은 지방을 태우게 된다. 태아의 체온 유지와 강낭콩을 비롯한 콩과 식물의 발아 시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갈색지방세포의 에너지 생성의 대표적인 결과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갈색지방세포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을까. 2013년 노르웨이 오슬로대 연구팀은 사람에게 있어 운동이 갈색지방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운동을 하면 체내 UCP-1 발현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결국, 운동을 지속할수록 갈색지방세포 외에 백색지방세포와 베이지색지방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 UCP-1 농도를 증가시켜 갈색지방세포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갈색지방세포의 특성에 관한 연구와 백색지방세포와 베이지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로의 전환에 대한 연구는 현재 진행형이며, 천연물질로부터 그 해답을 찾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연구 중에 있다.



모든 지방세포가 비만을 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갈색지방세포와 베이지색지방세포와 같이 저장된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지방세포 역시 존재한다. 갈색지방세포를 통해 대상의 이름으로부터 간략적인 역할을 유추하는 것도 필요한 추론 능력이지만, 정확한 쓰임과 정보에 대해 조사하는 학습 역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지금까지 잘못된 과학 지식을 진실로 오인하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지며, 갈색지방세포 활성화를 위해 운동 계획을 세워보는 것은 어떨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5기 박광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민정기자 2017.09.26 09:01
    갈색 지방에 사실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알게 되었고, 많은 관점에 동의합니다. 좋은 기사와 정보에 감사해요. 좀 더 갈색 지방에 대해 찾아보게 되었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8429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8190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01670
강북구청의 역사를 위한 노력 file 2018.11.09 한승민 18115
강미강 작가와 “옷소매 붉은 끝동”의 만남 file 2021.01.19 정주은 30800
강릉에서 느끼는 조선시대 전통문화 file 2018.03.09 마하경 16053
강릉 경포 벚꽃축제 12일 폐막 file 2017.04.15 김동근 15806
강렬한 음악으로 찾아왔다, '환불원정대' 드디어 데뷔! 2020.10.21 김민채 12035
강력 한파로 환자 급증해… 4 file 2017.02.01 이유정 14163
강동고등학교 경제동아리 토정비결, 법무법인 율촌에 다녀오다. file 2016.06.25 류지석 18150
강남역 한복판에 떠오른 'GT 타워 아이스링크' 1 file 2017.02.28 송초롱 18841
강남구립 역삼청소년수련관, ‘강남구 아동정책참여단’ 정책 제안 활동 진행 file 2022.11.22 이지원 8060
갓세븐 3주년 팬 미팅 “달빛아래우리”, 추위를 녹이다 8 file 2017.02.13 이지나 15754
갑자기 사라진 성취도 평가 1 file 2017.07.02 한한나 13542
감탄문과 감탄사 -무슨 의미인지는 아시나요? file 2014.08.10 최지인 24268
감정, 너 어디서 왔니? 4 file 2019.10.16 윤지현 15958
감이 익어간다고요? 1 file 2017.11.14 백준채 15082
감성과 건축을 생각하다...'헤더윅 스튜디오: 감성을 빚다'전 file 2023.09.11 박예찬 7337
감사편지를 통한 아이들의 인성함양, 제6회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file 2021.04.01 오지수 11407
갈색 지방, 지방이라고 다 같은 지방이 아니다! 1 file 2017.09.22 박광천 20122
갈 길 바쁜 청주 KB스타즈, 분위기 전환 성공 file 2018.01.29 허기범 14626
갈 곳을 잃은 통학생들은 어디로 가야 하나? file 2020.10.27 임은선 12245
갈 곳 잃은 학생인권, 그 방향을 묻는다 1 file 2017.07.25 안옥주 15338
간편 결제 수단의 시대: PAY 3 file 2021.07.27 전인애 12177
간판 교체, 도로 정비, 배수로 설치...현대화로 한층 새로워진 상계중앙시장 file 2016.08.24 김태경 21775
간절했던 소망! 2.8독립선언 98주년기념식 개최 3 file 2017.02.19 김나현 17053
간단한 우리집의 레스토랑, 쿠킹박스 2 file 2020.06.29 송다은 13889
각국 주한대사 참가한 '양재플라워 페스타'...한국춘란 경매 큰 호응 file 2023.11.22 박도현 4436
가짜가 더 비싼 신발 세상 file 2021.08.04 류태영 13196
가지고만 있어도 부자가 된다는 꽃이 한가득 …. file 2017.03.24 원채윤 15867
가족과의 봄나들이, 불암산나비정원 file 2019.03.26 장윤서 18186
가족과 함께 하는 봉사, 어렵지 않아요! 3 file 2017.03.20 한정원 15536
가정문화의집, 미래를 향한 새로운 출발, 13기 운영위원 선출! 2017.03.22 윤예주 13822
가장 한국적인 도시, 전통이 살아 숨쉬는 전주로 떠나자! file 2017.07.18 조지원 15925
가장 필요한 용기 file 2017.03.24 김다빈 12616
가장 작은, 가장 약한 사람들을 위해 일하는 NGO, AMNESTY file 2017.07.20 정재은 12732
가장 많이 하는 PC게임 "롤" 혹시 내 자녀도? file 2020.05.06 신준영 19934
가자, 축제의 현장으로! 뜨거운 여름, 뜨거운 축제 2 file 2017.05.19 염가은 15011
가자, 국립 고궁 박물관으로! 2017.09.04 전혜리 14578
가을의 바닷바람이 부는 통영 2 file 2017.10.13 김동연 14855
가을엔, 온 가족이 함께하는 2017 목포과학축전 개최로! file 2017.11.06 김영신 17149
가을꽃으로 물들은 2017 고양가을축제 1 file 2017.10.12 최나연 13239
가을과 함께하는 인천대공원 걷기대회 file 2016.11.24 최찬영 15306
가을과 코스모스, 연천군 코스모스 축제 file 2017.10.19 이다은 20727
가을, 청년들의 고민을 마음껏 비우는 시간 file 2019.09.25 김윤 15556
가을, 책을 읽어볼까요? 6 file 2017.09.22 김수인 14398
가을 하면 떠오르는 대명사 은행, 열매가 아니다? file 2021.09.23 김혜성 9098
가요계의 봄 file 2016.03.24 이나현 15621
가야왕도의 새로운 비상, 제 41회 가야문화축제 file 2017.04.14 박수지 13624
가슴에 전율이 느껴지는 소리 목포에 울리다 <송승환의 오리지널 난타> 1 file 2017.10.09 염지선 14600
가슴 아픈 역사의 현장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1 file 2017.10.24 이윤지 195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