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by 5기표예진기자 posted Sep 19, 2017 Views 1847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크기변환_크기변환_20170902_12513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표예진기자]

무더위가 점차 물러나고 본격적인 가을에 접어들었다주말을 이용해 여행을 떠나는 사람을 부러워했지만 시간이 허락지 않아서 먼 곳에 갈 수 없다면, 이번 주말 서울시립과학관을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서울시립과학관은 서울시가 청소년의 기초과학 이해를 돕고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건립한 최초의 시립과학관으로 2017519일에 개관하였다. 작은 힘으로 큰 물체를 들어 올리는 지렛대의 원리와 같이 기초과학의 이해와 응용을 통해 일상에 숨어있는 과학적 원리를 쉽게 체험하는 공간이다.

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표예진기자]

전시실은 총 4개의 전시실로 각 테마를 가지고 있다. 관람 순서는 3층에서부터 차례대로 내려오게 되어있다.

첫 번째 전시실은 R(ed), 순환전시실로 힘과 에너지가 테마이다. 도시의 혈액인 에너지의 생산 및 이동, 재생산에 대한 원리와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을 잇는 서울의 역사적 현장과 만날 수 있는 전시실이다. 이 전시실에서는 자신이 직접 자전거 페달을 밟아 전기를 만들어 봄으로써 전기를 만들어 내는 일이 얼마나 힘든지 몸으로 직접 체험할 수 있다. 또 마찰에 대한 물체의 속력을 직접 실험해 보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두 번째 전시실은 2층에 있는 B(lue), 연결 전시실로 뇌과학과 우주, 수학을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교통시스템, 뇌의 연결망, 우주, 수학 등 복잡하고 광범위한 시스템 속의 과학적 원리의 종합적 이해를 할 수 있는 전시실이다. 이 전시실에는 여러 가지 무게의 단위들을 직접 들어보면서 비교해 볼 수도 있으며 자신의 뜀박질 속도를 직접 속력계로 측정해 볼 수 있다. 또한 교통카드 모형을 직접 찍어보면서 교통카드의 원리를 알려주는 전시물도 있다.

세 번째 전시실은 2층에 있는 O(range), 생존 전시실로 인체와 유전, 물질을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인간을 둘러싼 물질의 특성과 변화, 생명체로서의 인간, 생활 모습의 관찰 및 탐색을 통한 이해를 배울 수 있다. 이 전시실에는 사람의 뇌와 다른 동물들의 뇌의 크기와 지능을 비교해 주는 전시물도 있고 백내장, 노안, 녹내장의 눈을 구현한 렌즈를 통해 눈의 노화를 체험해 보는 전시물도 있다.

마지막 네 번째 1층에 있는 전시실은 G(reen), 공존 전시실이다. 이 전시실은 생태와 환경, 건축을 테마로 한다. 서울의 생태환경과 도시구조 속 과학 원리에 대한 체험을 통해 자연과 도시가 조화를 이루며 상생하는 가치와 가능성에 대한 고찰을 할 수 있는 전시실이다.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여러 야생동물들과 사진을 찍을 수 있으며 망원경으로 습지의 모형을 비추면 그 장소에 있는 새의 관련 영상이 나오는 전시물도 있다.

서울시립과학관은 전시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체험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각 시간대별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데 입장료만 내면 추가의 요금 없이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 미취학아동, 초등학생,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크기변환_b_e71Ud018svchpxzpysekj2b_81a9ps.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표예진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5기 표예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985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752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7192
니콜라 테슬라, 거의 모든 것을 발명한 남자 file 2017.07.25 김도연 18603
양평 속 하늘, '천사의 집' file 2016.05.24 조혜온 18599
환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국제교류[주니어에코엔지니어링 아카데미] 1 file 2017.02.25 정혜윤 18591
응답하라, 전통시장! file 2016.04.16 김나림 18582
거짓 정보가 점령해가고 있는 인터넷, 이대로 가도 되는가? 2 file 2017.03.17 정혜원 18575
세계 섬유패션산업의 최신 트렌드 한 자리에… '대구국제섬유박람회' 4 file 2016.03.11 이세빈 18570
<스스로넷, 청소년 동아리 활동 문화 선도에 앞서가다!> file 2018.04.03 김현재 18569
몇 년은 기다려야 한다면서 계속 뜨는 슈퍼문.. 그 이유는? file 2019.03.18 백광렬 18563
축구 속 브렉시트 2016.07.26 김선기 18563
봄의 시작을 알리는 '2019 진해군항제' 3 file 2019.04.09 백휘민 18562
천진 모의유엔 2019 file 2019.11.22 김수진 18561
올해 개봉예정인 영화 '군함도', 日 발끈했다? 13 file 2017.02.09 윤은빈 18555
5?·18 민주화운동,그 실화를 다룬 영화'택시운전사' file 2017.08.27 정혜원 18552
퀘벡에서 만나는 도깨비, 모든 것이 좋았다. 1 file 2017.11.01 김지수 18550
정보화시대, 암호의 중요성 file 2017.06.06 정다소 18550
풍성한 거리예술축제 '2019 목포 세계마당 페스티벌' 4 file 2019.10.02 조햇살 18548
평창올림픽 기념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展, 한·중·일이 한곳에 1 file 2018.02.09 김시은 18536
우리의 비극적이고 아름다운 역사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4 file 2016.03.17 최찬미 18535
1년 365일 자원봉사하기 좋은 날 2 file 2019.03.29 김수현 18524
2017 제2회 청소년 모의 UN 인권 이사회 UPR 대회가 열리다 file 2017.09.13 박지민 18514
수학사 최대의 난제, ‘리만 가설’ 1 file 2017.07.15 정승훈 18514
환경과의 만남, 제14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7.05.25 민정연 18511
아름다운 예술의 나라, 프랑스 탐방기 file 2019.03.13 10기송은지기자 18499
당신의 도시를 밝혀줄 '2019 서울빛초롱축제' file 2019.11.14 정다운 18493
옛 전남도청, 5.18민주평화기념관으로 문 열다 1 file 2018.07.30 조햇살 18493
IC카드, 마그네틱 카드를 대체하는 차세대 카드! file 2016.11.23 백현호 18493
성북구청 주최, 설과 발렌타인데이를 맞이하여 공정무역으로 사랑을 나누다 9 file 2016.02.28 김혜연 18490
처음으로 부산에서 열린 2016-2017 KCC프로농구 올스타전! 3 file 2017.01.22 김다정 18483
동물 없는 동물원: Augmented Reality Zoo file 2019.09.05 이채린 18482
새로운 팬들의 문화 '쌀 화환 기부' 2 2017.10.09 구다인 18480
"부모 면접을 시작하겠습니다." 페인트, 이희영 작가를 만나다 3 file 2019.11.27 하늘 18474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8473
외계인과의 소통, '컨택트'의 물리학적 해석 6 file 2017.02.26 유승민 18464
벚꽃에, 노래에 취하게, '진해군항제' 2018.04.11 김진영 18459
이미 지나간 시간은 되돌릴 수 없지만 환경위기 시간은 되돌릴 수 있습니다 2017.11.27 공혜은 18452
FC 바르셀로나의 부활, 그 주역은 메시 아닌 17살 유망주, 안수 파티 file 2020.10.12 김민재 18447
국무부 주관 미국 청소년 교환학생 프로그램 'NES-LY'를 통한 대한민국 매력확산 file 2019.06.04 공지현 18446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사이먼 싱 file 2017.11.08 정승훈 18442
베스트셀러에서 베스트 영화로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10 file 2017.02.18 김보미 18431
김해도서관, 1318 필독서 읽기 참가자 모집! file 2017.03.23 한승민 18413
청소년이 할수 있는 재능기부 2 file 2016.03.26 이지은 18409
V 계열 신경작용제란 무엇인가 file 2017.07.19 박서영 18407
윷놀이, 제기차기, 팽이치기…. 우리도 한국인 8 file 2017.01.31 김세흔 18399
일본의 반성 없는 역사 왜곡의 순환으로 몸살 앓고 있는 '평화의 소녀상' 4 file 2020.10.23 김태환 18397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주관, 제2회 전국 청소년모의해킹대회 개최 file 2017.05.24 이정수 18395
이런 시를 아시나요? 1 file 2016.03.20 백소예 18395
온라인 클래스 온클, 의무이지만 학교의 인강화는 우려 2 2020.10.20 문서현 18392
군포시 청소년 자원봉사 대축제, '안녕, ReAction' file 2018.10.15 강동형 183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