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중요한 이유

by 6기양현서기자 posted Sep 19, 2017 Views 117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요즘 들어 재정 운영(finance management), 즉 돈 관리의 필요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소방장비 납품비리, 한국항공우주산업(KAI)방산비리 등 부정부패, 정경유착에 의한 문제들이 많이 생겨나면서 이러한 적폐를 청산하자는 요구가 끝없이 쏟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왜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중요하다는 것일까? 첫 번째 이유로는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효율성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소수의 몇 명이 돈을 빼돌려 자신들의 이익을 챙기는 일이 줄어들어, 적은 돈으로도 여러 가지 일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로는, 이러한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결국 사람들의 신뢰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한 번이라도 용돈기입장을 써 본 학생이라면 알겠지만, 만약에 용돈기입장을 매일매일 빠지지 않고 기입하였고 이를 부모님이 보신다면, 부모님의 칭찬은 물론 추가적인 보상을 얻게 될 것이다. 이는 당연한 사실이며, 우리가 사는 사회에서도 적용된다. 한 가지의 예시를 더 들어보자면, 최근(727) 문재인 대통령의 호프 미팅에 초청되어 화제가 된 오뚜기를 예시로 들 수 있다. 오뚜기는 1500억 원에 이르는 상속세를 납부하고, 비정규직 비율을 1% 이내로 조절하고, 라면값을 10년 가까이 동결하는 등의 행보를 보여 소비자들에게 ‘갓뚜기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기업이다. 이 기업은 이러한 행보로 인해 참깨 컵라면의 72728일 판매량이 각각 13%, 16% 증가하였다.

4635eec130d9bda3ff2a714cf6fedac7.jpg

[이미지 출처=퍼블릭 도메인 이미지(저작권 소멸)]

이를 통해 우리는 사람들의 신뢰를 얻으면 돈이 저절로 따라온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모든 사람들이 경제활동을 하는 이유는 자신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 위와 같은 사실들을 통해, 우리는 재정 운영을 투명하게 해야 합리적이라는 사실을 도출해낼 수 있다. 쉽게 말해서, 공정한 방법으로 돈을 버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고, 기분도 좋지 않겠는가? 지금부터 우리들 모두 돈을 기분 좋게 버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하는 이유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4기 양현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536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234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5595
선거연령 하향 이후, 청소년들의 정치적 태도 변화는? file 2020.04.28 이승연 8787
아시아인 증오 범죄가 시발점이 된 아시아인 차별에 대한 목소리 file 2021.03.26 조민영 8789
교과서 속 부정확한 성(性) 지수 교체 시급 file 2020.06.02 박지훈 8794
코로나19 나흘째 확진자 200명 대, 좀처럼 끝나지 않는 줄다리기 file 2020.11.18 이준형 8798
'기생충' 축하로 시작해 '코로나바이러스'로 끝난 수석·보좌관 회의 1 file 2020.02.14 김도엽 8804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8820
청주 서원구 미래통합당 최현호 후보 연이은 아쉬운패배 file 2020.04.28 한재원 8831
평등하고 자유로운 나라 미국의 인종차별 file 2020.06.02 임상현 8836
부정선거와 선거 불복...혼돈의 볼리비아 2019.12.26 신주한 8840
트럼프의 대선 연기 주장, 반응은 싸늘? file 2020.09.22 임재한 8849
학생들이 지금 ‘공허한 메아리’를 듣고 있다고? file 2020.05.27 최유진 8851
코로나 확진자 느는데, 의료진 파업? file 2020.08.25 이지우 8853
트럼프 입시부정? 연이은 조카의 폭로 2020.07.13 조은우 8870
텔레그램 n번방 사건, 과연 '박사방'이 끝인가? file 2020.04.06 류현승 8877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8888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하늘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file 2020.11.11 디지털이슈팀 8890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1 2020.10.29 김하영 8891
초·중·고교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문제점은? 2 file 2020.04.02 유시온 8918
미 전역서 4번째 '여성행진'..."여성들이여, 일어나 소리쳐라" file 2020.02.11 박채원 8921
떨어지면 죽는 거라던 중국 로켓은 어디로 갔나 file 2021.07.27 유예원 8921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20.12.10 전민영 8927
문재인 대통령 '백신 유통' 합동훈련을 참관 file 2021.02.16 김은지 8930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작지만 큰 배려 1 file 2020.07.27 이도현 8931
한국은 지금 마스크 전쟁중 1 file 2020.02.27 차현서 8941
잘못된 애국심: 분노하는 중국의 젊은이들 file 2021.04.30 민찬욱 8943
버스 파업,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9.05.31 방민경 8946
연예 기사 댓글 폐지, 지속되어야 할까? 1 file 2020.05.18 서하연 8954
공기업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청원, 하루 사이 20만 돌파 file 2020.06.29 박채니 8956
문재인 대통령의 유럽 순방, 무슨 성과가 있는가 2018.10.23 고아름 8960
전세계의 마트와 가게 텅텅...우리나라는? 1 file 2020.05.04 허예지 8961
미 하원에서 통과된 트럼프 탄핵안, 상원에서는? 1 file 2020.01.20 전순영 8970
벤앤제리스, 이스라엘 서안지구에 아이스크림 판매 중단해 file 2021.08.23 고은성 8974
온두라스, 한 달 기간에 두 번 잇따른 허리케인으로 인해 "초비상 상태" file 2020.12.31 장예원 8979
21대 총선에서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첫 시도, 결과는? file 2020.05.07 장민서 8996
문재인 정부의 지지율 하락요인은? file 2018.08.27 김도경 8999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9020
美 상원의원 존 매케인, "지금의 위기 앞에서 절망하지 말라" 유서 남기고 서거 file 2018.08.30 장혜성 9022
GDP 추정치로 알아본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 어느 정도인가? 1 file 2020.11.23 김광현 9022
전두환, 노태우 동상 철거, 그 이유는? file 2020.06.24 이가빈 9031
2차 북미정상회담, 평화를 위한 발걸음 file 2019.03.04 김주혁 9033
'통제된 화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file 2020.01.22 권민서 9045
중국의 일대일로, 그들의 야망이 드러나다 file 2019.06.03 김도윤 9063
코로나의 피해.. 어느 정도? file 2020.02.28 민아영 9068
주식청약 방법과 문제점 file 2021.03.29 이강찬 9068
이별 후 과도한 집착과 가스라이팅... 이제는 형사처벌까지? file 2022.02.25 김명현 9070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우리는 가장 심각한 상황을 극복했다" 2 file 2020.12.01 김민수 9075
환경영향조사 마친 나주SRF 결정은? file 2020.05.14 김현수 9093
폭우 피해 원인 공방…4대강 사업 vs 태양광 1 file 2020.08.20 김대훈 90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