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KBS와 MBC가 파업한 이유. 영화 '공범자들'

by 4기임하은기자 posted Sep 11, 2017 Views 187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70827_17335657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임하은기자]


지난 8 17일 영화 자백의 연출을 맡았던 최승호 감독의 영화 공범자들이 개봉했다영화는 2008년서부터 지금까지의 잘못된 언론의 잔상을 낱낱이 고발하고 있었다사전 예고편부터 영화가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를 보여줬다예고편에서 최승호 PD가 전 이명박 대통령에게 인터뷰를 시도하다가 저지당하자 언론이 질문을 하지 않으면 나라가 망한다라고 말한다영화는 이 한 마디처럼 굵고 선명하게 다가온다흐릿하게 알고 있던 사실들은 하나하나 세세하게 가르쳐준다.


  영화는 2008이명박 전 대통령의 취임식 장면으로 시작하는데이는 언론의 형태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옴을 뜻했다언론에서 정부를 갉아먹는 듯한 보도를 내보내니정부는 가만히 채찍질 당하는 게 분했던 것인가공영방송들을 하나씩 집어삼키기 시작하고 윗선의 사람들까지 모두 바꾸어버린다이로 인해 타격을 입은 프로그램도 적지 않고여러 PD, 기자들 또한 해고정직감봉 등의 처벌 아닌 처벌을 받게 된다이렇게 권력을 보이지 않는 손으로 공영방송을 쥐고 흔들기 시작한 것이다.

 

 영화에서 관람객들이 제일 가슴 아팠던 장면이라면 당연히 세월호 참사 때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당시 언론에는 오보의 개념을 뛰어넘은 극명한 오보가 났다전원 구조라는 오보는 유족들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들에게도 충격 그 자체였다아직도 왜 오보를 냈어야 했는지왜 현장으로부터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는지 답답하기만 하다는 사람들의 모습. 여기서 보이는 언론의 큰 실수라면 현장의 소리를 묵살시키고 단지 위에서 내려오는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그대로 기사로 낸 것이다정보의 전달을 막은 것이다.


  그렇게 공영방송이 어떻게 잡아먹히게 되었는지를 보여준 뒤그 산하에서 일하던 기자들이 어떻게 기레기(쓰레기 기자)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는지도 보여준다사실 영화를 보면 알게 되겠지만 기자들도 자신들이 원해서 KBS의 그런 기자가 되고, MBC의 그런 기자가 된 것이 아니다그들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많이 그들의 언론 자유를 위해 노력했다그들은 단체 파업을 서슴지 않았고 공식적인 자리에서 누구보다 당당하게 자신의 권리를 외친 사람들이다하지만 언론에 그런 이야기를 담기는 거의 불가능했고기자들은 국민들에게 신뢰를 잃게 된 것이다세월호 보도 참사 때는 받아쓰기하는 앵무새 언론이라는 말도 듣게 되었다물론 그때 기자들아나운서들을 믿어준 국민들도 적지 않다같이 촛불을 들어주고 프리허그를 해주는 등 공영방송 살리기를 같이 원했던 국민들이 있었다하지만 10년이란 세월은 그리 짧지 않았다그야말로 영화의 대사처럼 KBS는 속이 터지고 있고, YTN은 울고 있고, MBC는 때려치우고 있게 된 것이다.


 영화 크레디트에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불합당한 이유로 해고정직체포된 언론인들의 이름이 나왔는데그 수가 거의 300명에 달했다.

솔직히 국민들은 이제 나라가정부가 바뀌었다고 안심하고 있을지도 모른다하지만 아직 모든 것이 변한 건 아니다아직 그때의 KBS 사장이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MBC의 사장도 그대로이다아직까지 공영방송의 올가미는 덥수룩하게 덮여있다국민들은 이제 이들의 행보를 지켜봐야 한다정부가 바뀌었다고 나라가 쉽게 바뀌기만 기다려서는 안 된다영화를 개봉하기 전에 몇몇의 출연자들이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을 내기도 했다다행히 가처분 신청이 기각되긴 했지만 아직도 이들은 자신들의 잘못을 그저 쉬쉬할 뿐이다.


 진실을 숨기고 자신들의 사리사욕만 채우려는 그들의 현재 모습은 그저 도망자 신세이다카메라를 내밀고 인터뷰를 신청하면 무조건 얼굴을 가릴 것이다이들은 자신들이 어떤 부끄러운 행동을 했는지 알면서도 국민들께 사과할 마음은 없다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기에 바쁘다이들은 아직까지 어딘가에서 잘 살고 있다영화 속에서 최승호 PD가 말한 것처럼 아주 잘 살고 있다.


 현재 MBCKBS의 파업과도 관련이 있는 작품이다우리 언론의 미래를 위해서라면 꼭 한 번 관심을 가져볼 만한 작품이다많은 사람들이 이 작품에 공감하고같이 울 수 있고 같이 분노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 임하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정상아기자 2017.09.11 20:07
    언론인이 꿈인 제가 꼭 한번 봐야하는 영화인 것 같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5기신영주기자 2017.09.18 02:37
    저도 몇주전에 재미있게 보고 왔어요. 저도 이 영화를 주제로 기사를 썼는데 목록에 보여서 들렸어요~ 앞으로 이런 장르의 영화가 더 흥행하길 바랄 뿐입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1471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1216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33858
충격의 도쿄올림픽, 한국 야구의 현주소는 어디인가? file 2021.08.09 이정훈 19474
"금메달 박탈하라"...도 넘은 안산 향한 온라인 공격 2 file 2021.08.06 조영인 16703
"학교 직장인증 소셜커뮤니티" 비대면 친목플랫폼 '썸코리아' 출시 file 2021.08.05 디지털이슈팀 12375
가짜가 더 비싼 신발 세상 file 2021.08.04 류태영 13343
온라인 쇼핑 플랫폼, MZ 세대의 놀이터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21.07.30 전인애 12870
보다 따뜻한 말, 함께 읽어요 file 2021.07.28 한수진 10237
[PICK] 쓰레기로 만든 신발 나이키 레디메이드 블레이저 file 2021.07.27 류태영 166911
간편 결제 수단의 시대: PAY 3 file 2021.07.27 전인애 12411
“이게 한국?”...내셔널지오그래픽에 한국인들이 뿔난 이유 file 2021.07.27 박지훈 137895
엑시노스의 또 한 번의 도전 file 2021.07.26 이준호 11302
원자만 한 두께의 2차원 반도체를 쌓아 초격자 구조 구현 성공... 양자컴퓨터 소자로 사용 가능 file 2021.07.26 한건호 11299
눈에 넣는 일회용 인공눈물, 독을 넣고 있지는 않은가 file 2021.07.26 김정희 13956
차선규제봉 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는 것인가? file 2021.07.26 이은별 11949
48인의 독립운동가 file 2021.07.26 노윤서 12943
내가 작가가 될 수 있다고? <너 쓰고, 나 쓰고> 청소년 릴레이 소설 출간 프로젝트 file 2021.07.26 권가현 11789
[PICK] '대통령 특별사절 1호 가수' 방탄소년단, "사명감 갖고 긍정과 희망 에너지 전하고파" file 2021.07.26 김수인 167346
더울 땐, 미술관으로 떠나보자! file 2021.07.26 한윤지 9860
드디어 개최된 도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들의 활약? file 2021.07.26 한수진 12653
[PICK] KBO 역사상 최대 위기, 팬들의 마음은 이미 돌아섰다 file 2021.07.26 지주희 254704
행복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도파민'은 무엇일까? file 2021.07.23 이수정 23087
50점 폭격한 아데토쿤보, 50년 만에 우승한 밀워키 벅스 file 2021.07.23 이대성 12428
'제8회 대한민국 금융대전 2022, 로그인 머니',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앞으로 경제와 내 자산은 어떻게 될 것인가 file 2021.07.23 김진현 18036
민간 우주 관광 시대 개막…일반인은? 2021.07.23 민호윤 12191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에 따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의 힘 file 2021.07.20 남서영 11167
키움 히어로즈, 플라스틱(비닐) 응원봉 대신 이것을...? file 2021.07.19 정윤선 18535
파인타르 사용으로 인한 부정투구, 이제는 안녕 file 2021.07.19 김민성 11113
합법적으로 쉴 수 있는 대체공휴일, 올해는 3일 더! file 2021.07.19 변주민 14881
농업에 과학을 더하다 ‘도시형 스마트팜’ file 2021.07.16 신지연 13012
“4인 4색 기후위기 SF 소설” 푸른숲주니어, '일인용캡슐' 신간 출간 file 2021.07.15 디지털이슈팀 13359
'부상' 김희진-김수지 합류, 여자배구 대표팀 도쿄올림픽 출전 최종 12인 명단 발표 file 2021.07.15 김하은 13960
성큼 다가온 4차 산업 시대, 도시 속에 농장을 만들다 file 2021.07.12 김서영 14050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6528
예술인을 위한 복지제도, ‘예술인 창작지원금’은? file 2021.07.06 김민아 15233
올해 1만 3955명 LEET 응시자 역대 최다, 취업난으로 인한 취업 대신 전문직 준비 중 file 2021.07.06 이승열 29275
“7월 1일부터 대전~오송 급행 버스 현금 승차 안돼” file 2021.07.05 김태림 10002
반도체 인쇄 걸림돌 '마랑고니 효과' 역이용해 반도체 성능 높이는 데 성공 file 2021.07.01 한건호 13805
비대면으로 만나는 세계 10대 미술관 file 2021.07.01 한윤지 10230
방탄소년단X맥도날드, 전 세계 ‘BTS 세트’ 열풍 file 2021.07.01 김수연 10392
개인화 마케팅 시대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까? file 2021.06.30 정윤선 13067
인간이 우울해질수록, 가재는 대담해진다 file 2021.06.29 유예원 16366
약물의 투여 방법, 어떤 차이가 있을까? file 2021.06.28 김정희 24705
GPU에 집중하라 file 2021.06.28 이준호 12508
[PICK] 남자농구 대표팀, 4승 2패로 아시아컵 본선 진출 확정 file 2021.06.28 윤서원 156183
[PICK] 가까워지는 코로나 종식, 문화생활 시작될까 1 file 2021.06.28 이소현 157709
장애인의 대중교통 어려움, 생각해 봐야 할 문제 file 2021.06.28 남서영 12702
5G 상용화 어느덧 2년 반...한국의 5G 통신 현재 상황 file 2021.06.25 최병용 12176
MZ 세대와 신축성 패션 상용화의 시대 file 2021.06.25 옥혜성 12552
"大韓民國 臨時政府 行政 首班" (대한민국 임시정부 행정수반) file 2021.06.24 노윤서 108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