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by 5기이지현기자 posted Sep 08, 2017 Views 2058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mage_3906028171486458670978.jpg


[이미지 출처=서울특별시교육청 공식 블로그]


최근 만 18세에게도 선거권을 부여하자는 주장이 정치판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현 우리나라의 선거권 연령은 만19세로, OECD 34개 국가들 가운데 유일하게 만 18세가 선거권을 갖고 있지 않다. 또한 전국 232개국 중 215개국, 즉 92.7% 정도가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부여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세계적 추세에 맞게 선거권 연령을 하향해야 한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정치적 이념에 따른 분단국가인 우리나라가 세계적 추세에 따라 섣불리 선거권을 하향하는 것은 아전인수에 불과할 수 있다. 과연 우리나라는 선거권을 하향해야 하는가?
찬반을 나누기에 앞서, 우리나라 또한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부여한 적이 있다. 1940년 시행된 ‘대한민국 임시 약헌’에는 선거 연령이 만 18세 이상으로 명시되어 있다.
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때의 선거 연령보다 높은 만 19세부터 선거권을 부여하는 것이 민주주의의 퇴화라는 주장이 일 수 있지만 여러 논점을 살펴보면 민주주의의 퇴화라는 이유로 선거권 하향을 쉽게 결정할 수만은 없다.
우선 선거권 연령 하향 찬성 측의 첫 번째 논점은 청소년의 정치 참여의식과 시민의식이 고양되었다는 것이다.
청년들 스스로도 정치 및 선거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2014년 12월에 본격적으로 「청년선거 네트워크」를 설립하였다. 2016년 9월 현재 전국 39개 지역별로 소그룹이 형성되어 Facebook 및 홈페이지를 통해 활동을 널리 홍보하고 있으며 지역별 주요 활동을 보면, 초·중·고등학교에 출장 수업, 성인식에서의 모의 선거 실시, 선거 카페 설치, 정기적인 스터디, 지역 및 대학 축제 참여를 통한 인식개선 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보면 청소년들이 정치에 관심이 많고 참여하려는 의지가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논점은 고령화에 따라 선거권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00년 전체 인구 중 20대는 17%, 65세 이상은 7%에 불과하였지만 2010년 통계를 보면 20대는 13%, 65세 이상은 16%로 한국의 고령화가 점점 심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의사 반영이 한국의 미래를 책임질 청년층이 아닌 노년층에게 집중되는 것을 보여주고 이에 따라 청소년층으로의 선거권 확대가 필요해짐을 의미한다.
세 번째 논점은 청소년은 충분한 지적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청소년 정책 연구원에서 발표한 <청소년 가치관 비교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사회적 이슈나 쟁점, 정치 문제에 대한 관심도’는 100점 만점에 57.7점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사회적 이슈나 쟁점, 정치 문제에 대한 의견 표출 의사’를 가진 청소년의 비율도 2007년 46.2%에서 2010년 54.6%로 증가했다. 이러한 예시는 현재 우리 사회 청소년들에게 정치적 권리를 행사할 판단 능력과 욕구가 충분히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회에서는 선거연령을 18세로 인하하자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7건이나 발의된 상태이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한 2016년 8월 유권자의 참여를 대하기 위해 선거권자의 연령을 현행 19세 이상에서 18세 이상으로 하향 조정하는 내용의 ‘정치관계법’개정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정치적 의사 표현은 투표를 통해 최종 결과가 나타나고, 선거는 대의민주제 내에서 국민이 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기 때문에 선거권을 확대하는 것은 정치적 기본권의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찬성 측은 이런 이유로 선거권 연령을 하향에 찬성하는 입장을 표명한다. 하지만 반대 측도 여러 논점이 있긴 마찬가지이다.
첫 번째 논점은 현 선거권 연령은 헌법에 따라 제한한 것이라는 점이다.
헌법 제37호 2항에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 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처럼 국민의 기본 권리는 헌법정신에 의해 최대한 보장되어야 하나, 국정 농단을 더불어 여야 간의 정치 과열의 상황을 고려하여 제한되어야 한다.
두 번째 논점은 재정적 부담이 증대된다는 것이다.
2012년 10월 24일 행정안전부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12년 대선에서 만 19세 이상 유권자 약 4052만 명의 투ㆍ개표 등에 들어가는 예산은 총 2363억 원이다. 산술적으로 따지면 국내 유권자 1명이 투표하는 데에 5830원이 드는 것이다.  만 18세인 약 64만 명을 토대로 대략적인 계산을 해보면 37억 원의 재정적 부담을 안겨준다.
세 번째 논점은 청소년의 정치적 관심과 이에 대한 노력은 일시적이며 일부 청소년에게 한정되어있다는 것이다.
2016년 10월부터 시작된 촛불 집회에 여러 명의 고등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지만, 전국의 모든 청소년이 그만큼의 정치적 사고를 다 갖추고 있지는 않다. 능동적이고 성숙한 사고를 할 수 있는 청소년은 일부에 불과하며 이조차 정치적 사건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일 것을 배제할 수는 없다.
2013년 헌법재판소는 대한민국의 만 18세는 현 민법상 ‘독자적으로 유효한 법률행위를 할 수 없는 자’로, 행위 능력자로 분류되고 청소년은 정치적, 사회적 시각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으며 현실적으로 부모나 교사 등 보호자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토대로 만 18세는 물질적, 정신적 측면에서도 보호자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자기 정체성이 확립되지 못한 상태라며 현 공직선거법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렸다. 반대 측은 이런 이유로 선거권 연령 하향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한다.
선거권 연령 하향에 대해 여러 가지 주장을 하며 치열한 토론이 이뤄지곤 한다. 여러 논점을 살펴보면 선거권 연령 하향은 쉽게 결정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아르헨티나는 2012년 선거권 연령을 18세에서 16세로 하향하였다고 한다. 선거권 연령은 이런 다른 나라의 결정을 따라야 하는 것이 아니라 각 나라의 교육, 정책 등 특수한 실정에 맞추어야 하는데 보수 정당에서 진보 정당으로 정권이 바뀐 현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적정 선거권 연령 논란에 대해 어떤 입장을 내보일지 기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5기 이지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박지혁기자 2017.09.10 04:41
    만 18세는 정치적 판단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가 꼭 OECD를 따라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만 19세 투표권을 유지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염가은기자 2017.09.10 12:25
    음..모든 상호대립 의견이 그렇듯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고 보는데 저는 만 19세 투표권에 찬성합니다. 만18세에는 판단력이 다소 부족한 경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5기김동수기자 2017.09.11 05:09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5기정용환기자 2017.09.12 00:40
    다른분들처럼 저도 선거권을 가지는 나이는 지금이 적당하다고 생각해요.
    제가 봐온 또래의 친구들은 성숙하지 못한 판단을 내릴거 같아서요.
  • ?
    6기오지석기자 2017.09.22 14:01
    18세 이하도 정치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관심과 열정으로 바로 투표행사하기보다는 투표권을 행사하는 19세이상의 사람들과 정치적 상황을 보면서 자신의 정치 판단력을 향상시키는게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 ?
    5기한동엽기자 2017.09.24 12:56
    정치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것은 어느 나이대이든 존재하며, 그 성숙도를 따지자면 천차만별입니다. 청소년 계층에서도 미성숙한 사람이 분명히 있으며, 어른들 중에서도 미성숙한 사람이 분명히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청소년 계층이 인터넷으로 무분별한 정보를 접하게 되면서 편협적 시각을 가지게 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선거권자 계층을 낮추는 것은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6926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3896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51866
불안한 일회용 생리대, 천 생리대는 어때? 12 2017.09.06 김나연 11993
북한, 6차 핵실험 1 file 2017.09.06 최현정 10006
커지는 소년법 폐지 여론..‘소년법 개정’으로 이어지나 9 file 2017.09.07 디지털이슈팀 13217
살충제 계란, 지금에서야 밝혀진 이유 1 file 2017.09.07 김연아 12113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6 file 2017.09.08 이지현 20588
실질적 사형 폐지국 대한민국, 아직도 뜨거운 사형제도 폐지 찬반 논란 1 file 2017.09.11 김혜민 23932
노동인권을 다룬 만화, '송곳'을 통해 알아보는 노동3권 1 file 2017.09.11 신동경 12646
소녀상 지킴이들 '소녀상 농성 대학생 단체', 600일 맞다. 3 file 2017.09.11 조유진 10745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 카리브 해 연안 도서 및 美 남부 강타해 피해 속출 1 file 2017.09.11 이윤희 11230
서울 광화문 미국 대사관 앞 대규모 "사드 배치 반대" 집회 1 file 2017.09.12 김승만 10272
기싸움 중인 제주도와 도의회, 정책협의회 개최 2017.09.12 강승필 10416
청소년들에게 물어보다, 청소년 범죄 처벌 강화 찬반 1 file 2017.09.12 고다영 26671
"법을 악용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들끓는 소년법 폐지 요구 3 file 2017.09.12 박선형 17870
사과, 어려운 일 입니까? 5 2017.09.12 5기김경원기자 10481
노동계의 사각지대. 비정규직 그들의 외침.... 7 file 2017.09.14 서호연 10440
6차 핵실험, 또다시 북한을 감싸는 중국 2 file 2017.09.15 박현규 11963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8441
삐까뻔쩍한 아파트를 가진 가난한 사람들, 당신이 몰랐던 이유 2017.09.19 호수 9840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중요한 이유 1 file 2017.09.19 양현서 10997
런던의 또 한 번의 테러: 지하철역 안에서 3 file 2017.09.19 박우빈 9916
학교의 민낯 - 창살 너머의 아이들 1 file 2017.09.21 이우철 17083
헌재소장 임명 부결... 문재인정부 사법개혁 '적신호' 1 file 2017.09.21 고범준 10575
청소년보호법과 소년법은 다르다? 7 file 2017.09.21 김주은 16953
구별되고 분리되었던 공진초, 그리고 지금은? file 2017.09.25 김유진 9445
블라인드 채용 득인가 실인가 2017.09.25 황수민 10796
청소년 보호법 폐지, 그리고 청소년 3 file 2017.09.25 이다은 12767
세계의 논쟁 거리, (한국의) 개고기 식용 찬반 논쟁 1 file 2017.09.25 김희주 29519
돌아오지 못한 눈물, 스텔라 데이지호 4 file 2017.09.26 임용택 13780
북한의 도발과 중국의 태도 file 2017.09.26 박형근 8556
소년법, 처벌의 강화가 최선인가? file 2017.09.27 양은향 13975
임용고시...교사희망자 불만! 1 file 2017.09.27 배성연 12070
일탈 행위에 빠진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9.27 김하늘 10699
"앞으로 생리대 뭐 써요?" 아직도 논란이 되는 생리대 해결방안은 file 2017.09.27 한유진 14330
유승민 비대위원장 수용 의사 밝혀, 바른당 자강론으로 가닥 file 2017.09.27 조인성 12863
정부의 단호한 '8*2부동산 대책'을 둘러싼 우려 1 file 2017.09.27 고다정 9689
대형마트의 강제 휴무 제도 5년...현재는? 2017.09.27 허재호 10370
소년법 과연 폐지될 것인가? file 2017.09.27 조희경 9722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추가 대북제재결의안 3 2017.09.27 황준엽 9725
남이섬, 친일 재산인가 1 2017.09.28 문세연 13072
3년동안 끝나지 못한 비극 1 2017.09.28 윤난아 10658
'미성년자 술,담배 극성, 판매금지 물품 구매 원천은 어디에?' 3 file 2017.09.28 이혜성 18943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근다" ... 공포심이 빚은 대한민국의 탈원전 정책 10 2017.09.29 정유진 12747
촛불시민에게 ??? 문 대통령 세계시민상 수상 1 file 2017.10.02 문서연 10059
소년법, 개정인가 유지인가? 1 file 2017.10.02 5기정채빈기자 11877
경남 거제시 호우 경보, 학교의 늦장대응에 갈팡질팡하는 학생들 2 file 2017.10.02 조가온 9992
부산시 교육청 학생인권조례 제정 임박 file 2017.10.02 박상혁 11763
선진국의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 문제와 해결 방안 2017.10.02 임승현 27447
기아차 노조 통상임금 소송 승소, 기대와 우려 사이 file 2017.10.09 원종혁 96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