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살충제 달걀 사건으로 알아보는 살충제 이야기

by 5기최수혜기자 posted Sep 04, 2017 Views 111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살충제 달걀 사건으로 알아보는 살충제 이야기


지금으로부터 1주일 전(08.08), 유럽에서부터 시작된 살충제 달걀 사건은 유럽 지구 및 유럽 달걀 수입국에게 달걀 비상 공포를 안겨주어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런데 8월 14일 우리나라 경기도 한 농가의 달걀에서 유럽과 같은 종류의 살충제가 검출되었다는 사실은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이번 이슈를 중심으로, 살충제 달걀이 문제가 되는 이유와 더불어 그 대처법, 더 나아가 살충제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살펴보도록 하자.


◈ 살충제 달걀, 그 전말은 무엇인가.


2017년 8월 8일, 벨기에 당국에서 일부 달걀에 살충제 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되었다고 처음으로 발표했다. 이후 네덜란드에서도 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된 달걀이 발견되었다. 이 사건은 유럽 전역을 달걀 비상 공포에 몰아넣었으며 수십만 마리의 닭이 살처분되는 결과를 낳았다. 피프로닐이란 벼룩이나 진드기 등의 해충을 없앨 때 쓰는 맹독성 화학물질이다. 피프로닐은 인간이 직접 섭취하는 동물에는 사용이 금지되는데, 이는 세계 보건 기구에 의하면 인간이 섭취할 시 구토와 어지럼증 증상을 보이게 되고 장기간 복용 시에는 간, 갑상샘, 신장의 파멸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EU에서는 이런 위험한 살충제 성분이 달걀에서 검출된 이유 중 하나로 네덜란드 양계업체가 닭에 기생하는 붉은 닭 진드기를 없애기 위해 피프로닐 성분이 포함된 벨기에산 살충제를 1년 넘게 사용했다는 사실을 뽑았다.


우리나라 또한 유럽 달걀 수입에 대해 안전지대는 아니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여름까지 우리나라를 강타한 경남 고성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로 인해 우리나라는 올 상반기에 스페인산 달걀 100 만 개를 수입했었다. 유럽 살충제 달걀 사건이 터지고 정부 및 유통업자 측에서는 다행히도 스페인산 달걀에서는 살충제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그런데 2017년 8월 14일 경기도 한 양계업체에서 유럽과 같은 살충제 성분이 유통 달걀에서 검출되었다. 이에 경기도에서는 빠르게 살충제를 사용한 것으로 밝혀진 남양주와 광주시 산란계 농장에서 생산한 달걀 20만 4천 개를 회수해 폐기 조치하고 양주 농가에서 생산한 달걀 11만 5천 200개도 16일 중 폐기 처분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남양주와 광주 농가가 중간 유통상인을 통해 출하한 12만 9천 개를 모두 회수했으며 대형마트나 제과업체에 공급된 것은 없는 것으로 확인시켰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유럽과 같은 살충제 성분의 달걀이 발견되었다는 것은 국민들에게 큰 충격과 달걀 공포를 안겨주었다. 문재인 정부 측에서는 이번 주를 기점으로 평상시 달걀 판매량의 25%를 회복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유통 가능한 달걀과 유통 불가능한 달걀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구별하겠다는 내용으로 바꿔 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EU 집행위원회는 오는 9월 26일 살충제 달걀 사태를 논의할 고위급 회담을 열 예정이다.




◈ 가장 시급한 건 2차 가공식품


KakaoTalk_20170806_21530189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최수혜]


KakaoTalk_20170816_19183286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최수혜]


국립농업과학원에 의하면 이번 달걀 사태의 주범인 피프로닐의 융점은 섭씨 203도이다. 이는 피프로닐은 끓이거나, 삶거나, 튀기는 제조 과정을 거친다 해도 그 성분이 여전히 남아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되면 이번 살충제 달걀 사건은 단순히 달걀과 닭고기 유통 통제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달걀과 닭고기가 포함된 2차 가공식품 유통 통제 문제까지 확장됨을 의미한다.


국민들의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2차 가공식품은 치킨이다. 농장 측에 따르면 치킨이나 닭고기를 위해 사육되는 육계는 30일 정도만 키운 뒤 출하된다. 때문에 살충제를 뿌릴 일이 없다. 또 닭고기의 경우 상품으로 나오게 될 시 검토와 소독이 추가로 들어간다. 이는 시중에 유통되는 닭고기는 안심하고 먹어도 됨을 의미하지만, 피프로닐 성분은 가공시킨다고 증발되거나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수많은 달걀 2차 가공식품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




◈ 피프로닐, 어디까지 안전한가?


tchpr_20130715102615.gif

피프로닐의 화학 구조식

[이미지 제공=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약정보서비스]


네덜란드 식품안정청(NVWA)은 "피프로닐을 복용할 경우 메스꺼움, 구토, 복통, 어지럼증, 간질 발작을 일으킬 수 있지만, 이 같은 증상은 원상회복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식품 독성의 강도를 무독성(practically non-toxic), 저독성(slightly toxic), 보통 독성(moderately toxic), 고독성(very toxic), 극독성(extremely toxic), 맹독성(super-toxic)으로 구분했을 때, WHO는 피프로닐의 인체 유해 정도를 “대량으로 섭취했을 때 ‘보통 독성(moderately toxic)’"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WHO는 "피프로닐을 대량으로 섭취했을 경우 신장과 간, 갑상샘 기능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핵심은 피프로닐은 인체에 해로운 유독성 화학 물질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살충제 달걀에서 어디까지 안전한 걸까. 살충제 달걀 한두 개를 실수로 섭취한 것은 괜찮은 걸까.


국립농원과학원은 피프로닐의 하루 섭취 허용치를 1kg당 0.02mg으로 정하고 있으며 접촉 허용치는 1kg당 0.035mg으로 정하고 있다. 이는 일반 성인이 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된 달걀 1-2개 섭취하는 것은 크게 위독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여기서 섭취한다는 것은 매일이 아니라 1주일에 1-2번 정도를 의미한다. 하지만 이 기준은 어린아이들에게는 더 엄격하게 적용된다. 즉, 어린아이들에게는 성인에 비해 피프로닐이 더 강하게 적용된다.




◈ 살충제 달걀의 구별 방법

달걀 껍데기에는 생산지 시·도를 구분할 수 있는 숫자와 생산자를 구분할 수 있는 문자 또는 기호가 표시돼 있어 ‘살충제 달걀’을 구별할 수 있다. 먼저 시·도별 부호는 서울특별시 ‘01’, 부산광역시 ‘02’, 대구광역시 ‘03’, 인천광역시 ‘04’, 광주광역시 ‘05’, 대전광역시 ‘06’, 울산광역시 ‘07’, 경기도 ‘08’, 강원도 ‘09’, 충청북도 ‘10’, 충청남도 ‘11’, 전라북도 ‘12’, 전라남도 ‘13’, 경상북도 ‘14’, 경상남도 ‘15’, 제주특별자치도 ‘16’, 세종특별자치시 ‘17’로 기재한다. 이번 살충제 달걀이 검출된 지역이 경기도이므로 구매자들은 껍데기에 '08'번호가 기재된 달걀을 피해야 한다. 또한 영문이나 한글 표기는 생산자 또는 농장의 이름을 의미한다.


KakaoTalk_20170816_19084098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최수혜]


예를 들어, 다음 계란은 08=경기도, 도란도란 농가에서 생산된 달걀이다. 경기도 지역에서 유통되었으므로 되도록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다.


이번 ‘살충제 달걀’은 ‘08’로 표기된 달걀 중 경기 남양주의 ‘마리 농장’에서 생산된 ‘08마리’, 경기 광주의 ‘우리농장’에서 생산된 ‘08LSH’다. 따라서 구매자들은 껍데기에 08LSH가 기재된 달걀을 반드시 피해야 한다.




◈ 살충제로 인해 피폐해진 미래에 대한 예언,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필자는 이번 사태를 접하고,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이라는 책을 떠올렸다. '침묵의 봄'은 당시 환경학자 레이첼 카슨이 1962년(지금으로부터 약 50년 전)에 쓴 책으로서, '침묵의 봄'이라는 제목은 무분별한 살충제의 사용으로 인해 생태계가 파괴되고 새가 멸종하여 더 이상 숲속의 새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 50년 전, 살충제가 막 활발하게 사용되던 당시에 출판된 책 치고는 상상이 너무 과하다는 생각이 든다. 허나, 현재 살충제 달걀 사건은 책 제목대로 인간은 닭을 사육하기 위해 본 용도와 맞지 않는 살충제 사용을 감행하였고 그 피해를 고스란히 우리가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필자는 현재 살충제가 검출된 식품은 달걀밖에 나오지 않았지만, 앞으로 이런 사례는 충분히 더 나타날 수 있음을 우려하며 결국 이 살충제가 계속 인류의 몸에 쌓이게 될 시 정말 책 내용대로 많은 생물 종이 멸망하게 되며 인류 또한 그 피해를 직접적으로 입게 될 수 있음을 걱정한다. 필자는 이번 살충제 달걀 사건은 단순히 살충제 달걀 및 그에 따른 2차 가공식품 유통 통제로 그쳐서 될 문제가 아님을 강조한다. 이번 사태는 살충제를 비롯한 화학약품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한 피폐해질 미래에 대한 경고라고 생각한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독자들 모두 화학약품의 무분별한 사용에 대한 경계심을 가지며 후대를 위해 환경 문제에 더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5기 최수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259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088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4171
생활 속에 파고든 알코올 중독,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2018.04.18 정하현 9951
생활 방역 시대, 청소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 file 2020.05.04 서하연 8337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646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052
생리대를 둘러싼 진실게임 2 2017.10.10 제규진 11634
생리대, 과연 안전한가? 5 2017.09.04 박채리 11607
생계형 난민의 폭풍... 그리고 유럽의 반난민 정책 1 file 2018.09.05 조제원 10941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7884
새롭게 바뀐 한국의 대통령, 중국과 한국과의 관계도 바뀌나? 2 file 2017.05.19 강지오 10157
새로운 형태의 자산 가치 상승, 현대 사회가 가지는 또 하나의 숙제 file 2021.05.26 한형준 7076
새로운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 발견, 이 팬데믹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0.09.02 방지현 7429
새로운 경제 정책, 대한민국을 바꿀 것인가 1 file 2017.07.25 홍은서 9307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288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14102
상업적 대리모 그리고 인간 존엄성 1 file 2020.05.06 임효주 12239
상암동 장례식장 건립, 주민들 반대 운동 확산 1 2018.05.03 도예준 11668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 발표 ··· "죄송하며 감사하다." 3 file 2017.01.23 이정수 64045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7709
삼성은 반도체 패권을 가져갈 수 있을까? file 2021.05.26 이준호 6744
삼성물산 "우수품종 토종식물, 래미안 단지에 활용 계획" file 2023.02.02 디지털이슈팀 4380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8292
삼성,애플에 이어 LG까지...? 3 2017.01.22 안유진 17768
삼성 휘청: 삼성 이재용 부회장 결국 포승줄에 묶이다 file 2017.02.21 송경아 16277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8870
삼산고 학생들이 힘을 합친 '위안부 소녀상 건립' 캠페인 1 2017.10.24 주하영 11084
살충제 달걀에 이은 물의 식료품 안전 문제 1 file 2017.10.12 장예진 9771
살충제 달걀, 과연 우리는 안심하고 먹어도 될까? file 2017.08.29 임수연 9133
살충제 달걀 파동, 그 결과는? 1 file 2017.08.25 김민 10948
살충제 달걀 사건으로 알아보는 살충제 이야기 2 2017.09.04 최수혜 11103
살충제 계란의 해결은 동물복지농장과 정부의 철저한 관리 1 file 2017.09.01 최나연 10579
살충제 계란, 지금에서야 밝혀진 이유 1 file 2017.09.07 김연아 12407
살충제 계란, 그것이 알고싶다 file 2017.08.30 강명진 9642
살충제 계란 파동, 그 현황과 피해 1 file 2017.09.01 오수정 12128
살색이 아닙니다. 살구색입니다. 3 2018.09.28 박시현 11579
산업재해로 멍든 포스코, 포항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1 2021.02.18 서호영 7069
산업부 삭제된 ‘北 원전 건설’ 문건 공개...원전게이트인가? file 2021.02.05 이승열 10503
산업 현장은 아직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랜섬웨어 사건” file 2021.07.09 우상영 7396
산사태와 폭우 피해를 줄여주는 사방댐 file 2019.10.28 윤혜림 14956
사후 피임약, 의사의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어도 될까? file 2018.10.01 박효민 15308
사회적 사각지대 속 청소년 부모, 긴급복지지원 법 발의되다 file 2020.07.27 김예한 9813
사회적 문제 학교폭력, 법적 관념에서 답을 찾다 file 2017.11.23 김현재 11128
사회적 거리두기 무시한 채 이태원 간 연예인들 file 2020.05.21 배선우 11046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이대로 경기는 나아질까 file 2021.12.20 박서빈 8054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7741
사형집행은 사형집행관이 한다 1 file 2018.08.30 정해린 10129
사형제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7.08.17 신지 21890
사지 않습니다, 가지 않습니다, NO JAPAN file 2019.08.29 선혜인 13273
사재기, 보이지 않는 검은 손 2 file 2016.09.25 강하윤 158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