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by 5기오동민기자 posted Sep 04, 2017 Views 1616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올 8월 들어서, 우리의 먹거리는 3번이나 파동을 겪고 있다. 음식 파동은 1년에 한 번 일어나기 힘든, 그만큼 한 번 터지면 식품업계, 소비자, 정부 모두에게 피해를 입힌다. 그런데 올해 8월에 일어난 것만 살펴보자면 유럽산 수입 계란과 국내 유통 계란에서 간·콩팥등을 손상시키는 발암물질인 피프로닐(진드기 등의 해충을 죽이는 살충제)이 잔류됐다는 논란이 난 살충제 계란 파동, 유럽산 햄과 소시지에서 E형간염을 일으키는 HEV 바이러스가 검출 됐던 소시지 파동, 그리고 하림 계열사의 닭고기가 기준치 6배 이상의 구충제 성분에 노출됐다는 닭고기 파동까지 가공육, 양계업 업계는 물론, 식약처와 소비자의 미래까지 걱정스러울 지경으로 사태가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본 기자는 과거에 일어났던 식품 파동을 재조명하며 과거의 일을 통해 어떤 교훈을 얻어야 할지, 또 그걸 통해 지금 현재의 사태를 어떻게 현명히 대처를 하고 인식을 할까 하는 취지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식품 파동인 ‘우지 라면 파동’ 사건을 취재해보았다.

a3ed249731e698bc4c4ecd7f0d905473.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동민기자]

그 전에 라면의 역사를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다. 1963년, 삼양식품 전 회장인 전종윤이 5만달러의 지원을 받고 일본 기업에게 라면 제조 기계와 기술을 전수받아 ‘삼양라면’이라는 우리나라 최초의 라면을 만들었다. 당시 가격은 100g당 10원이었는데, 처음에는 라면이라는 음식이 한 끼 식사로는 익숙하지 않았고 닭고기 베이스의 비린 맛은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지 못했다. 여기서 정부가 가뭄의 단비와 같은 밀가루 음식 보급 정책(혼분식 보급정책)을 펼치며 라면이 소비자들에게 보급됐고, 맛 역시 지금의 ‘매운 라면’으로 바뀌면서 ‘삼양라면’은 1980년대까지 농심과 오뚜기와 함께 라면업계의 메이저기업으로 우뚝 섰었다. 하지만 절정의 끝은 내리막길이 오듯이, 1989년 ‘삼양라면’은 물론 라면 업계를 뒤흔들 사건이 터진다.

5c20b4b3d18ea774b703b1441d90671a.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동민기자, 이미지 제공=동아일보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음']

‘우지라면 파동’은 1962년에 식품위생법이 시행된 이래 최초의 식품 파동인데, 1989년 검찰 측이 삼양식품을 포함한 5개 기업에서 공업용으로 분류된 우지를 미국에서 수입해 마가린, 라면 등을 만들었다는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해 삼양식품 대표를 포함한 간부 10명을 소환해 조사를 했다. 이유는 제조과정에서 쓰인 우지가 식용으로 쓸 수 있는 산가 기준치를 초과했고, 이는 윤활유에서나 쓰이는 수준이라 식품위생법을 위반했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반전이 일어난다. 증거 조사를 위해 삼양식품의 모든 라면의 제조 원료를 조사했는데 모두 이상이 없다는 결론이 나온 것이다. 이런 파동이 벌어진 데에는 사실 ‘공업용’으로 판명이 난 미국산 우지는 소의 지방에서 짠 기름 중에서 2~3등급으로 판명이 난 것인데 우리나라는 2~3등급 우지는 과자와 같은 유탕처리 식품에 쓰이는 식용우지라고 판단하지만, 미국 기준으로는 숟가락으로 바로 떠먹을 수 있는 1등급을 제외한 나머지 기름을 공업용이라고 보기 때문에 이런 논란이 난 것이다. 실제 일본의 라면 업체에서는 2~3등급 우지와 돼지기름(돈지)으로 라면을 튀겨서 제조를 한다. 정상적인 제조 과정으로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공업용’이라는 이유로 억울한 조사를 받은 ‘삼양식품’은 9년 뒤, 1997년 최종 무죄선고를 받는다.

e843b986b19b527a634f412bc006fdc3.jpg

[이미지 제공=듀프레인 블로그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음']

하지만, ‘삼양식품’은 9년의 시간 동안 많은 손해를 봤는데 원래 60%의 업계 점유율을 유지하다가 우지파동 이후 15%까지 떨어졌다고 알려졌지만, 사실은 80년대부터는 ‘농심’이 ‘신라면’과 ‘안성탕면’, 그리고 ‘짜파게티’를 앞세워 ‘삼양’을 밀어내고 업계 1위로 급부상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삼양식품’은 이 사건 이후로 다시는 1위로 올라갈 저력을 잃고 재기불능 상태에 몰렸고 이후 ‘오뚜기’가 새롭게 도약을 하면서 2013년 기준으로는 3위로 밀려났고, 2017년 현재는 3위마저 위태로운 상황이 되었다. 결국 이 사건은 검찰의 선동과 언론의 왜곡, 잘못된 식품 정보와 인식이 삼위일체를 이루어 ‘삼양식품’이라는 라면 업체를 몰락의 길로 몰아넣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오동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박선형기자 2017.09.04 22:59
    요즘 식품 문제가 많이 생기면서 대체 언제부터 이런 문제가 생겼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었는데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된 것 같네요
  • ?
    5기손수근기자 2017.09.11 11:54
    사회부기자 손수근입니다.
    '이런 파동이 벌어진 데에는 사실 ‘공업용’으로 판명이 난 미국산 우지는 소의 지방에서 짠 기름 중에서 2~3등급으로 판명이 난 것인데 우리나라는 2~3등급 우지는 과자와 같은 유탕처리 식품에 쓰이는 식용우지라고 판단하지만, 미국 기준으로는 숟가락으로 바로 떠먹을 수 있는 1등급을 제외한 나머지 기름을 공업용이라고 보기 때문에 이런 논란이 난 것이다' 라는 기사 일부분을 보면서 삼양라면은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업계 1위에서 밀려나야 했고, 무고한 사람들이 피해를 볼 수 밖에 없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정부가 기업의 잘못된 점을 시정하기 위해 단속하고 제재하는 것은 옳지만 정확하지 않은 사실을 기반으로 사회적여론형성을 통해 여러 기업들이 피해보지 않는 일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 ?
    6기오지석기자 2017.09.22 13:50
    부모님께서 예전 쓰레기만두 사건도 얘기해 주신적이 있습니다. 못생긴 단무지의 끝부분을 썰어 넣었다는 이유로 기사에 그렇게 실렸고 만두업체 사람들이 사업체부도로 자살한 경우도 있었다고. 식품안전감시는 당연 필요하지만 정확한 근거와 기준을 가지고 기사를 써야겠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653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426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7506
장애인의 권리, 이제는 함께 지켜줘야 할 때 1 file 2016.03.24 전예린 16112
세계여성 공동행진, "여성도 사람이다!" 4 file 2017.01.25 김혜빈 16126
나 지금 인공지능이랑도 경쟁해야하니? 5 file 2016.03.28 박지윤 16129
언론으로 인한 성범죄 2차 피해, 언론은 성범죄를 어떻게 보도해야 하는가? 8 file 2019.01.11 하영은 16135
아침밥은 왜 먹어야 하나요? 1 file 2019.11.01 12기우가희기자 16137
'혹시'나 '옥시'만은 1 file 2016.05.15 조민성 16138
학기중? 방학? 학생들의 말못할 한탄 18 file 2017.02.15 김서영 16148
홍콩 국민들을 하나로 모은 범죄인 인도법 file 2019.06.21 이서준 16150
일주일 또 미뤄진 '등교 개학'...개학 현실화 언제? 7 file 2020.05.12 서은진 16158
20대 국회의원 선거, 새로운 정치바람이 불다 2 file 2016.04.16 황지연 16160
소셜그래프, 청소년 도박 중독의 시작 file 2019.06.13 양재성 16160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3 2017.09.04 오동민 16163
속초에 불어온 ‘포켓몬고’ 열풍 3 file 2016.07.23 김민지 16168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170
김영란법에 대해 알아보자 7 file 2016.10.02 천주연 16175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명령을 거부한 애플 7 file 2016.02.20 장채연 16177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 2 file 2016.03.13 백승연 16185
개학이 두려운 학생들-'새 학기 증후군' 13 file 2016.02.25 김지율 16199
흡연자와 비흡연자, 갈등은 담배 연기를 타고... file 2017.11.29 오태준 16210
77분간의 리얼리티 쇼, 트럼프와 언론의 끝없는 전쟁 2 file 2017.02.19 김윤혁 16221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오마이뉴스 사실왜곡, 명예훼손 도넘어..법적 대응할 것” (공식 입장) file 2018.08.14 디지털이슈팀 16243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251
美 4월 환율조작국 발표…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file 2017.03.21 정단비 16253
대한민국 제 20대 총선이 불어온 변화의 폭풍 3 file 2016.04.17 진형준 16266
헌법재판소 앞의 사람들 5 2017.02.15 안유빈 16268
'위안부' 생존자들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다 3 file 2017.02.19 이다빈 16304
삼성 휘청: 삼성 이재용 부회장 결국 포승줄에 묶이다 file 2017.02.21 송경아 16314
더 빈곤해지는 노인 3 file 2016.11.09 임지민 16319
'합리적인 금리' 라 홍보하는 이자율 27.9% 2 file 2017.02.13 최민주 16319
학생들의 건강, 안녕하십니까 2 file 2016.07.23 김다현 16322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6339
당신은 가해자입니까? 아니면 정의로운 신고자입니까? 10 file 2016.02.23 김나현 16344
역사 국정교과서,우리는 이렇게 생각해요..고등학생이 직접 말하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 정책 2 file 2017.02.21 이채윤 16344
100만원짜리 콘서트 5 file 2016.03.25 장채연 16349
비추는 대로 봐야하는가, 언론의 신뢰성 문제 3 file 2016.05.25 김영경 16351
'독서실', '스터디카페' 코로나19 방역 거대 구멍 1 file 2020.03.31 박지훈 16364
대보름과 함께 떠오른 민중의 목소리 2 file 2017.02.12 오지은 16366
이집트 대통령 17년만에 방한 2 file 2016.03.18 이아로 16378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유 경제' 1 file 2016.03.24 김태경 16385
학생 안전의 대가는 交通混雜(교통혼잡) 1 file 2016.04.20 한종현 16385
통제불가 AI... 결국 서울 '상륙' 2 file 2017.02.05 유근탁 16389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6404
공동주택 거주민들을 떨게하는 무시무시한 그 이름 "층간소음" 10 file 2017.02.21 류서윤 16407
청소년 타깃 담배 광고가 흔하다고? 5 file 2020.08.03 위성현 16420
올해 최강 한파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 들. 10 file 2017.01.19 최예현 16422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6451
2월 14일, 달콤함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 16 file 2017.02.14 안옥주 16460
‘포켓몬 고’ 따라 삼만리, 각종 부작용 속출 file 2017.02.08 박현규 164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