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빛공해의 심각성-'불을 꺼도 앞이 보여요.'

by 5기김해원기자 posted Sep 01, 2017 Views 1565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07-22-20-55-5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김해원기자]


새벽 3, 모두가 잠들었을 시간이지만, 길거리는 여전히 잠들지 못하였다. 가게들마다 끄지 않은 간판과 수없이 많은 가로등으로 칠흑 같은 어두움이라는 말은 요즘 아이들은 느끼기 어려운 단어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빛공해란, 인공조명이 너무 밝거나 지나치게 많아 야간에도 낮처럼 밝은 상태가 유지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빛공해는 일반적인 생각보다 훨씬 여러 방면에서 생물을 괴롭히고 있다.

 첫째로, 빛공해가 계속되면 식물은 밤과 낮을 구분하지 못해 정상적인 성장을 하지 못하고 야행성 동물의 경우에는 먹이사냥이나 짝짓기를 제대로 하지 못해 결국 생태계가 교란된다. , 사람들의 수면장애를 일으키는 것은 물론이고, 농작물의 수확량이 감소한다. , 밤까지 켜놓는 과도한 조명에 에너지가 낭비되기도 한다. 2012년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과도하거나 새는 빛을 적정하게 관리하면 건축물 조명의 37.5%, 가로등 조명의 45.6%까지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빛공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있을까. 개인 차원에서는 새벽 2 이후에는 웬만하면 소등하고, 평소에도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조명을 꺼야 한다. 사회.국가 차원에서는 빛공해 관련 법을 제정하여 법적으로 빛의 낭비를 막을 있도록 노력해야 것이다. 이미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 있기는 하나, 법으로는 현재의 빛공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없다. ‘새벽 3 이후에는 가로등의 불빛을 줄인다등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빛공해를 한시라도 빨리 해결해야 것이다. 다만 고려해야 것은, 낭비되는 빛을 줄이는 것에만 치중하여 범죄 발생률을 높이는 요인이 되는 등의 부작용을 낳지는 않도록 주의해야 것이다.

스페인과 같은 세계 여러 나라, 인천과 같은 세계 여러 도시에서 빛공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하루 빨리 전국, 세계로 확산되어야 것이다. 인간을 위해, 인간이 만든 조명 인간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면 심히 잘못된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김해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유소연기자 2017.09.03 23:15
    무심코 지나칠 수 있지만 저도 길거리를 지나가면서 낭비되는 불빛이 참 많다고 느낄때가 많았는데 빛공해 방지법이 있었다니 더 강화해야된다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7657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7421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94897
도심 속 작은 힐링을 마주하기 file 2016.10.26 강예린 14641
도심 속 환경으로, 서울환경영화제(SEFF) file 2018.05.31 박선영 20603
도심 속에서 찾는 여유, '덕수궁' file 2021.09.09 박혜원 10695
도심 속의 작은 우주, 대전시민천문대 3 file 2019.01.23 정호일 17547
도심속 역사이야기 file 2017.04.08 정주연 13197
도심속 찬란한 멋과 예술, '제3회 부산 희망드림 빛축제' file 2023.03.27 김보민 6181
도심의 자리 잡은 예술, 스트리트 뮤지엄 11 file 2017.01.25 이예인 15810
도심의 한복판에서 휴식을 찾다 1 file 2016.05.21 민원영 14274
도움이 필요할 땐 이곳으로-한국소비자원 file 2016.11.18 김나림 17567
도자기 속에 숨겨진 '독', 이제는 밝히겠다. 2018.04.05 유민울 21206
도자의 꿈, 문화를 빚다. 2017.05.24 홍선의 14358
도전! 골든벨 묵호고와 함께하다. 1 file 2014.10.25 최희선 34968
도쿄올림픽, 안전하게 치러질 수 있을까? file 2021.04.20 풍은지 12475
도쿄올림픽의 금메달은 깨물어도 될까? file 2021.09.23 김하영 9365
독도 사랑 필통을 만들다!!(하늘고등학교 한방울 봉사단) 6 file 2016.03.13 김강민 16288
독도 체험관, 서울에서 독도를 만나다 file 2016.03.21 이소민 18255
독도, 세종실록지리지 50쪽에는 없다 3 file 2018.11.09 박상연 34872
독도를 가슴에 품고 대한민국을 세계로! 4 file 2017.06.03 정지윤 14303
독도를 위한 반크의 움직임, 디지털 독도 외교대사 발대식 ! 1 file 2016.04.11 황지연 15163
독도의 날 맞아, 독도문화제 개최 file 2018.11.28 여인열 13364
독립기념관에 가다 2019.01.25 전서진 17404
독립기념관에서 민족의 얼을 찾다 file 2017.05.24 조수민 13811
독립지사의 고통이 담긴 곳, 서대문형무소 file 2019.06.03 이윤서 15615
독보적 콘텐츠로 팬들과 소통한다! 세븐틴의 ‘고잉 세븐틴’ file 2020.11.25 김민결 13620
독서 기록 앱, '북적북적'을 파헤쳐 보다 1 file 2021.10.25 김승원 10692
독서마라톤 완주를 향하여 2 file 2016.05.21 장서윤 16630
독서의 도시 김해의 2016김해의 책 file 2016.07.18 최우석 15194
독수리의 기적, '나는 행복합니다' file 2018.10.16 이수민 15514
독일어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주한독일문화원 '파쉬 페스트' 1 file 2017.06.25 장지윤 16038
독특한 향기의 문화를 담은 중남미문화원 1 file 2020.02.04 맹호 14109
돌고래에게 자유를! 1 file 2017.03.21 문아진 17847
돌아보는 '설날'.... 연휴의 연장선 아닌 온정 나누는 우리의 고운 명절 5 file 2016.02.25 안성주 23672
돌아온 안방마님 양의지, 팀에 끼치는 영향은? 2 file 2017.07.26 최민주 14223
돌아온 컨셉 장인, (여자)아이들 1 file 2020.04.27 김민결 12247
돌풍의 에버튼! 파죽의 7연승 file 2020.10.14 최준우 13451
동남아 여행, 이 애플리케이션 꼭 다운 받아야해! file 2020.09.21 정진희 12237
동남아시아의 빈부 격차, 과연 해결이 가능할까? 1 file 2016.05.28 임주연 23090
동대문 DDP에서 열린 '헬로키티 50주년 특별전' file 2024.04.27 이주하 5256
동물 실험에 따른 생명윤리 문제 4 file 2017.05.18 김동수 23083
동물 없는 동물원: Augmented Reality Zoo file 2019.09.05 이채린 18527
동물, 사람의 가족이 되다 file 2017.05.24 김혜원 13038
동물보호법 개정, 그리고 모두가 행복한 세상 file 2017.03.20 박수지 14920
동백의 딸들, 성화 봉송에 참여하다 file 2017.11.07 이유진 16177
동산고, 송호고와 함께하는 영어책 읽어주기 멘토링 '리딩버디' file 2017.03.18 김명진 16873
동성애에 대한 인식, 어떻게 바꿔야 할까? 2 2017.05.08 박수지 20519
동아리 COY가 주최하는 학교밖청소년 토크콘서트 열려 file 2016.11.25 박성수 15063
동양의 나폴리와 함께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 file 2018.08.23 강이슬 15197
동양최대 목조건축물 대광사 미륵보전 완공 file 2017.04.18 정인교 167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