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쾌락통제법'에 대해 아시나요?

by 5기김혜린기자A posted Sep 01, 2017 Views 2145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쾌락통제법이란 돌출형 콘돔을 비롯한 일부 특수형 콘돔을 청소년 유해 물품으로 규정하고 있는 고시이다. 일부 콘돔을 제한하는 것은 심각한 역기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오히려 청소년들의 피임을 막고 안전한 사랑을 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 이 때문에 청소년의 피임권은 침해받을 수 있다. 특히나 콘돔은 의약 약품이지만 쾌락통제법 때문에 성인용품으로 청소년에게 인식될 수 있으며 폐쇄적인 성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이렇게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쾌락통제법에 대해 과연 청소년들은 얼마나 알고 있을까? 실제로 많은 청소년은 쾌락통제법에 대하여 알지 못하고 있었다. 신촌역 근처를 지나가던 한 청소년은 "쾌락통제법에 대해 간단한 정의만 알고 있지 현재 어디까지 진행되고 그 자세한 세부사항에 대해선 알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신촌역을 지나가던 학생들에게 쾌락통제법에 대해 물어보았지만, 정확히 대답할 수 있는 청소년은 없었다.


KakaoTalk_20170822_23432450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김혜린기자]


이러한 청소년들의 성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2017년 8월 5일 신촌 연세로 홍익 문구 앞에서 열린 'EVE 프리 콘돔 데이' 캠페인에 참가해보았다. 이 행사는 남녀노소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5가지 퀘스트를 수행하면 무료로 콘돔을 받을 수 있다. 퀘스트 내용에는 쾌락통제법 폐지에 서명하고 콘돔에 대한 상식 퀴즈를 맞히고 콘돔 착용법에 대해 알아보는 등 여러 가지 활동들이 있었으며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성인식을 개선해주었다. 당시 날씨가 불볕더위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이 참가하였다. 특히나 청소년들이 많이 참여한 행사였다.


행사에 참여한 한 청소년은 "이번 행사를 통해 쾌락통제법에 대해 정확히 알게 되었으며 청소년들의 피임권이 침해받지 않도록 노력해야겠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많은 청소년이 '프리 콘돔 데이' 행사를 통해 쾌락통제법에 대해 관심을 끌게 되었으며 앞으로도 위와 같은 캠페인이 많이 개최되어 청소년들의 성 인식이 개선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김혜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900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663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6341
하늘을 날고 싶어도 못나는 꿈의 비행기가 있다? 3 file 2020.09.16 이혁재 13034
하루에 한 발자국씩 「열두 발자국」 file 2019.03.13 황엘림 17639
하림 푸드트럭, 동신여고·국제고 방문 무료 시식회 실시 6 file 2017.08.18 디지털이슈팀 14234
하멜은 조선에게 무엇을 주었는가 2017.06.28 김용준 14339
하반기 개봉영화 미리보기 1 file 2016.07.24 손지환 16755
하시마 섬 1 file 2016.04.24 장우정 16670
하얀 꽃비를 맞아보셨나요? 2 file 2016.04.25 김승겸 15020
하얀 파도와 '성난 서퍼들' 1 2017.08.02 이주은 15100
하얗게 물들은 북런던 더비, 토트넘 승리의 핵심은? 2 file 2020.12.10 황동언 17782
하와이에서 실제 우주복 입고 체험한 '가상 화성 생활 file 2016.08.24 노태인 16062
하이원 중학생 원정대의 추억과 교훈 file 2018.03.08 백예빈 15127
하자센터, ‘지구의 회복탄력성을 연구하는 실험실, 탱탱랩’ 환경프로젝트 진행 file 2022.06.07 이지원 8233
하쿠나 마타타. 지금 시작하라! - MBN Y 포럼 2019 개최 file 2019.02.18 임가영 14847
학교 2017의 시작, 이쯤에서 알아보는 드라마 학교시리즈가 사랑받는 이유? 4 file 2017.06.08 김혜원 23137
학교 별 '대신 전해드립니다' 페이스북 페이지 인기 file 2016.03.22 조하은 23589
학교 속 우리의 쉼터 Wee클래스, 이대로 괜찮은가요? 3 file 2017.04.01 염주원 21719
학교 전담 경찰관(SPO)과 함께한 청소년 정책 자문단 file 2020.08.26 박지현 15365
학교 종이 땡땡땡 2 file 2018.03.01 김다연 14028
학교안 정크푸드, 그린푸드로 4 2017.07.16 김영은 16056
학교폭력,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2 file 2017.04.23 김애란 17916
학생 선수와 일반 학생이 함께하는 2022 청소년스포츠한마당 스쿼시대회 개최 file 2022.08.08 이지원 7952
학생 스트레스와 성적의 상관관계 file 2016.07.22 이유진 20537
학생독립운동기념일 ‘함께 만든 대한민국, 함께 만들 대한민국’ file 2018.11.02 오수환 14794
학생들은 왜 성당 독서실을 이용하지 않을까...? file 2016.05.22 신정효 19514
학생들을 감동시킨 '필적 확인용' 문구 file 2017.07.27 김수민 31361
학생들의 꿈을 만드는 ‘2016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file 2016.07.25 강기병 16995
학생들이 생각하는 원어민 선생님, 원어민 선생님이 생각하는 한국 file 2017.10.24 김지우 22856
학생들이 스스로 만들어나가는 독서토론 문화, '읽다, 나누다, 느끼다' file 2017.09.11 오우택 16319
학생들이 재구성한 뮤지컬 "God Spell" 하나님을 찬양하다. 3 file 2017.02.20 이찬희 14471
학생은 교복 입은 시민! 아동, 청소년 정책 박람회, Be정상회담! 1 2017.10.30 권오현 15548
학생을 시민으로, 학교를 시민사회로! file 2017.03.03 김미현 13014
학생을 위한 정책, 학생으로부터의 정책 1 file 2017.02.28 유성훈 13854
학생인권을 위한 목소리, 경기도 학생 참여위원회 2 file 2017.05.20 오경서 13272
학술연구에 열기 속으로, KSCY(한국청소년학술대회) file 2016.04.09 김성현 17810
학원.... 나도 다녀야 하나...? 3 2017.03.26 박소민 16868
한 도시 한 책 운동(One City One Book)을 아시나요? 3 file 2017.02.25 유희은 17019
한 마디의 말과 행동보다 더 큰 울림, 서울환경영화제 1 file 2017.06.12 오주연 14499
한 사회참여 동아리를 만나다 file 2017.09.26 임규빈 14054
한 생명을 위한 다른 생명을 이용하는 일, 당신은 동의합니까? file 2016.08.25 전지우 21688
한 아이가 웃으면 세상이 바뀐다. 1 file 2017.10.02 김다빈 14800
한 여름밤의 꿀 '달밤 소풍' file 2017.08.21 송주영 16068
한 해 풍년을 기원하는 '광주 칠석동 고싸움놀이 축제' 1 file 2019.04.25 조햇살 23631
한-영국 수교 140주년 기념 명화전...거장의 시선, 사람을 향하다 file 2023.08.22 서예영 6264
한·중 청소년들의 화합의 장, 2019 한·중 꿈나무 체육활동 한마음대회 file 2019.06.11 강명지 19005
한·중·일 초청 청소년 축구대회 "파주 FC 우승" file 2019.08.01 고요한 20581
한계를 이겨내고 싶다; 축구선수 권윤수 file 2020.02.04 이지훈 14229
한국 KBO에 메이저리거가? file 2020.07.21 신준영 15494
한국 근현대 미술사를 담아낸 이건희 특별전...울산서 열려 file 2023.05.11 조나영 68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