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혼저옵서예~ 힐링의 섬 '제주', 우리 함께 떠나보자!

by 5기박정민기자 posted Aug 30, 2017 Views 206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작년 겨울방학, 설레는 마음 가득 싣고 오랜만에 떠나는 가족 여행. 예쁜 바다와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일품인 제주라면 마음 깊숙이까지 힐링을 즐기고 올 듯했다. 흐린 날씨로 비행에 문제가 생기진 않을까 걱정하는 마음을 가지고 청주공항으로 떠났는데, 처음으로 비행기를 타보는지라 여행 전부터 긴장과 두근거림으로 한껏 부푼 마음을 가지고 비행기에 올랐다. 하늘 위로 눈 깜짝할 새 뜨는 비행기에 먹먹해진 귀로 두 눈을 꼭 감았다가 뜨자, 따스한 햇살이 비치는 창문 너머에 모습은 감탄을 일삼을 수밖에 없었다. 눈앞에 펼쳐진 푸른 바다와 솜뭉치 같은 구름이 너무나도 예뻤다. 이제 본격적인 힐링의 섬, 제주로 떠나보자.


KakaoTalk_20170808_22233224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박정민기자]


제주도에 도착해 가장 먼저 보았던 건, 서귀포시에 있는 쇠소깍. 검색창에 '제주도 가볼 만한 곳'을 치면 10위 안에 들 정도로 보고 있기만 해도 가슴이 뻥 뚫릴 듯한 파란 바다가 예술이다. 이 쇠소깍은 제주 방언으로, 쇠는 '효돈 마을'을 소깍은 '연못'을 뜻한다고 한다. 마치 소가 드러누운 모습의 이 연못은 자연하천으로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많은 관광객들이 이곳을 찾는 또 하나의 이유, 제주 현무암 지하를 흐르는 물이 분출하는데 바닷물과 만나 깊은 웅덩이를 형성해 바닷물이 분수처럼 솟아오른다. 가만히 바라만 볼 수 없어 솟아오르는 물줄기에 손도 대어 보고 열심히 사진도 찍었다. 오랜만에 보는 겨울 바다가 이렇게나 영롱하고 아름다우니, 좀처럼 쉽게 다음 장소로 발걸음을 뗄 수 없었다.


KakaoTalk_20170808_22233320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박정민기자]


쇠소깍에서 한참을 달려 도착한 이곳은 '신천 목장'이다. 절벽 위에 위치해 아주 매서운 바람이 불었지만, 눈 앞에 펼쳐진 제주도의 이색적인 풍경에 한 번 놀랐다. 자유롭게 뛰노는 동물들 사이로 저 멀리까지 귤껍질이 퍼뜨려진 모습은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게다가 코끝으로 스치는 말린 귤의 향기는 더욱 짙고 향긋했다. 여름에는 한우를 방목하고 겨울에는 이렇게 감귤의 껍질을 말리는데, 많은 감귤들은 육지로 나가고 일부 말린 감귤은 다른 용도로 사용을 한다. 절벽 밑에 철썩이는 파도 소리와 감귤의 향기로운 내음을 즐기니 '내가 정말 제주에 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제주도의 해안 도로를 따라 차로 이동하던 중, 바닷가에서 제주의 상징인 해녀 분들을 뵈었다. 텔레비전에서만 보았던 까만 해녀복을 입고 많지 않은 수의 할머니들께서 물질을 하러 바다로 들어가고 계셨다. 제주의 해녀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존재로서 끈질긴 생명력과 강인한 개척정신으로 어려운 작업 환경을 이겨내고 생계를 이어갔던 제주 여성의 상징이라고 한다. 그 모습을 가만히 지켜보던 나는 숙연해졌고, 점점 사라져가는 해녀의 역사를 지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KakaoTalk_20170815_14391974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박정민기자]


예쁜 자연경관을 본 첫째 날에 이어 제주도 여행의 둘째 날이었다. 배를 타고 오분에서 십 분쯤 이동하자 또 다른 섬인 우도에 도착했다. 우도는 제주특별자치도의 부속도서 중 가장 면적이 넓은 섬이고, 섬의 형태가 소가 드러누웠거나 머리를 내민 모습과 같다고 하여 우도라고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 한창 방영하였던 '푸른 바다의 전설'의 드라마 촬영지로도 유명한데, 그에 걸맞게 각각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는 아름다운 바다들을 여기서 볼 수 있다.


난생처음 검은 돌 사이에서 하얀 모래가 찬란히 빛나는 백사장도 보았는데, 이곳은 많은 관광객들이 발길을 멈추는 '검멀레해변'이다. 폭이 1백여 미터에 달하는 작은 해변이지만, 검은 모래사장을 뛰어 바다로 향하면 금방이라도 손에 잡힐 듯한 태양과 해변 끝에 고래가 살았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신비한 곳이다. 해변의 특이한 이름의 유래로는 현무암이 부서져 검은빛을 띠는 모래를 보고 제주말인 '검멀레'로 부르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이 해변 끝으로 향하면 동굴의 떨어지는 물을 받아 마실 수 있는 즐거운 체험도 할 수 있다.


검멀레해변 바로 옆에 있는 '검멀레해변 동굴'은 더 재미나다. 소의 콧구멍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검은 코꾸망’이라는 수중 동굴이 있는데, 밀물 때는 동굴의 윗부분밖에 볼 수 없지만 물이 빠지면 동굴의 전체를 볼 수 있다. 그 동굴을 지나면 또 하나의 동굴이 더 나타난다. 동굴 내부가 온통 붉다 하여 ‘붉은 코꾸망’이라고 부른다. 검멀레 해수욕장의 얽힌 신기한 유래와 살아 숨 쉬는 자연을 함께한다면 시간 가는 줄 모를 것이다.


KakaoTalk_20170815_15354609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박정민기자]


여행하면 빠질 수 없는 음식. 그동안 한 번도 먹어보지 못했던 톳 무침 요리와 제주의 자랑인 해녀가 물질해온 전복 등의 푸짐한 해산물을 맛볼 수 있었다. 무엇보다 흑돼지 삼겹살도 난생처음 먹어보았다. 제주도에서는 일명 똥돼지라고도 부르며 사람의 인분을 먹여 사육하였는데 그런 특이한 사육 방식으로 돼지의 질병에 대한 저항력과 면역력을 강화시켰다고 한다. 흑돼지와 얽힌 이야기를 듣고 나니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면 금방이지만 여러모로 육지와 많이 다른 생활방식과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섬의 신비함이 더욱 느껴졌던 것 같다.


단 세 장의 사진으로 그때의 모습을 다 표현할 수는 없지만, 제주도는 정말 예쁜 자연환경을 즐길 곳이 많은 것 같았다. 분명 같은 나라이지만 사뭇 다른 나라인 것 같이 느껴진 제주도를 직접 여행하고 그곳에서 가족들과 좋은 추억을 쌓은 것 같아 정말 기뻤고, 겨울방학을 어느 때보다 알차게 보낸 것 같다. 이번 여행을 통해 제주는 내게 나중에라도 기회가 된다면 다시 한번 꼭 가고 싶은 여행지가 되었다. 평소 일에 지치셨던 부모님께서도 제주의 후한 인심과 한적한 분위기에 만족해하셨다.


사시사철 언제 떠나도 예쁜 제주도. 경쟁에 치여 빠르게 뛰던 걸음을 잠시 멈춰보자. 그럼 제주도가 그런 지쳐있던 몸과 마음을 보듬고 달래줄 것이다. 나의 곁에 있는 가족, 친구, 연인까지.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제주의 매력에 푹 빠지러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5기 박정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4974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4715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67882
나의 글쓰기 실력을 뽐내라, 31번 째 새얼전국학생/어머니 백일장 열려 1 file 2016.04.24 이준성 15069
의왕 삼일 독립만세 운동 1 file 2016.04.24 이지은 16469
스페인 발렌시아의 대표음식, 빠에야 file 2016.04.24 김세영 21236
SNS, 관계 형성의 투명한 벽 1 file 2016.04.23 최원영 14944
인천 남동구 도림주공아파트, Earth Hour 운영 file 2016.04.22 박은진 17917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What's your dream? 당신의 꿈은 무엇인가요? 3 2016.04.17 반서현 18976
자신의 연구계획을 마음껏 펼쳐라! 제 5회 KSCY 한국청소년학술대회 2 file 2016.04.17 최윤철 15465
세계의 음식, 그이상의 문화 file 2016.04.17 이봉근 16692
베트남 사람들이 한류에 열광한다구요? file 2016.04.17 김유민 19489
공공 장소, 도서관에서의 행사. 성공적!! file 2016.04.17 3기장정연기자 14638
응답하라, 전통시장! file 2016.04.16 김나림 18398
끝없는 벚꽃의 향연! 2016 진해군항제 file 2016.04.11 최우석 17132
독도를 위한 반크의 움직임, 디지털 독도 외교대사 발대식 ! 1 file 2016.04.11 황지연 14958
'천국의 아이들'과 함께 만드는 천국의 소리 file 2016.04.11 심세연 17544
작은 컴퓨터, 아두이노 1 file 2016.04.10 정연경 17561
머리 자를 때 되셨나요? 2 file 2016.04.09 전채영 18247
학술연구에 열기 속으로, KSCY(한국청소년학술대회) file 2016.04.09 김성현 17711
효율적인 경제동아리 운영? 바로 연합동아리로! file 2016.04.09 김성현 18090
희망의 소리, 재능기부봉사로 전해요 2 file 2016.04.09 김선아 19790
서울 꽃구경 핫플레이스는 어디일까? 5 file 2016.04.07 이다혜 23877
매일 밤 넘치는 감성, 우리는 왜 그러는 것일까? 2 file 2016.04.06 백현호 35019
일본 해외 체험 연수 - [제 1일 차] 오사카에 발을 딛다 1 file 2016.04.05 김준하 23826
부산의 기자 꿈나무들, 부산일보에 모이다 file 2016.04.05 이민지 15670
한의학에 대해 1 2016.04.05 신이진 15725
'서호정자' 가 우리의 안녕을 묻습니다. 2016.04.04 김형석 16929
제 17회 옥천 묘목축제 열리다. file 2016.04.03 곽도연 19183
인천국제공항 자기부상열차 타 보셨나요?? file 2016.04.03 김강민 16793
400년이 지나도 변함없는 '그'의 도발 file 2016.04.02 명은율 15322
창동 예술촌으로 놀러오세요~ file 2016.04.02 이서연 15732
프로야구 두산, 다시 새로운 시작 1 file 2016.04.02 양지호 16261
최종결정만을 앞두고 있는 '프로듀스101' 과연 데뷔의 영광은 누구에게? 2 file 2016.03.31 신재윤 17285
경복궁에 관하여 1 2016.03.31 최서빈 15949
경기도의 혁신학교, 안산광덕고등학교 3 file 2016.03.29 오지나 22286
배려와 동행 함께하는 인천 국제 하프 마라톤 대회 file 2016.03.28 오시연 17545
'프로듀스101'이 불편한 두 가지 이유 10 file 2016.03.27 조수민 18842
작지만 큰 나라 대만 - 명소5선 1 file 2016.03.26 이다연 17361
청소년이 할수 있는 재능기부 2 file 2016.03.26 이지은 18256
Volunteer for your community! 2 file 2016.03.25 천예영 15154
'부정부패 FIFA' 에서 '투명한 FIFA' 로 1 file 2016.03.25 이진호 18053
현대인의 눈건강 적색신호 2 file 2016.03.25 김수미 16133
국악과 시의 만남, 달콤한 시럽(詩LOVE) 1 file 2016.03.25 하혜주 16006
베트남의 오토바이 문화 file 2016.03.25 박진영 21604
'주토피아'가 우리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 7 file 2016.03.25 유한나 23449
얼마나 많은 일 생각나게 하는 벚꽃이런가 2 file 2016.03.25 박지우 16321
디지털 파빌리온에서 만나는 미래 세상 file 2016.03.25 강기병 15672
'글로리데이'청춘의 아픔을 그려낸 청춘영화 file 2016.03.25 홍경희 18529
작은 영화, 그러나 큰 여운 3 file 2016.03.25 김주은 16149
눈과 귀가 모두 호강하는 '반고흐 인사이드 : 빛과 음악의 축제' 1 file 2016.03.25 최민지 172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