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역사를 품은 영화들. 군함도 그리고 택시운전사.

by 5기최담비기자 posted Aug 25, 2017 Views 1656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년 여름, 대한민국의 아픈 역사를 다룬 영화 두 편이 개봉됐다. 일제강점기 때 조선인들을 강제 징용한 내용의 군함도5·18 민주화운동이 배경인 택시 운전사’. 두 영화가 개봉되기 전, 캐스팅된 배우들과 우리나라의 아픈 역사가 배경이라서 많은 사람이 큰 기대감을 안고 있었다. 하지만 영화가 개봉된 후, 두 영화의 반응은 극과 극이었다. 군함도와 택시운전사의 감상평을 10대부터 30대까지 두 영화를 모두 본 50명의 대상자에게 설문조사를 했다.


군함도 포스터.jpg


택시운전사 포스터.jpg

[이미지 제공=트위터,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군함도 평.JPG택시운전사 평.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최담비기자]


우선 726일에 개봉된 군함도를 응답 결과를 보면 좋은 영화다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4, “그냥 그렇다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23, “별로였다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23명이었다. 50명의 설문 대상자가 같은 영화를 봤는데 왜 다른 답변들이 나온 것일까? 그렇게 생각한 이유를 물어보니 우리나라 사람들의 성격상 한 번에 단합되기가 쉽지 않은데, 영화 군함도에서는 힘든 상황에서도 죽을 각오를 하고 함께 탈출하려는 모습과 그에 대한 과정이 잘 나온 것 같다.”, “한국인이라면 알아야 하는 가슴 아픈 이야기이다.” 등 군함도에 대한 가슴 아픈 진실을 알아서 좋았다는 호평들이 있었다. 반면에 탈출 블록버스터 영화 같고 배우와 감독의 인터뷰를 보고 나서 본 걸 후회했다.”, “군함도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이 없는 시점에서 역사적 사실에 대한 피해 내용을 왜곡하여 전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군함도라는 제목을 썼기에 그에 맞는 일제강점기 때 있었던 사건과 내용을 다룰 것으로 생각했으나 그저 대중들의 흥미를 이끌기 위한 수단으로 군함도를 사용했다고밖에 느껴지지 않았다.”, “가볍게 볼 수 있는 영화였다. 하지만 결코 군함도라는 소재는 가볍게 봐서는 안 될 영화였다.” 등 군함도의 역사 왜곡에 대한 혹평도 자자했다.


그렇다면 82일에 개봉한 택시운전사의 반응은 어떨까? “좋은 영화다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45, “그냥 그렇다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5, “별로였다라고 대답한 응답자는 0명이었다. 군함도와 다르게 택시운전사는 왜 응답자의 90%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을까? 이유를 물으니 그때 현실을 잘 보여주는 것 같다.”, “억지로 울음을 짜내지 않았는데도 보면서 자연스럽게 눈물이 났다 유쾌하면서도 큰 감동을 준 영화.”, “잊어서는 안 될 역사 중 하나이고 또 그걸 잘 담았다. '화려한 휴가'를 교육 목적으로 해서 사용되는 걸 봤는데 '택시 운전사'도 같이 쓰면 정말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를 보고 나면 우리가 살아가면서 잊고 있었던 역사적 사실을 다시 생각해보게 되고 그저 옛날에 이런 일이 있었어, 이런 사건이 있었어, 가 아닌 외부인의 시선으로 객관적인 사실을 그대로 보여주면서 표면적으로는 한 목적을 향해 전개되는 것 같지만 진짜 이야기는 개인의 양심을 따라 이야기한다는 거. 그 시대의 상황을 개인은 어떻게 받아들였고 어떤 고민을 했는지. 그게 영화의 포인트 같다! 정말 슬프고 가슴 아픈 영화지만 한 번쯤은 꼭 봐야 할 영화.” 5·18 민주화 운동의 슬픔을 그대로 재현해 감동적이라는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택시운전사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지만, “군함도를 보고 택시운전사를 봐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훨씬 더 그 상황에 집중해서 이야기를 구성한 것 같다.”, “군함도와는 달리 실제 있었던 사실을 완벽하게 잘 재현해 낸 것 같다.”처럼 택시운전사와 군함도를 비교해 대답한 응답자도 있었다.


두 영화의 반응이 극과 극인 이유는 '역사적 사실을 정확히 담았는가'에서 많이 갈리는 것 같다. 군함도의 혹평 이유를 보니 대부분 '역사 왜곡'이었다. 역사를 배경으로 한 영화는 역사가 왜곡되지 않게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재현해야 할 것 같다.


20178월 21일 기준으로 군함도의 누적 관객 수는 6,556,064명으로 예매율 9, 택시운전사의 누적 관객 수는 10,503,015명으로 예매율 1위를 차지하며 흥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5기 최담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823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582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5580
단국대학교 축제 용인의 밤을 불태우다! 1 file 2017.05.20 박승재 15199
헌혈로 사랑과 나눔을 실천하자 2 file 2017.05.20 손유정 12956
국립서울현충원에서 '호국보훈백일장 및 그림그리기 대회' 열려 file 2017.05.20 이나영 18949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서 '키즈 바이오 사이언스 페스티벌' 열려 2017.05.20 박은서 13841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이끈 E스포츠, League Of Legends MSI 그룹 스테이지 성황리에 종료 2 file 2017.05.19 정인영 13698
가자, 축제의 현장으로! 뜨거운 여름, 뜨거운 축제 2 file 2017.05.19 염가은 14828
구석기시대가 살아 숨쉬는 연천, 구석기축제 성공적 마무리 1 file 2017.05.19 이태양 13030
[U-20 월드컵] 하루 앞으로 다가온 월드컵 무대, 신태용호의 가슴 뛰는 열정을 살펴보다 1 file 2017.05.19 최민규 15533
뜨거운 열기로 가득한 별고을 나들이, ‘2017 성주생명문화축제' 1 file 2017.05.19 김나현 15650
한국지하수 토양 환경학회 춘계 학술대회를 탐방해보니... file 2017.05.19 오지석 13199
한국인들은 안경 끼고 밤 늦게까지 공부만 한다고? 3 file 2017.05.18 하은지 12673
동물 실험에 따른 생명윤리 문제 4 file 2017.05.18 김동수 22925
직접 체험한 'SKY PRIORITY' 누구를 위한 혜택일까? 2 file 2017.05.18 한태혁 29249
자기가 파일 암호화를 해놓고 돈 주면 해독키를 준다고? 기가 막힌 '랜섬웨어' 2 file 2017.05.18 김재윤 32297
'하나 되자 화성에서 함께 뛰자' 2 file 2017.05.18 이지은 13542
'백혈병 어린이를 도와주세요.' 3 file 2017.05.17 정다현 14560
한사랑마을에 따뜻한 손길을... file 2017.05.17 전인하 14544
투표를 꼭 해야만 하는 이유 1 file 2017.05.17 오수정 14390
임진왜란 3대첩지 ‘행주산성’ file 2017.05.17 허선주 15838
우리가 꿈 꾸는 세상, 제 16회 의정부 음악극 축제에 초대합니다. file 2017.05.16 임성은 13021
'기부박수 337', 스타들의 뜻 깊은 기부 릴레이 1 file 2017.05.16 고주연 17276
모든게 멈춰버린 놀이공원 용마랜드 2 file 2017.05.16 최유진 16996
반려동물 천만가구 시대.., ‘펫티켓’ 필요할 때 file 2017.05.16 박현규 17995
나무의 표현, 경남도립미술관 'DNA, 공존의 법칙'을 보러오세요! 2017.05.16 안현진 15071
논란의 PRODUCE 101 시즌 2, 이대로 괜찮은가? <pt 1. 비정규직 편> 2 file 2017.05.15 박소이 18043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어플은 무엇이 있을까? file 2017.05.15 박소연 16770
2018 평창올림픽, 한국을 넘어 세계로! 3 file 2017.05.15 정진미 21678
'19금' 정치 속, 청소년 모의투표 결과, 기호 1번 더불어민주 문재인 당선 1 file 2017.05.15 최문봉 19951
카네이션도 법에 걸린다고요? 3 file 2017.05.15 강예원 13273
울산 태화강, 예쁨예쁨한 '한복입은 봄 페스티벌' 4 file 2017.05.15 4기임소연기자 16005
2017 전주 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영화 '돌아온다', “여기서 막걸리를 마시면 그리운 사람이 돌아옵니다.” 1 file 2017.05.15 김다정 18843
아프리카로 꿈과 희망을... ADRF희망드림6기 OT 2017.05.14 정다빈 14565
'넥슨 보이콧 사건'의 뒷 배경 2017.05.14 정다빈 15374
즐겨라, 안산의 축제! 안산 거리극 축제 성황리에 마무리 2017.05.14 정다빈 14607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그러면 사람은? 1 file 2017.05.14 이주형 15258
봄의 향연 광안리 어방축제 2 file 2017.05.14 양다운 12418
북한 결식 아동을 돕는 '2017 지구촌교회 해피란 모금 행사' file 2017.05.14 박소윤 13347
한국에서 접하는 이슬람, '한국이슬람교 부산성원' file 2017.05.14 허재영 16137
청소년이 직접 만드는 사회, 청소년운영위원회 3 file 2017.05.14 고은빈 13492
사드배치 이후 서울의 변화 file 2017.05.14 옥승영 14144
호이 호이 둘리는 초능력 내 친구! 1 2017.05.14 한승훈 16299
요즘 대세는 4차 산업혁명! file 2017.05.13 한윤성 13839
청소년이 직접 뽑은 대통령 file 2017.05.13 박천진 13595
봉사동아리 루키의 첫번째 캠페인 "Save The Earth" 1 file 2017.05.13 이경하 12419
꿈을 키우고 싶다면 주니어 소프트웨어 창작대회로! 1 file 2017.05.11 이수민 12212
당장의 미래, 청소년의 대선투표 1 file 2017.05.10 김윤정 13336
제19대 대통령 선거, 청소년들도 투표를 했다고요? file 2017.05.10 임해윤 14621
"나만 안되는 선거, 투표권을 줄게" 청소년 모의투표 열려 3 file 2017.05.09 임수종 147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