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영화 '택시운전사' 그리고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역사

by 4기박수지기자 posted Aug 08, 2017 Views 1368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8월 2일,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한 영화 ‘택시운전사’가 개봉되었다.

먼저 광주민주화운동이란 1980년 5월 18일에서 27일까지 광주와 전라남도 일원에서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전개된 민주화 항쟁을 말한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배경은 독재정치를 해오던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세상을 떠난 일이었다. 사람들은 이제 민주주의가 실현될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전두환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이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키고 5월 17일에는 계엄령을 내린다. 이를 계기로 광주에서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난다. 진압을 목적으로 군인들이 광주에 들이닥쳐 시위 학생과 일반 시민들에게 구타와 총격을 가하였다. 이에 광주 시민은 경찰서, 군 무기고에서 총을 구해와 대항하였다. 시민들의 대항으로 군인들은 잠시 물러갔으나 곧 내 다시 광주로 들어와 도청에서 시민들을 진압하였다. 그렇게 광주민주화운동은 끝이 난다. 당시 공식 발표에 따르면 사망자 191명, 부상자 852명으로 추론하였지만 실상은 더욱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처음 언론에서는 민주화운동을 ‘광주 폭동’으로 조작하였다. 1988년,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정식 명칭을 규정하지만 아직까지도 지역감정을 갖고 전라도를 배제하는 사람, 아예 이러한 사실에 관심도 없는 사람이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해 제대로 알고 사람들에게 알리며 희생자분들에게 감사히 여기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2017-08-08-17-02-5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박수지기자]


 이번 택시운전사의 개봉은 진실을 알아가는 노력의 시작이다. 개봉 첫 주 400만 명을 넘은 것은 이만큼의 사람들이 깨어있는 사상을 가졌다는 걸 증명해준다. 영화 택시운전사는 픽션이 아닌 실화를 기반으로 제작된 영화이며 서울 택시운전사, 독일 기자처럼 외부인의 시선이 중심이 되어 관객이 더 영화에 집중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사건이 전개될수록 택시운전사 주인공의 감정도 변화된다. 초반에는 시위하는 대학생들을 보고 비난하며 자신의 일에만 충실하지만 후반에는 독일 기자를 두고 서울로 돌아가려다 다시 광주로 유턴하고 적극적으로 독일 기자를 돕는 행동을 보인다. 영화의 장면에는 검문 중에 군인이 광주 택시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서울 번호판을 봤음에도 못 본 척하고 택시를 통과시켜주기도 한다. 이 일 또한 실화이며 군인들 중 몇몇 사람은 원치 않던 행동을 하였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사태를 일으킨 전두환 전 대통령은 자신의 회고록에 ‘계엄군은 죽음 앞에 내몰리기 직전까지 결코 시민을 향해 총을 겨누지 않았다’라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왜곡한 내용을 넣었다. 법원은 전두환 회고록을 출판, 배포 금지하였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참여자의 용기와 숭고한 희생을 통해 세상은 점점 바뀌어가고 있다. 민주주의란 그냥 저절로 생겨난 것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목숨을 바쳤고 노력하였다. 현대인들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바로 민주주의를 지켜나가는 것이다. 우리는 민주주의를 지켜나갈 주역들이다.

전남 매일신문 기자들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중에 전남 매일신문 사장에게 이러한 글귀를 보냈다. ‘우리는 보았다. 사람이 개 끌리듯 끌려가 죽어가는 것을 두 눈으로 똑똑히 보았다. 그러나 신문에는 단 한 줄도 싣지 못했다. 이에 우리는 부끄러워 붓을 놓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박수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최다인기자 2017.08.09 18:19
    저도 오늘 택시운전사를 보고 왔어요! 영화의 전개는 조금 답답했으나 5.18광주 민주화 항쟁을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한게 정말 참신하더라구요. 저게 비록 37년 전이라니.. 현세대의 저희에게 주어진 특권은 저렇듯 많은 젊은 청년들의 목숨이 희생되어 이루어진 보물이 아닐까요, 보면서 참 가슴이 아팠습니다.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5기이영웅기자 2017.08.09 22:29
    저도 택시운전사를 보았는데, 정말 그 당대 상황을 잘 나타내준 것 같아서 재밌게 봤어요. 저들의 희생이 오늘날 우리가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을 다시 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ㅎㅎ 기사 잘보고 갑니다!
  • ?
    5기이채연기자 2017.08.11 02:14
    저도 최근 택시운전사를 보았습니다. 영화를 보고 난 후 왜 이 역사에 대해 표면적인 부분만 알고있었을까 하며 저 자신을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었고 시대적 상황, 배경 그리고 아픔을 독일 기자, 제 3자의 시선으로 광주 민주화 항쟁을 보는 내용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오늘이 있는 이유는 아마 희생된 모든 분들이 이뤄낸 것이라 생각합니다.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
    6기박우빈기자 2017.08.12 22:20
    저도 택시운전사를 봤는데, 배우의 연기와 더불어 내용 면에서도 한국 영화의 수작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연성이 조금 떨어지는 부분은 있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시위 장면과 사람들을 무자비하게 진압하는 군인들의 모습을 제대로 그려냈다는 것입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5기정용환기자 2017.08.20 00:56
    몇 십년 되지도 않은 역사가 편향된 언론에 의해 왜곡되고 날조되고 있다는 사실이 슬프네요.
    지금 역사를 배울 아이들이 잘못된 인식을 가질까봐 겁도 나구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438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134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4656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10644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0638
대한민국의 최저임금 인상, 그리고 이건 옳은 선택일까? 1 file 2018.08.13 이동욱 10638
‘세월호 유골 은폐 사건’ 유가족들의 아픔 2 2017.12.08 박지민 10638
설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홍역 예방법 file 2019.01.28 김태은 10634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631
국민청원 게시판, 국민의 외침에 선명한 메아리로 돌아오길... 1 file 2019.02.27 김동환 10630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0625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0625
제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새 리더는? 1 file 2017.05.09 박기준 10623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10615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607
아직도 갈 길이 먼 시리아 난민 문제 file 2019.05.27 백지수 10598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592
소중한 투표권, 국민들의 선택은? file 2017.04.23 민소은 10588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file 2017.03.25 임선민 10588
갑작스러운 북중 정상회담, 왜? file 2018.04.05 박현규 10587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 이후의 푸에르토리코 섬 file 2017.11.27 이민정 10587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580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0580
하루 속히 밝혀져야 할 세월호의 진실,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1 file 2017.03.27 김나림 10579
게임을 죽이는 게임산업진흥법은 語不成說, 게이머들 "이제는 바뀌어야 된다" 2019.03.25 정민우 10572
문 대통령 “회담은 세계사적인 일” 1 2018.03.30 박연경 10570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0567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567
코로나19 방역 사각지대, 시내버스 1 file 2021.02.19 이승우 10566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0566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566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0563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0563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558
기무사 계엄 “실행” 계획, 국외자의 ‘반란’ file 2018.07.27 김지민 10555
경남 거제시 호우 경보, 학교의 늦장대응에 갈팡질팡하는 학생들 2 file 2017.10.02 조가온 10555
5월, 그리고 가짜 뉴스 2019.05.20 안광무 10554
청와대, '난민법, 무사증 입국 폐지/개헌' 거부 답변을 내놓다 file 2018.08.07 김나현 10553
몰카피해자, 정부가 나선다 2 2018.05.28 이채원 10553
개 구충제인 펜벤다졸, 정말로 암 치료에 효과가 있을까? 5 2020.02.24 배선우 10551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file 2018.02.22 허나영 10544
북한, 6차 핵실험 1 file 2017.09.06 최현정 10544
Greta Thunberg, 스웨덴의 만 16세 소녀가 UN에 서게 된 까닭은? 1 file 2019.09.30 이채린 10543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file 2018.01.29 서호연 10543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0539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0537
'촛불'이 일궈낸 대선, 대선이 일궈낼 더 나은 대한민국 4 file 2017.05.07 김유진 10535
공연계 '미투 운동' 확산… 오는 25일 관객 집회 열린다 6 file 2018.02.23 신지선 10531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file 2017.03.25 소희수 10529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10525
탄핵, 그 후 경제는? file 2017.03.21 장혜림 105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