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PB상품, 득일까 독일까?

by Jelly posted Jul 26, 2017 Views 106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MG_417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서주현기자]


최근 대형 소매업체들이 앞다퉈 PB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PB상품이란 백화점이나 대형 슈퍼마켓 등의 대형 소매업체 측에서 매장의 특성과 고객의 성향을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제작한 자체상표 제품을 말한다대표적으로 대형마트인 이마트의 '노브랜드'와 '피코크', 롯데마트의 '온리프라이스', 'L-beauty' 등 과 편의점업계의 GS리테일의 'YOO US(유어스)', CU의 HEYROO(헤이루), 세븐일레븐의 '7-SELECT(세븐셀렉트)' 등이 있다.


PB상품의 취지는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간 중간차액 없는 직거래 구조로 마케팅과 유통비용을 줄여 단가를 낮추는 것이다이를 통해 제조업체는 대규모 생산을 통해 마케팅판매비를 줄일 수 있고 대형마트는 불필요한 물류비를 낮출 수 있어 서로 이득을 볼 수 있다또한소비자들도 경쟁상품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PB상품이 성장함에 따라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사이가 갑을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유통업체는 PB상품을 고객의 눈에 가장 잘 띄는 판매대인 이른바 골든 존을 독차지하게 해 PB상품이 제조업체의 자체 브랜드와 경쟁을 하게 되거나 제조사가 자체 브랜드의 경쟁력을 잃게 되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유통업체 측에서 타 업체의 PB상품을 생산했다는 이유로 거래를 중단한 사례도 있어 제조업체가 유통사들의 하청업체로 전락하거나 이익을 얻지 못해 중소 제조업 자체가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좋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상품인 만큼 생산업체와 유통업체 간의 충돌 없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생산된다면 PB상품이 큰 인기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서주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유림기자 2017.07.27 13:52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소매업체들의 경쟁으로 더욱 맛있고 편리하고 저렴한 상품들이 나와서 좋다고 생각합니다만 생산업체와 유통업체 간의 충돌 없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생산되어야 한다는 기자님의 말에 동의합니다. 좋은 정보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최가현기자 2017.07.27 16:58
    PB 상품이 저렴하고 편리하여 주로 이용했었는데 유통업체와의 충돌을 생각하니 좀 더 복잡해지는 것 같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염가은기자 2017.07.31 00:5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B상품이 어떤건지 뿐만 아니라 관련 설명 및 영향까지 알려주시니 더 좋은 것 같아요.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5기홍정연기자 2017.08.07 22:07
    편의점에 진열되어 있는 과자로만 보고 지나쳤었는데 이런 숨은 이야기가 있다는 사실에 놀랍네요. 일상생활 속에서 그냥 지나친 부분에 대해서 새로 일깨워준 기사였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674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535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8616
OECD 국가 중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주지 않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 2 file 2018.04.05 김선웅 20810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0799
프라임 사업의 취지와 문제점 3 file 2016.05.15 김혜린 20786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6 file 2017.09.08 이지현 20785
소녀상 농성, 그 400일의 분노 file 2017.02.06 윤은서 20752
약국에 가지 않아도 일부 약을 살 수 있다, <안전상비의약품약국 외 판매제도>에 대해서 1 file 2017.02.19 차은혜 20719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0710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11 file 2017.01.22 최영인 20644
피고는 '옥시', 국민은 '싹싹' 32 file 2017.01.09 이주형 20631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0631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이번엔 국내 유명 청소년 행사인 ‘한국청소년학술대회’ 표절·베끼기 의혹 (종합 2보)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20574
對(대하다)北제재 아닌 對(대화하다)北을 향한 길 7 file 2016.02.24 김선아 20548
엑소 콘서트 티켓팅, 과한 열기로 사기 속출 19 file 2016.02.25 김민정 20546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0536
종교가 우선인가, 안전이 우선인가? 더 커진 '부르카' 착용 논란 file 2017.11.01 이윤희 20534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526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0465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0446
쓰레기 무단투기...양심도 함께 버려진다 2 file 2020.04.29 정하늘 20416
미디어의 중심에 선 청소년, 위태로운 언어문화 2014.07.27 김지수 20387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0367
없어져야 할 문화, 할례 2 file 2019.04.27 이승환 20303
노랑나비,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해 날다. 1 file 2016.03.24 강민지 20284
요즘 뜨고 있는 비트코인...도대체 뭘까? file 2017.12.18 임채민 20251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0245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20233
[오피니언] 모든 병의 근원! 흡연!!! 2014.07.27 전민호 20226
버스 정류장이 금연 구역이라고요? 2 file 2018.08.10 남지윤 20212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명 피해까지 발생해 3 file 2017.02.06 이채린 20211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207
공익과 사익의 충돌_이해관계충돌방지법 file 2020.05.04 임효주 20205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185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0176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070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066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055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043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19965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19957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19953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19948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19937
대만의 장세스, 그는 과연 영웅인가 살인자인가 file 2017.02.22 이서진 19868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19848
언어는 칼보다 강하다 2014.07.27 박사랑 19845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19844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19840
커피 값으로 스마트폰을 사다?! 11 file 2016.02.20 목예랑 198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