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제노포비아' 그 문제점은?

by 4기김다정기자 posted Jul 25, 2017 Views 3206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MG_553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다정 기자]


외국인/이민족 집단을 혐오하거나 배척하는 외국인 혐오증을 의미하는 제노포비아(Xenophobia)는 이방인이라는 의미의 '제노'(Xeno)와 혐오를 의미하는 '포비아'(Phobia)가 합성된 단어이다.

최근 다문화 사회로 인해 국제적 교류 등이 활발해지고 있는 긍정적인 면이 많지만, 일부 사람들이 외국인을 차별하거나 배척하는 현상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자유와 평등을 중시하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제노포비아 현상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

문제점은 자신들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외국인의 언어, 외모, 문화적 차이 등을 수용하지 않고 혐오한다는 것이다.

인종차별도 제노포비아에 해당되는데, 최근에 인종차별은 줄어들고 있지만 문화적 차이로 외국인을 차별하고 있다는 것이 또 다른 문제점이다.

이 현상은 자문화 중심주의나 개인주의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도 있는데, 
얼마 전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아이돌 가수 E 그룹 멤버 B가 성대모사하며 얼마 전 종영된 TV프로그램에 출연하였던 외국인 연습생의 서툰 한국어 발음을 대놓고따라 하며 희화화하여 논란이 된 사건이  있었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타 멤버들도 다 같이 동의하며 웃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멤버 B와 타 멤버들이 외국인 연습생을 대상으로 제노 포빅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외국인 연습생의 팬들을 포함한 많은 네티즌들이 분노하여 E 그룹과 E 그룹의 소속사에 피드백과 사과를 요구하였고, 멤버 B는 사과문을 업로드하였다. 그의 사과문의 내용은 반성하고 있고 외국인 희화화를 하려는 의도가 없었다는 주장이었지만, 이미 네티즌들은 불쾌함을 느끼고 E 그룹을 제노 포빅을 한 그룹이라고 낙인 시켜버렸다.

다른 유명한 예시로는 “이민자는 범죄자”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 등이 있다.


제노포비아를 완전히 없애기는 현실적으로 힘들다. 그러므로 다문화 사회에서 외국인 차별, 혐오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문화의 다양성 이해하고 넓은 시각으로 바라보기, 자신이 외국에 갔을 때 자신도 외국인(이방인)이라는 역지사지의 경우로 생각하기, 인종차별이나 국가 차별 금지 캠페인 등이 있고, 일상생활 속에서 외국인을 혐오하거나 차별하려는 의식을 갖지 않아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김다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690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452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4271
수용자를 집에서도 만날 수 있다고? 1 file 2017.03.18 노유진 18806
스마트폰이 신체의 일부가 된 사람들 6 file 2020.04.13 차예원 22381
시각화 그게 뭐길래? -시각화의 이중성 1 file 2022.03.25 조수민 15479
쓸 만한 인간 '배우 박정민' 1 file 2018.02.27 강서빈 20457
연이은 대형주의 폭락…갈 곳 잃은 동학개미들 file 2021.09.17 송경원 10811
유전자 조작이 낳은 계급사회 1 file 2020.02.17 조윤혜 24875
이제는 우리도 당원입니다! 더불어민주당 청소년 예비당원 입당원식 개최 5 file 2020.11.25 김찬영 25382
일명 '픽미 세대'의 살아남기 경쟁 속 희망 '청년창업 지원정책' 11 file 2017.02.21 이현주 20861
자극적인 콘텐츠 속 블루오션, '무자극 컨텐츠 연구소' file 2017.08.01 김재윤 43277
재심, 모두가 꼭 보았으면 하는 영화 1 file 2017.02.22 박소이 21764
전국 일시에 KT 네트워크 먹통...KT "위기관리위원회 가동" file 2021.10.28 조동성 13094
정의란 무엇인가? 꿈에 다가가기 위한 캠프, 대검찰청 주관 이준 저스티스 캠프가 개최되다! file 2017.08.27 김은민 18989
제7회 전국상업경진대회 시상식, 부산 대표단 참석 file 2017.10.10 신지윤 24319
청소년들이 의원이 되어 참여하는 '아산시 청소년의회' file 2019.04.26 신여진 21852
청소년을 위한 텐, 그리고 텐 경제학 file 2018.07.25 박민정 19906
청소년이 그려내는 통일의 미래가 펼쳐진다 2017.08.22 윤예진 24249
축구계의 갑신정변, 슈퍼리그 창설 계속되나? file 2021.08.09 이인황 17790
캣조르바 탐정추리학교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3 file 2019.02.08 심화영 22703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6213
한눈에 알아보는 스케줄-스케줄 정리 애플리케이션 수업 시간표 알아보기 file 2022.05.26 조수민 14298
함께 만든 100년 함께 만드는 미래 file 2019.03.13 이서진 207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