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교권이요? “선생님 수업하실 때 선생님 성함 제일 크게 외치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도 하고요…”

by 6기신아진기자 posted Jul 23, 2017 Views 168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 stand upon my desk to remind myself that we must constantly look at things in a different way" (나는 끊임없이 사물을 다른 각도에서 보아야 한다는 걸 잊지 않으려고 책상 위에 서 있는거야), “Oh, Captin. My Captin.” 현대 교육제도의 맹점을 비판한 사회 비판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 나온 대사이다. 진정한 교육에 열정적인 존 키팅 선생님의 말에 학생들은 “Oh, Captin. My Captin”이라며 존경을 표한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은 정말 영화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가 되어가고 있다. 오늘날 끝없이 추락하는 교권에 대해 살펴보고 그 돌파구를 모색해 보고자한다


교권침해 현황 그래프.png

[이미지 제공=정보공개포털.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다음 그래프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전체 교권 침해 건수는 5,562(13)에서 3,402(15)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학교급별 현황을 살펴보면 중·고등학교에서의 교권침해 건수는 2013년 이후로 매년 감소하는데 반해 2015년 초등학교에서의 교권침해 건수는 1.4배가량 증가하고 있다.

     

  기자는 초··고등학교 중 특히 고등학교에서 교권 침해가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천의 고등학교 4곳의 학생(학교 당 각 1)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2016년부터 지금까지 본인의 학교에서 교권 침해 사례를 목격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4명 중 3명은 본인의 학교에는 교권 침해가 일어나고 있지 않은 것 같다고 답을 했다.

      

  그러나 나머지 한 학생 (A학생)아 혹시 수업시간에 누워있는 것도 교권침해인가요?”라며 본인 학교의 이야기를 꺼냈다. “의자 3개 붙여놓고 수업시간에 담요 덮고 자는 친구들이 있어요. 그리고 선생님 칠판에 판서하실 때 춤추는 애도 있고 선생님을 향해 손가락으로 욕하는 애도 있고요” “선생님 수업하실 때 선생님 성함 제일 크게 외치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도 하고라며 학교에서 목격한 교권 침해 사례를 이야기를 꺼냈다. 방과후 수업 시간에 대놓고 책상위에 휴대폰을 올려놓고 게임을 하기도, 또 어떤 경우에 남자 분반인 학생들은 선생님 눈을 피해 피구공을 던지면서 놀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A학생에게 수업시간에 선생님 몰래 장난 치는 것들은 선생님들도 아시냐는 질문을 추가로 하였는데, 이에 A 학생은 다 알면서 그냥 포기하신 것 같아요. 선생님 10분 중 3명 정도 빼고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신경 안쓰세요. 그냥 진도 나가기 바쁘시달까요?”라고 답했다.

 

  전체적인 통계로 보았을 때 교권침해 사례는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지만, 이는 학교 마다 다르며 그 정도에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교권 추락의 돌파구는 없을까? 미국이나 일본 같은 경우는 교사와 학부모가 서로 책임지면서 긴밀한 관계를 이루어 간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주로 학부모의 목소리만 큰 상황이다. 이럴수록 교사와 학부모 간의 실질적인 소통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또한 조사한 바에 따르면 교사를 상대로 실시하는 교권에 대한 꾸준한 교육이 실시되고 있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교권 침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적절한 대응 방안을 안내하는 지속적인 교육이 실시되어야할 것이다.

      

 

  진심으로 존경하는 마음을 가질 줄 아는 학생. 치맛바람과 학구열을 구분할 줄 아는 학부모. 그리고 학부모 등쌀에 휘둘리지 않는 교사가 존재하는 교육계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신아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조영지기자 2017.07.24 21:09
    교권추락이 심각하긴 한 것 같아요. 점점 자녀들을 감싸돌면서 키우는 학부모님들이 많아지는 것도 한 원인인 것 같은데, 어찌되었든 서로 존중하는 학교 문화가 자리잡았으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성유진기자 2017.07.26 01:36
    교권추락의 이유로 요즘 선생님을 준비하시는 사람들이 줄었다고 들었어요
    가정교육이나 어릴때 배우는 교육들에 문제가 많은 것 같아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성유진기자 2017.07.26 01:36
    교권추락의 이유로 요즘 선생님을 준비하시는 사람들이 줄었다고 들었어요
    가정교육이나 어릴때 배우는 교육들에 문제가 많은 것 같아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물론 학생이지만, 저는 교권 침해의 가장 큰 이유가 -체벌 금지-인것 같습니다.
    부모들이 아이들을 학교에 맡기면서 그들을 '책임질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지만
    그들이 올바른 길로 가지 않을 때에 '책임질 수 있는 수단'을 빼앗아 버린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극단적인 체벌은 물론 좋지 않겠지만 합리적인 체벌로 인해 학생들이 더욱더 교사를 존중하고
    교사는 그들을 자신의 자녀들을 대하듯 옳은 길로 인도하여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 ?
    6기강현욱 2017.11.19 17:40
    교권 침해의 가장 큰 이유를 체벌 금지라고 하신 분이 있으셨는데 전 다른 생각입니다. 체벌은 학생 개개인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는 것입니다.
    체벌금지가 없었던 세대에선 교사들이 비합리적으로 체벌을 남발하는 경우도 다반사였습니다.
    교권 침해의 절대적인 이유는 교사와 학생의 소통 부족입니다.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데 어떻게 존중의 단계로 나아갈 수 있겠습니까? 체벌은 그러한 학생과 교사가 서로를 이해하는 데에 벽을 세울 뿐입니다. 체벌 이전에 대화입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958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809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1533
‘포켓몬 고’ 따라 삼만리, 각종 부작용 속출 file 2017.02.08 박현규 16409
2월 14일, 달콤함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 16 file 2017.02.14 안옥주 16415
휴가를 반기지 않는 반려견들 5 file 2016.08.11 임지민 16421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6447
4차 민중총궐기, 서울광장에서 진행 5 file 2016.02.27 황지연 16475
대형마트 의무휴업, 누구를 위한 휴업일인가? 4 file 2016.05.22 이소연 16481
포켓몬GO, 사건사GO? 5 file 2017.02.25 김대홍 16488
3월 9일 부분일식 관찰 2 file 2016.03.25 문채하 16505
고속버스 시내버스…. 심지어 통학 버스도 음주운전 기승 6 file 2016.03.26 최희수 16517
날개 꺾인 나비들의 몸부림, 그리고 두 국가의 외면 7 file 2016.02.25 최은지 16527
간통죄 폐지 이후 1년, 달라진 것은? 8 file 2016.02.25 한서경 16534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16551
제노포비아, 한국은 어떤가요? file 2018.10.24 남지윤 16559
경제가 시사하는 게 ISSUE - 공급과 공급의 탄력성 file 2018.08.27 김민우 16562
김정남 암살, 그 이유는? 북한 이대로 괜찮은가 1 2017.03.02 조영지 16569
내가 하면 로맨스, 네가 하면 스캔들? 4 file 2017.01.25 김민정 16578
18세 선거권, 권리 없는 의무가 있을 수는 없다. 5 file 2017.05.05 윤익현 16589
근로자의날, 일제식 표현이라고? 2 file 2016.03.25 김윤지 16590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누가 차별당하는 것인가 4 file 2017.07.19 윤익현 16590
스크린 독과점의 논란, 재시작? 3 file 2016.09.14 손지환 16603
지카 바이러스 확산 대응 방법은? 2 file 2016.03.25 노태인 16615
기대와 우려속···안철수 전 대표의 '5-5-2 학제 개편안' 2 file 2017.02.19 김정모 16619
세월호 참사 2주기 세월호가 한국 정치에게 묻는다. 2 file 2016.04.22 이강민 16626
소녀가 홀로 싸우지 않도록 우리가 함께할게요. 10 file 2017.02.16 안옥주 16626
벽화, 주민들을 괴롭히고 있진 않습니까? 2 file 2016.03.24 이하린 16627
비바람에도 꺼지지않는 촛불, 14차 광주시국 촛불대회 1 file 2017.02.13 정진영 16640
대한민국의 조기대선, 후보는? 8 2017.01.31 유태훈 16646
부산구치소 이전 설명회, 시민들의 반발로 무산 1 file 2017.02.19 손수정 16647
변화해야 할 대학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10 file 2016.02.22 박나영 16664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로 본 대한민국의 정치 file 2016.09.25 구성모 16667
통영시 청소년들 만18세 투표권행사 열어 1 file 2017.02.20 김태지 16684
믿을 수 없는 사학재단의 끊임없는 비리 - 성신여대 심화진 총장 법정 구속되다 1 file 2017.02.24 정선우 16689
내 손 안의 판도라... 스마트기기 14 file 2016.02.13 한종현 16696
원자력의 두 얼굴? 뭐가 진짜 얼굴인지 알고 있잖아요! 7 file 2017.02.12 박수지 16699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과제 1 file 2016.04.25 강예린 16705
사드 배치, 남한을 지킬 수 있는가 17 file 2016.02.16 고건 16723
14일 '충주시민 반기문 환영대회' 열리다. 3 file 2017.01.25 김혜린 16725
나비 달기 캠페인과 함께 하는 위안부 서명운동 4 file 2016.04.09 오시연 16726
폐허가 되어 버린 리우 올림픽, 마냥 동정만 할 수 없는 이유 3 file 2017.02.24 박우빈 16744
소년법 개정 (목적은 교화 먼저?/처벌 우선?) 1 file 2018.02.05 정준교 16762
오프라인 쇼핑몰의 위기.. 사실 온라인 쇼핑몰 매출 상승 때문이 아니다? file 2019.05.31 김도현 16779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6782
현대판 코르셋,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9.02.22 문혜원 16784
비판을 비판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3 file 2017.02.20 김민주 16788
특검수사 기간 D-11, 특검 연장을 외치며 시민들 다시 광장으로 file 2017.02.19 김동언 16790
도로 위의 무법자, 버스 7 file 2017.01.21 신승목 16806
기내난동은 이제 그만! 항공보안법 개정안 발의 3 file 2017.02.19 이나희 16815
헌법재판소 앞, 식지않는 열기 file 2017.02.18 전태경 168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