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바둑의 신, 알파고

by 4기윤정원기자 posted Jul 20, 2017 Views 1396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오늘 인공지능 알파고와 중국의 커제 9단과의 두 번째 대국이 열렸다. 결과는 현재까지 알파고의 2연승이다. 알파고는 작년 3, 이세돌 9단과의 대국에 등장한 AI로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이다., 커제와의 대국의 알파고는 이세돌 9단과의 대국 때의 알파고보다 더 진화하였다. 이번 커제와 대결을 한 알파고 2.0(마스터)은 알파고 1.0이 이세돌 9단과의 대결에서 1패 했던 허점을 찾아 보완하였고 더 효율이 높아졌다. 알파고 1.0은 인공지능 칩을 50개 사용했었던 반면, 알파고 2.04개만 사용할 정도이고, 일명 셀프대국, 자신과의 대국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방법인 강화학습으로 훈련하여 더 강력해졌다. 커제는 지난해와 완전히 달라진 알파고를 바둑의 신이라고 부르며 제2국은 155수 흑 불계승으로 끝났다. 내일모레 제3국이 열릴 예정이라고 한다.

구글 딥마인드 CEO이자 알파고 개발자인 데미스 하사비스는 이 대국은 인간과 기계의 경쟁이 아니라, 기계와 함께 새로운 지식을 탐구하는 것”, “알파고 최종목표, 바둑이 아니다라며 앞으로 더 발전하여 단순히 바둑을 잘 두는 인공지능이 아니라 인간의 삶에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것이 최종목표라고 밝혔다. 또한, 인공지능이 바둑은 잘 두지만 아직 인간의 지능을 따라잡기에는 부족하다고 밝혔다.

  인공지능이 계속 발전할수록 인간은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어 지배하는 세상이 올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siri, s보이스, 왓슨 등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 이미 많이 도사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인간의 뇌를 뛰어넘을 정도는 아니다. 인공지능의 미래는 계속 발전할 것이고, 진화하면서 인간에게 도움이 되도록 인공지능과 인간이 공존하는 세상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KakaoTalk_Photo_2017-05-25-22-48-36_17.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윤정원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윤정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9836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9587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16170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숨겨진 사실, 5.18 최후 항쟁지? 1 file 2017.02.25 홍민서 14815
국립서울현충원에서 '호국보훈백일장 및 그림그리기 대회' 열려 file 2017.05.20 이나영 19395
국립부산과학관, 지구의 행복 1박 2일 캠프 성공리에 마쳐 5 file 2017.02.15 박서영 19167
국립부산과학관 정월대보름 맞이해 다채로운 행사 개최 6 file 2017.02.12 양민석 14530
국립대구박물관 2016년 설맞이 문화행사,성공적으로 막을 내려... 11 file 2016.02.10 김윤지 16696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서 '키즈 바이오 사이언스 페스티벌' 열려 2017.05.20 박은서 14149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 문화 조성 위한 2022 ‘코로나 우울 백신 마음 건강 작품 공모전’ 개최 file 2022.08.09 이지원 8497
국립김제청소년농업생명체험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 4기의 첫걸음 3 file 2017.02.16 최희주 13805
국립광주과학관, 2030 미래도시 강연 개최 file 2017.08.28 오경찬 14314
국립 중앙 박물관에 자리 잡은 세 나라의 호랑이들 1 file 2018.02.20 이시현 14775
국내 최대 자동차 전시 '2023 서울모빌리티쇼' 킨텍스서 개최 file 2023.04.03 조영채 10511
국내 최대 규모의 건축박람회, MBC 건축박람회 file 2017.08.31 최나연 17369
국내 바다가 지겹다면 대마도 미우다 해변으로! 1 file 2017.09.05 이지원 20870
국내 도시재생의 성공 사례, <인천 개항로> 2 file 2022.02.28 김다희 11846
국가란 무엇인가 - 유시민 file 2017.09.26 홍도현 15055
국가간 청소년 교류를 통한 민간외교관 되어보기 file 2016.07.22 변지원 13773
구한말 개화기로 돌아가다, 논산 선샤인랜드 file 2018.12.19 정호일 24021
구일고등학교의 아이돌 'KD'를 소개합니다 file 2017.03.25 임수윤 20036
구영회, NFC 우승팀과의 경기에서 맹활약...팀은 완패 file 2021.09.28 윤형선 9187
구석기시대가 살아 숨쉬는 연천, 구석기축제 성공적 마무리 1 file 2017.05.19 이태양 13295
구민들을 위한 "2017 중랑 북 페스티벌" 1 file 2017.10.27 이지현 15269
구립증산정보도서관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옛이야기에 담겨있는 인문학 만나기 file 2022.05.17 이지원 9664
구립 은뜨락도서관, 북한산 인문포럼 : ‘나는 북한산 아래 산다’ 프로그램 운영 file 2022.05.30 이지원 9101
구리시 사랑의 도시락, 소외된 이웃들에게 사랑을 전해요. 6 file 2017.08.20 오경서 13681
구름의 생성과정 4 2017.07.04 장민경 16819
구름도 떨어지고 있다! file 2021.05.26 윤수정 13364
구글이 바라는 이상적인 통신사 Made by Google 통신사 : Google Fi file 2019.02.28 정성원 22282
구글의 빅데이터, 어디까지 알 수 있을까? file 2018.01.23 신온유 18399
구글, 차기 안드로이드 블루투스 고음질 'LDAC' 코덱 기본 탑재! file 2017.05.22 김지훈 23937
구구단 첫 팬미팅, <9원 9일의 구구단짝> file 2017.11.06 이지나 15001
교통카드에 선불결제까지... 청소년증 발급하고 할인혜택 받으세요. 15 file 2017.01.22 오경서 26028
교토의 랜드마크라고 불리는 청수사, 알고 보면 백제의 죽마고우(竹馬故友)? 6 file 2016.02.23 안민 23564
교토, 일본 본연의 도시 7 file 2018.08.20 이승철 19043
교육체제가 아닌 교육 제재 2021.04.01 박지은 12264
교육봉사? "선생님이 꿈인 친구들 여기여기 모여라~!" 2 file 2017.08.25 이승연 14958
교육, 뭐시 중헌디? (교육 받을 권리 고려해봐야.) 1 file 2016.08.01 오성용 19215
교육 기술의 모든 것을 한곳에서! 2017교육박람회(EDUTEC) 9 file 2017.01.21 노유진 20903
교보교육재단, 창의적 인재육성프로그램 체인지 프로그램 성공적 개최 1 file 2017.07.11 이태양 15500
교보교육재단, ‘백년을 잇는 포용의 리더십’ 성공적 마무리 file 2017.10.10 이태양 15002
광주시 이웃사랑 걷기캠페인 성황리에 마쳐 file 2017.06.23 전은지 13214
광주광역시의 대표하천, 광주천 file 2022.02.14 채원희 9222
광주, 3.1절 100주년 기념행사 '그날의 함성이 울려퍼지다' 1 file 2019.03.06 조햇살 17044
광주 프린지 페스티벌, 그 멋과 열정 속으로 1 file 2017.09.22 김서영 16884
광주 트라우마센터 치유의 인문학 시인 박준,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1 file 2017.09.25 이세림 15437
광주 기아 챔피언스필드에 가보다 2 file 2017.09.07 장세인 15289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하늘마당, 빛과 그림자 file 2017.06.25 이세림 20663
광정동청소년문화의집, '코딩과 인공지능' 주제로 스마트한 생활과학교실 운영 file 2022.07.13 이지원 10646
광운대 아이스하키팀, 96년 만에 환호성 질러 2 file 2017.02.19 김연수 181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