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V 계열 신경작용제란 무엇인가

by 4기박서영기자(IT과학) posted Jul 19, 2017 Views 1849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2월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한 사건이 하나 있다바로 故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장남이자 현재 북한 노동당 위원장 김정은의 이복형인 김정남의 사망 소식이다김정남은 2월 13일 오전 9말레이시아 수도인 쿠알라룸푸르 공항에서 어느 여성 2명에 의해 피살되었다.

두 여성은 김정남의 뒤로 접근하여 독극물을 묻힌 양손으로 김정남의 얼굴을 감싸서 문질렀다고 한다이에 독극물은 김정남의 눈 점막으로 스며들었고 그 독극물은 호흡기로도 일부 흡수되어 김정남이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두 여성의 정체와 함께 이 피살에 사용된 독극물이 무엇인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다이때 사용된 독극물은 계열 신경 작용제 중 하나인 VX로 밝혀졌다.

신경 작용제는 흡입 또는 피부에 접촉할 경우 주로 자율신경계통인 교감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균형을 파괴한다신경작용제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짧은 시간 내에 사망에 이르게 하는 급속 살상 작용제를 의미하며이러한 신경작용제를 사람에게 투입하면 코흘림가슴 압박감호흡곤란동공 축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신경작용제의 종류는 그 지속시간에 따라 비지속성의 GA, GB, GD, GF 등과 지속성의 VX 등으로 나눌 수 있다.

V계열 신경작용제(V-Series Nerve Agent)는 1950년대 미국과 소련의 실험실에서 동시에 개발된 작용제로 지금까지 발견된 작용제 중 독성이 가장 강하다고 한다이러한 V계열 신경작용제는 현재 생산이 금지되어있다현재까지 얼마나 많은 V계열의 작용제가 개발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신경작용제가 김정남 암살에 사용된 VX(Venomous Agent X).

1012518_211412_208.jpg

[이미지 제공=뉴시스]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VX는 매우 강한 독성 물질이며 맛과 냄새가 없는 호박색 물질이다또한 기체와 액체 상태로 존재하여 주로 우리 몸의 여러 감각기관에서 받아들인 신경정보들을 모아 통합조정하는 중앙처리장치에 해당되는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입힌다피부를 통해 인체에 흡수될 경우신경가스로 우리에게 조금 더 익숙한 사린보다 최소 백배 이상의 독성을 발휘하며호흡기를 통해 흡입할 경우 독성이 두 배 정도 강하다. VX는 일반적인 평상 기온보다 낮은 온도에서 오랫동안 존재하며 아주 추운 날씨에서는 수개월 동안 효과가 지속되며 흡입시에는 50mg,피부 접촉시에는 10mg만 흡입 또는 접촉만 되어도 사망에 이를 정도로 강력한 화학무기라고 할 수 있다또한 인체 자율신경의 불수의근과 샘에 손상을 입혀 근육을 지치게 만들어 더 이상의 호흡을 막는다만약 체내의 들어왔을시 재빠르게 옷을 벗고 흐르는 물이나 식염수에 눈을 소독한 후 물로 피부를 씻어 내야 한다.

평소 사회이슈에 관심이 많은 박희창(51)씨는 현재 정치적 문제를 비롯해 큰 사건들이 너무 자주 일어나 사회가 혼란스럽다”라며 하루빨리 평화로운 대한민국이 다시 찾아왔으면 좋겠다"라는 바람을 밝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박서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7730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7492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95609
도심 속 작은 힐링을 마주하기 file 2016.10.26 강예린 14646
도심 속 환경으로, 서울환경영화제(SEFF) file 2018.05.31 박선영 20614
도심 속에서 찾는 여유, '덕수궁' file 2021.09.09 박혜원 10697
도심 속의 작은 우주, 대전시민천문대 3 file 2019.01.23 정호일 17580
도심속 역사이야기 file 2017.04.08 정주연 13203
도심속 찬란한 멋과 예술, '제3회 부산 희망드림 빛축제' file 2023.03.27 김보민 6187
도심의 자리 잡은 예술, 스트리트 뮤지엄 11 file 2017.01.25 이예인 15816
도심의 한복판에서 휴식을 찾다 1 file 2016.05.21 민원영 14284
도움이 필요할 땐 이곳으로-한국소비자원 file 2016.11.18 김나림 17568
도자기 속에 숨겨진 '독', 이제는 밝히겠다. 2018.04.05 유민울 21210
도자의 꿈, 문화를 빚다. 2017.05.24 홍선의 14362
도전! 골든벨 묵호고와 함께하다. 1 file 2014.10.25 최희선 34977
도쿄올림픽, 안전하게 치러질 수 있을까? file 2021.04.20 풍은지 12481
도쿄올림픽의 금메달은 깨물어도 될까? file 2021.09.23 김하영 9368
독도 사랑 필통을 만들다!!(하늘고등학교 한방울 봉사단) 6 file 2016.03.13 김강민 16295
독도 체험관, 서울에서 독도를 만나다 file 2016.03.21 이소민 18262
독도, 세종실록지리지 50쪽에는 없다 3 file 2018.11.09 박상연 34877
독도를 가슴에 품고 대한민국을 세계로! 4 file 2017.06.03 정지윤 14309
독도를 위한 반크의 움직임, 디지털 독도 외교대사 발대식 ! 1 file 2016.04.11 황지연 15170
독도의 날 맞아, 독도문화제 개최 file 2018.11.28 여인열 13369
독립기념관에 가다 2019.01.25 전서진 17407
독립기념관에서 민족의 얼을 찾다 file 2017.05.24 조수민 13812
독립지사의 고통이 담긴 곳, 서대문형무소 file 2019.06.03 이윤서 15624
독보적 콘텐츠로 팬들과 소통한다! 세븐틴의 ‘고잉 세븐틴’ file 2020.11.25 김민결 13623
독서 기록 앱, '북적북적'을 파헤쳐 보다 1 file 2021.10.25 김승원 10693
독서마라톤 완주를 향하여 2 file 2016.05.21 장서윤 16632
독서의 도시 김해의 2016김해의 책 file 2016.07.18 최우석 15197
독수리의 기적, '나는 행복합니다' file 2018.10.16 이수민 15518
독일어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주한독일문화원 '파쉬 페스트' 1 file 2017.06.25 장지윤 16044
독특한 향기의 문화를 담은 중남미문화원 1 file 2020.02.04 맹호 14113
돌고래에게 자유를! 1 file 2017.03.21 문아진 17850
돌아보는 '설날'.... 연휴의 연장선 아닌 온정 나누는 우리의 고운 명절 5 file 2016.02.25 안성주 23676
돌아온 안방마님 양의지, 팀에 끼치는 영향은? 2 file 2017.07.26 최민주 14232
돌아온 컨셉 장인, (여자)아이들 1 file 2020.04.27 김민결 12252
돌풍의 에버튼! 파죽의 7연승 file 2020.10.14 최준우 13452
동남아 여행, 이 애플리케이션 꼭 다운 받아야해! file 2020.09.21 정진희 12243
동남아시아의 빈부 격차, 과연 해결이 가능할까? 1 file 2016.05.28 임주연 23095
동대문 DDP에서 열린 '헬로키티 50주년 특별전' file 2024.04.27 이주하 5263
동물 실험에 따른 생명윤리 문제 4 file 2017.05.18 김동수 23086
동물 없는 동물원: Augmented Reality Zoo file 2019.09.05 이채린 18531
동물, 사람의 가족이 되다 file 2017.05.24 김혜원 13040
동물보호법 개정, 그리고 모두가 행복한 세상 file 2017.03.20 박수지 14923
동백의 딸들, 성화 봉송에 참여하다 file 2017.11.07 이유진 16185
동산고, 송호고와 함께하는 영어책 읽어주기 멘토링 '리딩버디' file 2017.03.18 김명진 16877
동성애에 대한 인식, 어떻게 바꿔야 할까? 2 2017.05.08 박수지 20521
동아리 COY가 주최하는 학교밖청소년 토크콘서트 열려 file 2016.11.25 박성수 15068
동양의 나폴리와 함께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 file 2018.08.23 강이슬 15205
동양최대 목조건축물 대광사 미륵보전 완공 file 2017.04.18 정인교 167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