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우리는 왜 사진전을 가는가?] 라이프 사진전, 역사와 삶의 ‘리얼’ 이야기를 담다

by 4기김혜원기자_2 posted Jul 12, 2017 Views 331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캡쳐1 용량.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 기자단 4기 김혜원 기자]


때로는 한 장의 사진이 여러 마디의 말 보다 더 많은 것들을 이야기해준다.’_라이프 사진전


77일부터 108일까지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 라이프 사진전이 열린다. ‘라이프 사진전은 이번에 국내 전시회에서 지금까지 국내에 공개하지 않았던 130점의 사진을 전시한다. 모든 앵글은 저마다의 이야기와 외침으로 가득 차있었고, 사람들은 사진들 앞을 쉽게 지나가지 못했다. 사진전에서, 본 기자는 역사 속의 삶과 인물들의 고민과 슬픔 행복 그리고 절정을 모두 마주할 수 있었다.


라이프 사진전은 20세기 사진잡지의 정상에 있었던 <라이프>의 사진을 전시한다. <라이프>193611월 탄생해 1972년에 폐간한다. <라이프>는 그 당시의 이야기들을 사진에 담았고, 그 시대 사람들은 잡지로 상황과 아픔, 그리고 행복을 함께 알고 느낄 수 있었다.

사진은 주제별로 전시가 되어있다. 얼굴, 시대, 변화, 20세기 등으로 이루어졌다. 수려한 외모를 자랑하는 여배우들의 정치와 꿈, 찰리 채플린과 비틀즈, 앤디 워홀 등 많은 예술가들의 순간을 만날 수 있다. 또한 한국과 관련된 사진도 있다. 최초의 걸그룹 김시스터즈, 이승만 대통령과 외국 인사들, 사진전 중간에 있는 영상 속에서 과거 우리나라 피난민의 모습도 만나볼 수 있다. 모든 사진은 실제 그 순간에 촬영된 것이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책 <파라다이스 1> , 마지막 챕터 '영화의 거장에서 영화의 거장은 과거의 실제 사람들의 영상을 담아 영화로 만든다. 그의 영화가 실제 영화인지 모르는 대중은 그 영화의 이름 없는 배우들과 감독을 대단하게 생각하고, 영화에 푹 빠지게 된다. 이번 사진전을 보며 앞서 언급한 영화의 거장이 생각났다. 사진 속의 이름 없는 배우들은 저마다의 리얼한 표정으로 순간을 맞이했다. 아니, 그들의 순간은 리얼이었다. 그들의 눈동자와 분위기 하나하나가 마치 그 순간에 있는 것처럼 관객을 몰입하게 만들었다.



캡쳐2 용량.JPG     캡쳐3 용량.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 기자단 4기 김혜원 기자]


우리는 사진전을 왜 가는가?’ 사실 본 기자 또한 사진전을 좋아하지만, 이 물음의 대답을 찾기는 어려웠다. 수많은 곳에 달린 다음과 같은 댓글들은 (“그냥 사진 확대한 거 왜 보러가지?”, “인터넷으로도 충분히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이 사진전이다”)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사진전의 감동을 알기 어렵게 만든다. 이번 라이프 사진전은 첫 물음에 답을 구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직접 사진전에 가서 사진의 의미와 감동을 온몸으로 느끼는 것, 그리고 그 사진의 스토리 속에 빠지는 것은 사진을 보다는 표현보다 사진을 느끼다는 표현이 더 알맞은 것 같다. , 우리는 사진을 느끼러 사진전에 간다고 할 수 있다.


감독, 기자, 사진 기사, 또한 미디어와 관련된 많은 직업을 꿈꾸는 학생들과 그 일을 하고 계신 분들에게 이번 라이프 사진전은 큰 배움의 터이자 인생에 깊이 남을 순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기자는 이번 사진전을 통해 앵글의 구도뿐만 아니라, 미디어 제작가의 정신을 마음으로부터 배워갈 수 있었다. 빠르게 흘러가는 시간과 변화하는 사회에 이번 사진전은 모든 연령대에게 울림과 순간의 미를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아닐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 = 4기 김혜원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하영기자 2017.07.13 10:00
    기사를 읽고 누군가에게는 사진전이 인생에 깊이 남을 수 있는 시간이라는 말에 공감하게 되었습니다. 사진을 보고 그림을 본다는게 익숙하지도 않고, 먼이야기 같았는데 느껴볼 수 있다는 표현이 감동적이기도 했습니다. 좋은기사 잘 읽고갑니다.
  • ?
    4기김혜원기자_2 2017.07.13 11:02
    감사합니다. 이하영기자 댓글보고 정말 힘이나는것 같아요ㅠㅠ. 기사 항상열심히 쓰려고 노력했는데 보답받은것같아 기분이 좋습니다. 앞으로도 힘내서 기사쓰겠습니다. 좋은댓글 감사합니다~~!!
  • ?
    4기최서진A기자 2017.07.15 20:10
    저 사진전 저도 가야겠다 생각하고 있었던거예요! 빨리 가보고 싶네요^^
    저는 사진전을 가는 이유가 사진전 가서 단지 사진이 아름답다가 아니라 사진 하나로도 정말 많은 이야기를 전할 수 있잖아요 그것을 보고 느끼는게 사람마다 다 다르니까 주로 친구랑 가서 생각을 많이 공유하는 편이에요!
  • ?
    4기김혜원기자_2 2017.07.16 09:15
    정말 공감이에요! 가서 사진을 보고 정말 그냥 사진이라기보다 이야기 같다는 생각을 많이했어요. 마치 뭔가 사진속 사람들의 공간이 상상가면서 우리는 이랬다 하고 말해주는 느낌이요! 친구랑 가서 생각을 나눈다니.. 정말 좋은 생각인것같아요!!! 이 사진전은 정말 추천 또 추천입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053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797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8074
새로운 환경운동을 위하여,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7.05.23 이다빈 24119
새로운 기자단 tong, 시작을 알리다 4 file 2015.07.28 김혜빈 39322
상주시청소년참여위원회, 지역청소년대상 캠페인준비에 나서 file 2016.09.23 김용훈 17127
상주시청소년참여위원회 '흡연 음주 안돼!' 청소년선도캠페인 열려 file 2016.05.05 김용훈 21664
상주시 청소년참여위원회 '정책제안&활동보고회' 성공적으로 개최 1 file 2016.11.25 김용훈 17593
부산 청소년 연극제, 세상에 연기로 외치다 1 file 2017.05.24 김혜진 21044
말은 통하지 않아도, 우리는 함께 즐길 수 있어 행복해요! 1 file 2017.08.04 박채연 24989
동화 속 친구들이 살고 있는, 인천 송월동 동화마을 7 file 2017.02.20 한지민 30096
돌아보는 '설날'.... 연휴의 연장선 아닌 온정 나누는 우리의 고운 명절 5 file 2016.02.25 안성주 23525
대한민국이 묻는다-완전히 새로운 나라, 문재인이 답하다 10 file 2017.02.11 이나영 24246
대한민국 최초, 영등포 청소년 오픈 스페이스 1 file 2018.02.27 박선영 21256
대전시 유성구에서 청소년을 위한 '나Be 한마당' 열려 file 2017.09.18 신동경 16740
논란의 유튜브 예능 '가짜 사나이' 계속된 논란에 결국 방송 중단 2 file 2020.10.19 홍재원 22686
꿈나무 아이들의 급식실, 편의점 1 file 2017.09.27 신유정 22176
[현장취재] '제2회 꿈즈 미디어 페스티벌'으로 본 자유 학기제 9 file 2016.02.21 홍승아 27322
[우리는 왜 사진전을 가는가?] 라이프 사진전, 역사와 삶의 ‘리얼’ 이야기를 담다 4 file 2017.07.12 김혜원 33105
[사설]시민(時敏) file 2017.07.09 이하영 23862
SKY캐슬 예서는 '이기적 유전자'를 이해하지 못했다? 2 file 2019.03.22 이연우 38477
MBN Y 포럼, 2030년도의 미래 인재들에게 글로벌 멘토링을 전하다! file 2019.02.13 배연비 19942
IT 산업의 혁명...'KITAS 스마트 디바이스 쇼' 1 2017.08.20 허석민 29825
D-385, 2018년 평창을 향해 8 file 2017.01.20 이하영 31003
27일, 서울시 어린이 청소년 참여위원회 오리엔테이션 열려 5 file 2016.02.27 황지연 17792
2030년의 경제 주역들, Youth Change Makers file 2017.09.18 김예원 20368
2020 씨밀레, 높은 도약의 첫걸음 file 2020.03.02 조윤혜 17981
10대들이 받고 싶어 하는 선물은? file 2020.01.03 이채희 47297
'쾌락통제법'에 대해 아시나요? file 2017.09.01 김혜린 21399
'아파트 숲'이 된 북서울 6 file 2017.01.20 이다빈 32259
'시간을 파는 상점'-시간의 위대함 1 file 2018.03.14 박채윤 20423
'내 꿈을 소리쳐!' - 제8차 청소년 연설대전, 막을 올리다 file 2017.07.25 홍정민 20426
'까치봉사단' 학생들과 함께 순찰하다 2017.08.04 허석민 247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