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아시나요?

by 4기이가현기자A posted Jul 08, 2017 Views 1214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895년 10월 8일, 일본군의 호위를 받은 일본인들과 훈련된 군인들의 복장을 한 일본인들이 경복궁에 침입하였다. 이들은 고종과 태자를 위협한 후에 옥호루에 들어가 왕비를 칼로 찔러 죽였다. 그리고는 증거 말살을 위해 옥호루 옆의 숲 속으로 시체를 옮긴 후에 태워버렸다. 이들이 범행을 자행하는 동안 궁궐은 완전히 통제되었고, 범행이 끝난 후 범인들은 궁궐을 조용히 빠져나갔다. 바로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다. 우리가 보통 을미사변이라고 부르는 명성황후 시해 사건은 1895년 10월 8일 새벽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 우의 현지 지휘 하에 일본군 수비대와 영사 경찰 및 왜인 낭인배 등이 경복궁을 습격하여 조선의 왕비인 명성황후를 여러 차례 칼로 찌른 뒤 옷을 벗겨 시간, 강간을 한 후 가슴을 도려낸 입에 담기도 힘든 치욕스러운 짓을 조선의 국모에게 행했다. 한 나라의 국모에게 이런 치욕스러운 짓을 행한 것은 세계사 어느 부분을 보아도 찾아볼 수 없는 사건이다.




이 사건은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하고 일본 국민들 모두가 알아야 한다. 우리는 이 사건을 잊지 않고 늘 기억해 일본에게서 사과를 받아야 한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란 없다.'라는 윈스턴 처칠의 말이 있다. 우리는 역사를 잊어서는 안 된다.




247b18289f6c9b30ca3cf7d64aab68f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가현 기자]




이 사건을 알리기 위해 소설을 쓴 작가가 있다. 바로 소설 '고구려'를 쓴 역사소설의 대가 '김진명'작가이다. 김진명 작가의 '황태자비 납치 사건'은 명성황후 시해 사건을 상기시키고자 했다. 황태자비 납치 사건에서는 계속해서 '한성공사관 제435호 전문'이라고 명명되는 문서가 등장한다. 이것은 일본 의회 도서관 헌정 자료실 이토 백작 문고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이시즈카 에조의 보고서'라는 제법 두툼한 문서를 이야기한다. 이것은 을미사변 당시 상황을 지켜봤던 이시즈카?에조가 일본 정부 법제국에 보낸 보고서로 소설이 발표된 후 김진명 작가의 끈질긴 추적에 의해 그 실체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b89fa32ab0eab01ff2468a318bc367c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가현 기자]

b732c940d0341e34c5f787a1a9d8805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가현 기자]




이 문서는 '미우라 공사에게는 배신의 그치지만...'이라는 문구로 시작되는데 명성황후 살해 순간을 있는 그대로 담고 있다. 김진명 작가는 서문에서 '보통의 일본인들은 이러한 이국적 사실을 알기만 하면 반성하고 사과할 줄 아는 사람들이다. 문제는 일본 정부가 이런 역사적 사실을 철저히 덮어온 탓에 국민들이 과거사를 전혀 알지 못한다.'라고 이야기한다. 그래서 이 김진명 작가는 이 소설을 다시 쓴 것이다. 이 책은 출판사가 번역까지 다 마친 상태였지만 일본에 출판을 하지 못 했다. 김진명 작가는 우리 독자들과 교감하고 다음으로 중국, 미국, 세계의 독자들에게 이 사건을 알리고 마지막에는 꼭 일본에 출판하기를 바라고 있다. 이 책은 상상도 못했던 이야기이고 상상도 못했던 진실이다. 진실과 소설의 경계를 허무는 치밀한 구성과 날카로운 메시지의 책으로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한 번쯤 읽어보면 좋은 법한 소설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명성황후 시해 사건'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보고 역사를 보는 견문을 넓혔으면 하는 바람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이가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조은아기자 2017.07.17 06:53
    꼭 한번 읽어보고 싶은 책이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6기박우빈기자 2017.07.19 23:31
    명성황후는 정말 흥선대원군과 더불어 역사의 평가가 나뉘어지는 인물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그녀가 대한 제국의 국모였으며, 일본에게 잔인하게 시해당했다는 사실은 정말 끔찍하면서도 잔혹하고 분노를 일으키게 만듭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955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805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1485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7699
마스크 사재기를 잠재운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02 남유진 8009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된 요즘...마스크 때문에 싸우는 나라가 있다? 1 2020.09.29 진예강 8943
마스크를 착용할 때 이것만은 알고 가자 2 file 2020.04.22 박지환 13081
마스크의 대란 어디까지인가 2020.03.18 김도연 7795
마스크의 생산량 추이와 전망 1 file 2020.10.05 김남주 10094
마약밀매(DRUG TRAFFICKING)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1 file 2017.03.16 정수빈 14055
마음을 울리는 노란 나비, 국제사회로 '1295번째 날갯짓' 2 file 2017.08.11 김유민 10381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를 위해 혁신하다 file 2019.05.22 박수혁 10202
마침내 그날이 왔다, 광화문 거리 한복판에서 터지는 축하의 폭죽 file 2017.03.17 최예헌 11107
마카롱에 숨겨진 비밀 1 file 2019.06.12 이주희 13613
마크롱 정부에 반발한 '노란 조끼 운동' 시위 file 2018.12.10 정혜연 10766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우리는 가장 심각한 상황을 극복했다" 2 file 2020.12.01 김민수 8833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6 file 2017.09.08 이지현 20818
만 18세도 유권자! file 2020.03.27 지혜담 8336
만화를 현실로, 포켓몬 GO 3 file 2016.07.25 유한나 14238
많은 곳에 위안부소녀상이 세워져있지만 모르는 사람이 훨씬 더 많아... 왜? 3 file 2017.08.30 이혜승 11420
말 많은 국정 역사 교과서, 연구 학교 신청 3곳... 3 file 2017.02.21 최다영 15685
말 한마디 없이 광고의 의도를 전달한다고? 2019.06.24 김여진 12444
말로만 '소방 안전 확인', 아직도 문제 개선 의지 없어 2018.12.11 노영석 9709
매년 10월 25일 독도를 천명하다. file 2017.11.10 이윤빈 10436
매미나방, 이대로 두어도 괜찮을까? 1 file 2020.08.24 송윤슬 8062
매일 총소리가 울리는 땅, 시리아 1 file 2018.03.05 구희운 11869
매일유업, 9월 6일 자원 순환의 날 맞아 지구를 살리는 '약속 챌린지' 진행 file 2022.09.07 이지원 5483
매장 내 일회용 컵 규제, 현장 반응은? 2 file 2018.08.27 손지환 9834
멀어가는 눈과 귀, 황색언론 15 file 2016.02.13 김영경 18274
멈추지 않는 BMW 520d 모델 화재사고, 대책은? 2018.08.22 권영준 11193
멈추지 않는 코로나19, 더이상 지체할 수 없는 등교 개학 file 2020.06.01 박소명 7365
멈춰버린 돈, 지속적인 화폐 유통속도의 하락 원인은? file 2021.07.20 김수태 10623
명성이 떨어져 가는 블랙 프라이데이, 그 뒤에 사이버 먼데이? file 2019.01.07 이우진 10498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아시나요? 2 file 2017.07.08 이가현 12149
모두 마스크를 쓰세요, 코로나바이러스 5 file 2020.02.20 이도현 9238
모두가 방관하여 발생한 일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file 2019.09.27 유예원 8473
모두를 경악하게 만든 코로나의 또 다른 습격...해결 방안은? 9 file 2020.08.25 염채윤 14502
모두의 은행, 블록체인 1 file 2019.07.02 봉하연 11872
모든 코로나에 대적할 슈퍼항체를 발견하다 file 2021.08.27 유예원 11197
몰래카메라 범죄 완전 근절 외치는 정부, 그러나 현실은 3 file 2017.08.26 박한비 15643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330
몰카피해자, 정부가 나선다 2 2018.05.28 이채원 10225
못 다 핀 한 떨기의 꽃이 되다, '위안'부 8 2016.02.24 송채연 27480
무개념 팬들의 SNS 테러에 얼룩지는 축구계 1 file 2019.06.05 이준영 10712
무너져버린 일국양제, 홍콩의 미래는? 2021.03.29 김광현 8108
무너지는 교사의 인권 2 file 2018.04.02 신화정 12010
무더운 여름, 예민해진 눈, 내가 지킨다!! 1 2015.07.19 구민주 22265
무더위 속 할머니들의 외침 2 file 2018.08.17 곽승준 11320
무모한 트럼프의 100일간의 무모한 행보,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2 file 2017.05.03 김유진 10200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 맞아 죽는다 2014.07.31 1677 33044
무업기간의 안정망 ‘니트생활자’ 니트컨퍼런스 개최 file 2022.12.14 이지원 49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