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by 4기윤은서기자 posted Jun 24, 2017 Views 932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646ffb65a918cc6a529b01bdf8bd51a.png



[이미지 제공= 청와대 홈페이지(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지난 59,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결정으로 인해 조기 대선이 치러졌다. 우리 국민들은 정의로운 사회 성립을 바라는 염원을 담아 투표에 참여했고, 그 간절함의 결과 77.2%라는 높은 투표율이 나타났다. 우리 국민은 정권교체의 적임자로 더불어 민주당의 문재인 후보를 선택했고, 5자구도 속에서도 41.1%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이 되었다.

문 대통령이 앞으로 수행해 나갈 공약들 중 우리가 관심 있을 것은 단연 교육정책일 것이다. 앞으로 변화할 교육정책들을 미리 알아보고 대비해보자.

첫 번째는 수학 능력 시험(이하 수능)과 고교 내신의 절대평가 전환이다.

이는 학생·수험생에게 석차등급 대신 성취도에 의한 등급을 부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능이나 내신에서 석차순으로 1등급, 2등급, 3등급 등을 부여하는 대신 성취도 순으로 90% 이상은  A, 80% 이상은 B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학생들이 과열된 점수 경쟁에서 벗어나고, 적성에 맞는 학습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 이해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변별력을 키우기 위한 또 다른 대학 전형이 생길 수 있고,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하면 도입하기 어렵다는 등의 목소리도 있다.

두 번째 교육공약에는 논술, 특기자 전형 폐지가 있다.

이 공약은 사교육의 과열을 최소화하고, 2의 정유라가 등장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 공약에 대해 대선 토론회에서 “대입에서 논술전형과 특기자전형을 없애 대입을 단순화하고, 그것을 통해 사교육비를 낮추자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그 동안 전형 준비에 있어서 사교육에 의한 불평등으로부터 시달려온 학부모와 학생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성적이 낮은 학생들이 상위권 대학을 갈 수 있는 돌파구를 없애버리는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마지막은 외고, 국제고, 자사고의 단계적 일반고 전환이다.

이는 일반고와 특목고의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고, 일반고의 교육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특목고에서의 경쟁을 위한 극심한 선행학습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 일부는 학생들의 학업성적 하향평준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사교육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정책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학생들에게 교육정책은 그들의 미래를 바라보는 척도가 된다. 정책이 모두의 마음에 알맞을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중요한 요소인 만큼 앞으로 시행될 교육정책들이 우리가 생각하는 정의와 상식에 부합할 수 있길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4기 윤은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하영기자 2017.07.18 15:54
    기사를 읽고 '정책이 모두의 마음에 알맞을 수는 없을 것이다.' 라는 문장에 공감했습니다. 좋은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718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486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8108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씨, 구속 2개월 연장...7월 범죄인 인도심사 추가 심문 file 2020.06.25 김수연 8936
꿈의 직장, 인천공항 ‘정규직 전환 논란’ file 2020.06.25 유시온 9853
전두환, 노태우 동상 철거, 그 이유는? file 2020.06.24 이가빈 8651
어둠의 그림자, 청소년들을 덮치다 file 2020.06.23 최유림 10918
정의연은 과연 누구를 위한 단체인가? file 2020.06.23 이예빈 9121
소년법 개정되나? file 2020.06.19 이지우 9198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7522
나날이 늘고 있는 아동학대, 가정폭력...줄일수는 없을까? 2 file 2020.06.17 이채원 12788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7724
미국에서 일어난 시위와 폭동, 'Black Lives Matter' 1 2020.06.16 허예진 9274
'강제징용' 일본의 뻔뻔한 태도 2020.06.10 조은우 8140
PK8303의 추락. 이유와 결과 2020.06.10 이혁재 7116
트럼프 대통령, 중국을 향한 거침없는 비난 file 2020.06.09 김서원 6598
미국의 인종차별 항의 시위, 우리의 인권의식은? 2 file 2020.06.08 유지은 19052
코로나로 인한 여행 file 2020.06.08 양소은 8128
대중교통도 마스크 의무화 1 file 2020.06.05 최윤서 10185
평등하고 자유로운 나라 미국의 인종차별 file 2020.06.02 임상현 8483
체포 과정에서 용의자를 질식사하게 한 미국 경찰, 그리고 이어진 '플로이드 사망 시위' file 2020.06.02 김가희 7288
교과서 속 부정확한 성(性) 지수 교체 시급 file 2020.06.02 박지훈 8479
일본과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차이 2020.06.01 이다진 7868
청소년을 향한 담배 광고, 괜찮은 걸까? file 2020.06.01 김가희 8129
저가항공사들의 반란? 1 2020.06.01 이혁재 7955
멈추지 않는 코로나19, 더이상 지체할 수 없는 등교 개학 file 2020.06.01 박소명 7412
코로나 이후 떠오르는 '언택트' 산업 2020.06.01 신지홍 8283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온라인 개학 file 2020.05.29 조현수 12966
코로나19로 더욱 깊어진 게임 중독의 늪 file 2020.05.28 오윤성 10736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7655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7711
대재앙 코로나19, 논란의 일본 코로나 학생 재난지원금 차별 file 2020.05.27 송승연 17525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 폭등 file 2020.05.27 백진이 9331
학생들이 지금 ‘공허한 메아리’를 듣고 있다고? file 2020.05.27 최유진 8475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2313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놓인 홍콩 1 file 2020.05.26 신지윤 7816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소소하지만 확실한 노력' file 2020.05.26 박아연 8092
‘n번방 사건 영화화’ 논란되자 제작 취소 file 2020.05.26 유시온 9860
역대로 일 안하는 20대 국회... 끝까지 자기 몫은 챙겼다? file 2020.05.26 김대훈 13484
'전 국민 고용보험시대'의 시작 file 2020.05.26 박병성 8060
미성년자, 성범죄의 가해자가 되는 시대 2 file 2020.05.26 오주형 7511
슬로벌라이제이션; 새로운 세계화의 흐름 file 2020.05.25 조민경 8795
아무도 몰랐던 담배 회사의 마케팅 전략, 타깃은 청소년? 1 file 2020.05.25 권가영 30364
우리의 적은 코로나19인가, 서로에 대한 혐오와 차별인가 file 2020.05.25 장은서 8219
스팸 메일, 알고보니 환경 파괴 주범 file 2020.05.25 오경언 8915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8932
전 세계적으로 겪는 문제, '코로나19와 겹친 금값 폭등' 1 file 2020.05.21 허예진 8999
사회적 거리두기 무시한 채 이태원 간 연예인들 file 2020.05.21 배선우 11074
그날을 기억하다 file 2020.05.21 최유림 7408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그 근원지는 어디? file 2020.05.20 김가희 7924
세계 성평등 지수 국가 7위인 뉴질랜드와 115위인 한국이 바라보는 페미니즘은 다를까? 1 2020.05.19 박혜린 129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