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by 4기정경은기자 posted May 29, 2017 Views 110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c72c1181c575f0a030caac8e2297689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정경은기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투표율은 77.2%였다. 이는 지난 54일과 5, 이틀에 걸쳐 진행된 사전투표를 포함한 값이다. 역대 최고치를 달성한 사전투표율 때문에 선거 당일 투표율을 80%이상이라고 예상도 있었지만, 그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번 19대 대통령 선거는 대통령 탄핵으로 말미암은 궐위 선거로 보궐선거 규정에 따라 투표시간이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로 연장되었다. 이렇게 두 시간 연장되었음에도 낮은 투표율을 기록한 것이다.


사전투표에는 총 1,1072,310명의 유권자가 투표하였으며 26%의 투표율을 넘었다. 전 국민 4명 중 1명은 사전투표를 한 셈으로, 2013년 사전투표제도가 도입된 이후 최고 투표율을 보였다. 재외국민 투표도 75.3%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투표율을 선보였다.


투표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도 보였다. 올해 처음으로 도입된 국민 투표 로또사이트는, 투표하고 인증 사진을 찍어서 올린 사람 중 뽑기를 하여 우승자에게는 5,000만 원의 상금을 수여했다. 44만 명의 사람들이 지원하여서 투표율 증가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다.


이번 대선의 투표율이 더욱 관심 집중 받는 이유는, 예정보다 7개월 이른 대선이기 때문이다. 지난 3월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 결정으로 20171220일 이었던 제19대 대통령 선거가 앞당겨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농단 사건을 보고 국민은 이제는 정말 대한민국을 잘 이끌어 나갈 지도자를 본인의 손으로 직접 뽑겠다고 다짐한 사람들이 많을 거라 예상했다. 하지만 정치적 참여의 필요성을 자각한 이들이 예상만큼 많지 않아서 여전히 투표율은 지난 18대 대선 투표율인 75.8%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투표율은 왜 중요한가? 민주주의 사회에서 투표한다는 것은 민주주의 국가의 사회 구성원의 권리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19세 이상에게 부여되는 투표권은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이며, 그러한 권리가 주어졌을 때,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 권리를 수행해야만 한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35개의 회원국의 투표율을 보았을 때 우리나라는 26위의 낮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1위인 호주는 투표를 의무화 하는 추세이다. 또한, 투표율은 그 나라의 시민의식을 보여주기도 한다. 국민이 얼마나 정치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자신들을 대표할 지도자를 선출하는데 신중하고 열정적인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권리인 선거권, 국민 개개인의 소중한 선택이 아름다운 민주주의 사회의 대한민국을 만든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한다. 다음 선거에는 좀 더 많은 사람이 성숙한 민주주의 사회의 시민으로서 자발적 정치 참여가 이뤄지길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정경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도영기자 2017.06.21 08:53
    국정농단 사태로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된 사람들이 많아졌을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투표율이 낮아서 조금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ㅠㅠ 저도 꼭 한표를 행사하고 싶었는데 청소년들에게도 투표권이 주어진다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이연진기자 2017.06.25 19:04
    투표율이 점차적으로 상승세를 탔으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026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875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2190
정치인의 길 file 2017.03.22 윤영민 9810
정치적 비리의 피해자가 된 올림픽 영웅. 6 file 2017.04.01 정예진 14353
제 1316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아픔을 기억하겠습니다 file 2018.01.05 김민하 12341
제 14회 민족정기선양 3.1독립만세재현 활동 개최 file 2017.03.25 조혜준 11028
제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새 리더는? 1 file 2017.05.09 박기준 10231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294
제 2의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사건 막자 file 2017.03.18 황수민 11256
제11회 부산불꽃축제, 그 화려한막을 내리다 2 file 2015.10.25 안세영 23701
제1268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잊지못할 그 날의 아픔 5 file 2017.02.20 김연우 14687
제14차 광화문 촛불집회... 아직 꺼지지 않는 촛불 2 file 2017.02.11 김동근 13798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에게 바란다 1 file 2017.05.24 김소희 10052
제19대 대선 총 투표율 80% 못 미쳐… 77.2% 기록 4 file 2017.05.10 이가영 10474
제19호 태풍 솔릭의 영향은 어디까지일까... file 2018.09.03 정다원 8917
제2 벤처붐 분다 file 2022.03.15 류민성 6797
제25대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그가 내세운 공약은? 1 file 2017.05.24 최현정 11064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10392
제34회 글로벌청소년과학탐구대회 '운지벌레' 논란 3 file 2016.04.25 박성수 19214
제39주년, 우리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예의 file 2019.05.22 박문정 10121
제3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집회 "몰카 범죄 피해자 여성일 때도 강력히 수사해야" 5 file 2018.07.09 노영석 11445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갈수록 커져가는 지식 재산권의 남용, 법적 분쟁의 해결책은? file 2018.07.24 송민주 1039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도지사편 file 2018.07.12 정민승 996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시장편 2 file 2018.06.25 정민승 1090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정당별 총평편 file 2018.07.23 정민승 9342
제노포비아, 한국은 어떤가요? file 2018.10.24 남지윤 16573
제로 음료수의 시대, 설탕을 대신한 감미료들 file 2023.07.15 이주하 4658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file 2017.03.22 이승희 10176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20.12.10 전민영 8586
제임스 코미의 해고 사건, 트럼프에게 위협적인 존재? file 2017.05.23 류혜원 9977
제주도에서 산 초콜릿 뒤에 숨은 가격의 비밀은? file 2018.10.29 신효원 14059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 키운 불법 주·정차 앞으로 어떻게····? 1 file 2018.01.09 허기범 13467
제천 화재 사건의 근본적 원인은 우리다 2018.01.03 제규진 11171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file 2018.01.29 서호연 10191
젠트리피케이션, 주거지에서 상업지로... 도시 활성화 vs 주민들의 피해 2 file 2018.05.14 김민경 18184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7826
조 바이든, 공식적으로 정권 인수 착수 1 file 2020.11.30 차예원 10110
조 바이든, 미 대선 승리 1 file 2020.11.13 최서진 7301
조국 전 장관의 서초동집회 근황 file 2020.01.17 윤태경 7964
조국 청문회가 남긴 숙제는? file 2019.09.20 정예람 33742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 file 2017.05.29 정경은 11004
조두순 출소 반대 국민청원, 61만명 돌파 1 file 2017.12.20 문세연 15328
조두순 출소 반대, 이루어질 수 없지만 간절한 국민들의 소원 2 file 2017.11.24 윤익현 13475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10677
조력자살 그 한계는 어디인가? file 2018.07.31 신화정 13609
조작되는 정치 여론, 국민은 무엇을 해야 하나 3 2018.05.24 황지은 11010
조작된 공포. 외국인 이주노동자 1 2020.11.16 노혁진 8018
조현병,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file 2019.07.01 박경주 12389
졸업식 현장 그곳을 취재하다. 2 file 2015.02.26 이도경 29322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75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