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야민정음', 언어유희일까 한글파괴일까

by 4기서은유기자 posted May 26, 2017 Views 297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한글파괴 썸네일.jpg

[이미지 제공=서울특별시교육청 공식 블로그]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그림2.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서은유기자]



"오늘 머구에 윾재석 왔대!” “띵곡 추천해주세요” 다음 문장에서 머구는 대구(광역시)를, 윾재석은 유재석, 띵곡은 명곡을 의미하는 ‘야민정음’이다.


야민정음은 국내 야구 갤러리와 훈민정음의 합성어로, 어떤 단어의 글자들을 모양이 비슷한 글자들로 바꾸어 쓴 단어를 말한다. 이곳에서 시작된 것은 아니나 야구 갤러리에서 주로 쓰이고 많은 형태로 변형되고 사용되어서 야민정음이라고 불리며, 현재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 SNS 등에 퍼져 쓰이고 있다.
야민정음의 기원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디시인사이드에서 운영자 김유식의 사인에서 ‘유’자의 모음 ‘ㅠ’에서 획 2개가 약간 휘어져 ‘윾’으로 보인다는 이용자의 댓글로 시작되었다는 설, 무한도전 알래스카 특집에서 멤버 정형돈이 앵커리지를 앵귀리지로 읽으면서 시작되었다는 설, 히어로즈 야구팀 포수 강귀태 선수의 유니폼 이름 표시가 강커태로 보이게 된 것에서 시작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야민정음을 만드는 원리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비슷한 한글 자모를 바꾸어 쓰는 경우 (대구광역시 ↔ 머구팡역시, 명곡 ↔ 띵곡 등), 한자와 비슷한 한글 자모로 바꾸어 쓰는 경우 (日 ↔ 티, 金長훈 ↔ 숲튽훈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야민정음을 두고 누리꾼들은 ‘단순한 언어유희로, 문자 생활에서 재미를 추구하는 것이다.’라며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반면 ‘불필요한 신조어다’,  ‘지나친 한글 파괴다.’라며 거부감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미 유행처럼 번진 야민정음을 무조건 비판하기도, 수용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홍수처럼 쏟아지는 신조어 속에서 한글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노력도 필요하지 않을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서은유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5902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651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6755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5761
전국대회 '청소년 방송콘텐츠 경연대회' 개최! 1 file 2015.09.20 정은성 22713
성큼 다가온 추석, 당신의 방을 지켜라! 1 file 2015.09.26 정수민 23019
서울시 공공자전거 무인대여서비스 '따릉이' , 한 번 이용해볼까? 2 file 2015.11.25 박소미 26824
[포토뉴스] 서울시, '청소년 흡연예방을 위한 대토론회' 개최 file 2015.12.29 온라인뉴스팀 21221
고양시 토당청소년수련관, 청소년운영위원회 '꽃나무' 모집 file 2016.02.01 온라인뉴스팀 19894
[해외특파원 뉴스] 뉴질랜드의 설립문서, 와이탕기 조약 13 file 2016.02.06 하정연 21511
민족 대명절 설 제대로 알고 보내자 13 file 2016.02.08 김상원 18565
[곰이 문 화과자] 문화행사 TIP_A to Z 15 file 2016.02.09 박서연 33730
초등학생들의 전유물 ‘만들기’, 우리 삶에 녹아들다! 14 file 2016.02.09 이봉근 21395
국립대구박물관 2016년 설맞이 문화행사,성공적으로 막을 내려... 11 file 2016.02.10 김윤지 16417
설연휴, 국립중앙박물관과 함께해요! 11 file 2016.02.11 민원영 17683
[곰이 문 화과자] ' 2월 ' 문화행사 A to Z 19 file 2016.02.11 박서연 37397
설날인가, 가족모임인가 26 file 2016.02.13 김나림 20086
달콤한 초콜릿의 유혹... 이겨낼 수 있을까? 14 file 2016.02.15 신경민 20713
인천 남동구 소래도서관, 릴레이 독서운동 실시 20 file 2016.02.15 박은진 19688
[해외특파원 뉴스] 일본, 후쿠오카의 관광지 21 file 2016.02.15 서지민 28816
내 몸이 열쇠가 된다, '생체보안' 12 file 2016.02.16 백현호 25417
사람과 환경이 공존하는 착한 건축 26 file 2016.02.17 장서윤 18598
[이색 나들이] 한복 입고 거닐기 좋은 코스 34 file 2016.02.18 전채영 25673
무한도전 엑스포, 일일 무도멤버 체험 ! 14 file 2016.02.19 민유경 17750
세계 음악인들의 축제! "Grammy Awards 2016(그래미 어워드)" 최고의 순간 9 2016.02.20 신재윤 19814
1980년대 그때 그시절의 편지 20 file 2016.02.20 지다희 30595
다가오는 봄, 다가오는 꽃샘추위! 10 file 2016.02.21 안세빈 17173
3월을 준비하는 학생들 8 file 2016.02.21 김민지 15546
'질문은 발견' 유스보이스, 청소년의 목소리 지원하는 컨퍼런스 개최 6 file 2016.02.21 서소연 18565
'힐링(healing)'이라는 따뜻한 단어 속의 차가운 진실 마주보기 9 file 2016.02.21 최원영 19250
[현장취재] '제2회 꿈즈 미디어 페스티벌'으로 본 자유 학기제 9 file 2016.02.21 홍승아 27308
뭐라꼬? 해운대라꼬 빛축제! 10 file 2016.02.21 현경선 20125
상처받은 아이들, 아동학대 15 file 2016.02.21 김가현 16616
아름다운 가게를 아시나요? 10 file 2016.02.22 박채운 28492
“당신이 읽는 순간 세상이 바뀝니다”, 1석 2조의 따뜻한 잡지 <빅이슈> 7 file 2016.02.22 김지윤 17331
현대문화의 결정체 스마트폰의 두 얼굴 8 file 2016.02.22 최우석 19281
정월대보름, 다양한 지역축제 7 file 2016.02.22 장정연 17570
오감만족 1박2일부산여행코스 10 file 2016.02.22 문근혜 20489
정월대보름, 다들 부럼 깨셨나요? 8 file 2016.02.23 김규리 16183
MWC 2016,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 S7와 LG G5 6 file 2016.02.23 박성수 17747
봄의 향기를 담은 매화마을-‘매곡동’ 6 file 2016.02.23 유성훈 18664
교토의 랜드마크라고 불리는 청수사, 알고 보면 백제의 죽마고우(竹馬故友)? 6 file 2016.02.23 안민 23119
문화재청, 경복궁 등 고궁 야간개장 시행한다 9 file 2016.02.23 박정선 18081
태권도로 하나 되는 세계! ‘제 2회 한-아세안 청소년 태권도 문화교류 캠프’ 9 file 2016.02.24 김은진 26311
집 앞의 숨은 촬영 명소, 부산 동구 12 file 2016.02.24 이민지 20950
고대부고 제1기 자치법정 '성북구청과 김앤장 로펌이 함께하는 모의법정 캠프' 5 file 2016.02.24 이선범 19227
지난 22일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정월대보름 행사열려 14 file 2016.02.24 강예린 17022
검단 청소년 문화의집 청소년운영위원회 전문연수를 다녀와서... 5 file 2016.02.24 이해영 15812
새롭게 태어난 공중전화 박스,이젠 시민의 안전지킴이 7 file 2016.02.24 김영현 22192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에서 기업가 정신 캠프 개최 16 file 2016.02.24 황지혜 19070
영화 '마션'의 현실판... 화성 감자재배 실제로 가능하다? 8 file 2016.02.24 김예지 218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