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친환경 사기꾼 '그린워싱'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by 4기이경림기자 posted May 25, 2017 Views 1686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환경친화적 제품', '유기농 야채', 'KC 마크 부착상품' … 살면서 한 번쯤은 이러한 문구를 활용한 광고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최근 다양한 환경 문제를 겪으며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러한 것을 의식하는 세태가 사람들의 소비성향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위의 문구들은 이러한 소비자, 즉, '친환경 소비자'를 겨냥한 광고이다. 소비자들이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알고 환경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또는 악영향을 최소화한 제품을 사는 것은 좋은 현상이다. 하지만 이러한 밝은 모습의 이면엔 언제나 그림자가 존재한다.


그 그림자가 바로 '그린워싱'이다. '그린워싱'이란 green과 white washing(세탁)의 합성어로 기업들이 실질적인 친환경 경영과는 거리가 있지만 녹색경영을 표방하는 것처럼 홍보하는 것을 말한다. 가령 한 제지업체가 있다고 가정을 해보자. 이 제지업체에서는 재생지를 활용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재생지 활용과 같은 특정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친환경 경영을 주장한다. 많은 소비자는 이 제지업체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벌목으로 인해 초래되는 환경 문제에 대한 언급 없이 이러한 특정 부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문제가 있다. 또한 제지 제조 과정에서 인체에 해로운 염소표백 공정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일반적인 소비자가 알기엔 쉽지 않다. 또한 '무독성', '환경친화제품' 등과 같이 기준이나 근거가 없는 모호한 용어의 사용은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에 불과한다고 할 수 있다.


기사 사진2-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경림기자]


이러한 '그린워싱'은 환경친화적인척하는 다양한 환경 문제들의 숨은 주역일 수 있다. 따라서 기업과 소비자에게 많은 변화가 요구된다.


우선 기업은 단순히 이윤을 창출하기 위한 비윤리적인 이윤창출 활동을 대신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윤리적, 환경친화적 경영을 해야 한다. 기업은 독자적인 그 존재 자체로 성장한 것이 아니라, 이 사회와 소비자가 있기에 성장한 것이므로 그것을 다시 사회에 환원해야 바람직한 사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소비자는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처럼 알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기업의 모호한 표현, 거짓 광고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야 하며, 진정한 친환경 제품을 가려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혼자서는 이 능력을 기르는 것이 힘들 수 있다. 미국의 경우 '굿가이드'라는 이름으로 생활밀착형 제품들에 대한 유해성 정보를 소비자들이 알기 쉽게 성분에 대한 건강 점수로 배분하여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아직 이러한 측면에서는 부족한 점이 있지만 관심을 가지고 점점 나아가면 어느 순간 큰 변화와 함께 발전이 이루어질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4기 이경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0637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0387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24932
5월 5일 어린이날 영월에서는? file 2019.05.13 이지수 16366
부산의 기자 꿈나무들, 부산일보에 모이다 file 2016.04.05 이민지 16370
시인 정지용의 '제32회 옥천 지용제' file 2019.05.27 양유빈 16370
서대문독립민주축제,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 1 file 2019.08.19 노주영 16371
힐링이 필요해 2017.11.28 이지혜 16372
전 어디에 가야 하나요? file 2016.08.22 박나영 16374
5월, 꼭 봐야할 영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2018.05.14 오가람 16378
문화예술 NGO ‘길스토리’ 대표 배우 ‘김남길’ file 2021.03.24 문소정 16379
일반인들의 우주, 도래할 것인가 file 2022.01.13 현예린 16380
울산 태화강, 예쁨예쁨한 '한복입은 봄 페스티벌' 4 file 2017.05.15 4기임소연기자 16383
제 16회 부천 복사골 청소년 예술제 개최 file 2016.09.14 백재원 16385
별 그대와 책의 바다로, 강릉 독서대전 2 file 2017.09.19 이형섭 16386
존 카니, 음악과 영화 file 2016.07.22 서지민 16387
학교안 정크푸드, 그린푸드로 4 2017.07.16 김영은 16387
논란 많은 선거인단 제도, 왜 바뀌지 않을까? 1 2020.11.30 이유진 16387
청소년의 '피, 땀, 눈물'은 어디로 갔을까 [청소년 아르바이트] 2 file 2017.04.24 이채은 16390
차별을 향해 날리는 통쾌한 홈런 한 방, 대구퀴어문화축제! file 2017.08.27 고은서 16390
현세의 바벨탑, 부르즈 할리파 1 file 2017.11.20 허재영 16390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397
‘장애인의 날’이 무색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개선 시급해... 2 file 2017.04.23 박현규 16397
137년 vs 14년, 한 맺힌 팀들의 대결…UCL 결승 6월 1일 개최 file 2019.05.31 권진서 16397
수화가 아니라 수어라고? - 조금은 특별한 봉사활동 file 2017.10.24 홍정연 16398
콘서트 가면 '사생팬' 이라고요? 더 이상은 NO! 5 file 2016.05.05 김현주 16401
잠자는 청소년의 의식을 깨운다! '청소년 자원봉사 여름학교 -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file 2017.08.21 김현서 16404
인간이라면, 잊어서는 안 되는 일, 위안부 file 2016.08.25 전지우 16407
2018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특별전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한국·일본·중국' 열려... file 2018.03.01 류태원 16408
이주민들의 희망센터, 로뎀 1 file 2017.03.19 김다은 16411
뜨거운 코트를 가르며 BOOM UP 1 file 2019.02.08 이귀환 16413
청소년들의 의견을 나누어보는 토론,'세발작'개최 3 file 2017.06.04 신지원 16416
한국걸스카우트 국제야영 "Act! Connect! Empower!" file 2017.08.23 김주희 16423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6424
제주도에서 추억을, 넥슨컴퓨터박물관 2 2018.07.13 안소정 16429
왜곡된 생리 찾아 삼만 리, “나 생리한다!” 2020.03.02 최은아 16430
세뱃돈, 낭비하지 말고 경제 흐름 파악하여 목돈 마련하자! 4 2019.02.11 한신원 16432
미디어를 테이크아웃 하라 file 2017.09.27 고은서 16433
게임으로 배우는 유전자의 원리! file 2020.11.13 박선주 16433
대전국립중앙과학관, 과학체험의 장을 열다. file 2017.04.24 김세영 16438
복세편살~ 신조어에 대해 알아보자! 2 file 2018.10.29 현주희 16440
우리 동네에 공용 냉장고가 있다고? 중국 내 무인화 기기 사용 4 file 2020.05.02 김수임 16441
한미장학재단 동부지역 수여식 2016.10.16 조은아 16442
덕후, 새로운 문화를 만들다! file 2017.10.02 이지우 16442
화성 효 마라톤 대회 그열정의 현장 속으로 file 2016.05.29 신수현 16445
야구장, 부족한 관중 의식으로 몸살 앓아 file 2017.04.16 김유경 16445
자원을 생각하는 컵 1 file 2019.08.12 박지예 16445
한국에서 접하는 이슬람, '한국이슬람교 부산성원' file 2017.05.14 허재영 16446
자라나는 미래 경제의 희망, 2018 고교 경제동아리 연구과제 발표대회 1 file 2018.12.14 윤여진 16446
방문해보세요, 원전하나줄이기정보센터 file 2016.06.25 김영현 16448
서울시교육청 전자책 서비스 See, 한번 이용해 볼까요? 5 file 2016.02.24 지예슬 164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