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외감법 개정, 때로는 엄격하게 때로는 자유롭게

by 4기홍은서기자 posted May 25, 2017 Views 99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문재인 대통령 당선 이후에도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하 외감법)' 개정안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투명한 재정공개와 심사를 위해 여러 개정이 필요하다는 점에서는 대부분 동의하지만, 크게 3가지 쟁점에서 의견차이를 보이고 있다.


logo.png

[이미지 제공=금융위원회 홈페이지('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첫 번째, 유한회사를 대상으로 한 감시 강화이다. 유한회사의 사전적 의미는 '최소한 2인 이상의 사원이 그들의 출자액에 한하여 책임을 지는 회사'이고, 이 회사는 소규모의 주식회사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유한회사는 외부감사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회계제도를 적용 받고 있는데, 문제는 이를 악용하는 기업들이 끊임없이 등장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구글, 샤넬, 한국 오라클, IKEA 등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들은 모두 유한회사로 운영되고 있어 이들이 자국 본사로 수익을 보내고 분식회계를 자행할 지라도 현실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래서 정부는 이번 외감법 개정안에 유한회사에 대한 외부감사를 포함시키는 내용을 담아 국회에 개정안을 제출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추가적인 규제들로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외국 기업, 투자자들이 감소하여 국내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는 입장이 있어 법안 개정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형편이다.



두 번째, 기업이 분식회계를 자행했을 때 외부감사인에게 부과하는 책임의 비중을 더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외감법 일부 개정안에는 감사인이 감사절차 과정에서 회계부정을 발견하지 못하였을 때 감사인 뿐만 아니라 부실감사를 일으킨 회계법인의 대표까지 제재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지금까지 외감법 개정이 진행된 방향 역시 감사인의 책임을 가중시키는 것이었지만, 그 실효성은 입증되지 못했다는 비판이다. 하지만 그 원인이 어찌되었든, 감사를 제대로 시행하지 못하고 분식회계를 걸러내지 못한 감사인의 책임 역시 배제할 수 없어 이에 대한 의견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세 번째, 정부가 감사인을 정해주는 지정감사제이다. 지정감사제는 회계투명성과 외부감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1980년 대 외감법 개정으로 제도화된 것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이 제도를 더욱 확대하겠다는 공약을 내놓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지정감사제 확대 시 감사 시간 및 비용 등에 관한 감사투입기준을 마련해야 하고, 제도와 관련된 구체적 계획이 수립되지 않아 바로 시행하는 것은 무리라는 목소리도 있다.



이번 외감법 개정은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회계투명성을 높이고 경제적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여러 정책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먼저, 유한회사에 대한 외부 감사는 강화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 유한회사의 재무 공개에 대한 아무런 법률도 없이 다국적 기업이 우리나라 시장을 장악하는 상황이 지속된다면 국내 기업들의 입지는 작아질 것이고, 우리는 눈 앞에서 코 베이는 격으로 조세피난처로서 이용당할 수밖에 없다. 외감법 개정으로 해외투자가 감소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개정을 미룬다면 제 2, 3의 오라클 사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유한회사에 대한 외부 감사를 강화하는 동시에 해외 투자 의존도를 줄임으로써 안정적 시장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무조건적인 지정감사제보다 자유선임제를 채택함으로써 회계사를 고용한 기업에 대한 책임도 늘려야 한다고 본다. 회계사에게만 분식회계의 책임을 떠넘기는 비효율적 패러다임을 바꾸어야 한다. 만약 정부 혹은 금융기관에서 지정해준 감사인에게 감사를 받는다면 기업들은 분식회계가 적발되어도 자신들에게는 책임이 적을 것이라는 생각에 감사인에게 재무 상태를 왜곡해달라는 달콤한 제안을 계속할 것이고, 적발 시에도 자신들이 선택하지 않은(그래서 기업과는 무관한)’ 감사인만 탓할 것이다.


외감법, 때로는 엄격하고 때로는 자유로운 방향으로 개정함으로써 신뢰 있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4기 홍은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089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939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2741
JSA 공동경비구역, 평화의 시작점으로 변화하나 2018.10.26 허이령 9851
매장 내 일회용 컵 규제, 현장 반응은? 2 file 2018.08.27 손지환 9850
미세먼지, 이렇게 계속 안심하고 있어도 되는가? 2 file 2017.05.30 김보경 9845
5월 22일 진행된 文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만남 1 2018.06.05 변성우 9843
1281번째, 9241일째 나비들의 날개짓 2 file 2017.05.08 이다은 9843
관심 대상의 창원시 성산구 보궐선거 file 2019.04.01 김현우 9839
끝나지 않는 싸움... 쌍용양회를 향한 사투 file 2019.04.01 임승혁 9838
미세 먼지, 정말 우리나라의 탓은 없을까? 1 file 2018.07.11 김서영 9838
2년만에 진행된 남북 고위급 회담 file 2018.01.12 정성욱 9835
점보기의 몰락 file 2020.08.21 이혁재 9834
개인투자자 급증,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20.04.06 이민기 9834
미국환율과 더불어 익히는우리 경제 속의 환율 2018.10.25 9기임은빈기자 9831
페루, 7.1의 강진 file 2018.01.22 임규빈 9830
보행자의 안전을 지키는 LED 조명등 2 file 2018.05.04 박소윤 9828
이 게시물은 블라인드 처리된 게시물입니다. 2017.08.29 이유한 9828
시리아 미사일 공격? 그래, 미국은 좋겠지. 그러면 타국은? file 2017.04.29 김유진 9821
태국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반정부 시위. 왜 일어나고 있는가? file 2021.01.21 김광현 9818
"그는 집을 잘못 골랐어" 괴한을 물리친 82세 할머니의 이야기 file 2020.01.22 김수현 9817
정치인의 길 file 2017.03.22 윤영민 9817
‘n번방 사건 영화화’ 논란되자 제작 취소 file 2020.05.26 유시온 9814
꿈의 직장, 인천공항 ‘정규직 전환 논란’ file 2020.06.25 유시온 9813
북한은 왜 핵무기를 버리는가 2 file 2018.05.28 황수환 9813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2022.05.16 신은주 9807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미소짓는 시진핑 file 2018.06.18 박현규 9803
그 시절 빼앗긴 행복, 아직도 그들의 상처는 깊어간다. file 2017.08.28 박민수 9803
사회적 사각지대 속 청소년 부모, 긴급복지지원 법 발의되다 file 2020.07.27 김예한 9799
‘최저임금 1만 원 인상’ 의 일장일단(一長一短), 그리고 알지 못했던 주휴수당 file 2018.08.17 송지윤 9795
뛰는 전기차 위에 나는 수소차...? 1 file 2019.03.29 최수혁 9793
떠오르는 세월호 떠올라야 할 진실 file 2017.03.25 김지원 9792
코로나19의 재확산세, 방역모범국도 흔들린다 2 file 2020.08.21 김상현 9774
수단의 대통령, 30년만에 물러나다 file 2019.05.23 이솔 9773
미디어, 가벼운 매체가 가진 무거운 영향력 2019.10.30 김우리 9764
어린이가 안전한 나라...? file 2019.11.28 김두호 9762
방송업계의 열악한 노동환경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8.08.13 지윤솔 9761
살충제 달걀에 이은 물의 식료품 안전 문제 1 file 2017.10.12 장예진 9759
이란, 핵 합의 복귀 밝혀, 이란과 미국 간 악연의 시발점은 어디인가? file 2021.11.08 권강준 9756
사법부, 잇따른 영장기각 file 2018.11.07 박상준 9756
끝없는 갑질 논란. 이번엔 백화점 난동? 1 file 2018.07.25 하예원 9756
법무부, ‘벌금형 집행유예’ 활성화 추진..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가 있을까 file 2021.04.02 이승열 9754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춘 한국의 '스마트시티' file 2018.11.20 함혜원 9754
난민 문제, 과연 언제부터 시작된 것일까? file 2020.08.24 이수연 9753
미국 대법관이자 미국 여성 인권 운동의 상징인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별세 file 2020.09.25 임재한 9752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9751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9750
격해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유승민 전 의원의 표절 공방 file 2021.09.27 송운학 9747
코로나 사태 탄소배출권 가격 안정화의 필요성 2021.02.10 김률희 9745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 미리 알고 대비하자 1 file 2020.02.21 우선윤 9745
노로 바이러스, 너의 정체가 궁금하다! file 2018.04.23 박기상 97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