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결혼, 이혼, 졸혼? 졸혼으로 보는 우리 사회.

by 4기임하은기자 posted May 21, 2017 Views 1386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요즘 우리는 어디였었든지 한 번쯤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들어보았을 것이다. 강력한 구조주의에 사로잡힌 사회를 탈구조주의로 바꾸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말이 포스트모더니즘이다.


1920년대, 리얼리즘에 반항한 모더니즘은 혁신이었다. 하지만 모더니즘은 짙은 보수성을 띄며 각각의 개성보다는 전통과 신화를 더 중요시했다. 이런 모더니즘을 벗어나고 싶어 했던 몇몇의 예술가, 철학자들이 모여 문화의 계급을 없애고 예술 각 장르의 폐쇄성 또한 없애려 노력했고, 그 결과로 생겨난 새로운 이념이 바로 포스트모더니즘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1960년대에 시작되어 지금까지도 그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 시대까지의 보수적인 것들을 타파하고 모든 것을 상대적으로 바라보아 정해진 규칙을 허물어버린 포스트모더니즘은 지금의 경제, 문화, 정치 거의 모든 면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문화면에서의 대표적 예시로 우리나라의 백남준이나 미국의 앤디 워홀을 생각해본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KakaoTalk_20170521_151939690.jpg

[이미지 제공=instagram@chaa__n]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KakaoTalk_20170521_151940669.jpg

[이미지 제공=instagram@chaa__n]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포스트모더니즘이 알게 모르게 우리 옆에 있는 동안 우리들의 사상, 생각도 많이 변화했을 것이다. 젊은 층일수록 보수보다 진보를 택하는 성향, 인권이 중요시되고 개성을 찾아가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현재에, 점점 화두가 되어가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이 하나 있다. 바로 졸혼이다. 졸혼은 단순히 말하면 결혼을 졸업한다는 뜻을 가지며, 혼인관계는 유지하지만, 부부가 서로의 삶에 간섭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개념으로 일본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새로운 풍속이다.


KakaoTalk_20170521_15281317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임하은기자]


졸혼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일본의 스기야마 유미코라는 사람이다. 그녀는 40대에 찾아온 남편과의 갈등 중에 첫째 딸의 제안으로 남편과 따로 살기를 시작하고, 주변의 다른 부부들은 어떻게 갈등을 해결하는지 알고 싶어 인터뷰를 하기로 결심한다. 그렇게 사람들을 인터뷰하면서 자신들의 상황에 맞춰 자유롭게 부부 생활을 하는 그들의 공통점을 졸혼으로 이름을 붙인 것이다. 그리고 그녀는 졸혼시대라는 책을 써냈다.


이혼보다 좀 더 안정적인 졸혼은 아직 우리나라 대부분 사람들에게는 생소한 단어일 것이다. 하지만 갈등을 겪는 중년 부부들이 졸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세계적으로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만큼 졸혼은 점점 우리 삶에 보편화되고 있다. 그 이유는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뜻이고 아울러 결혼이 의무가 아닌 선택이 되어버린 현대사회에서 또 하나의 선택의 자리가 생긴 것이다.


졸혼을 알게 된 사람들 대부분의 생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졸혼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으로, 졸혼을 통해 자신의 삶에 좀 더 깊게 초점을 맞출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상대에 대한 배려를 잃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부정적으로 졸혼을 보는 사람들도 있다. 그들은 졸혼이라는 개념 자체가 이기적인 개인주의를 포장하는 말로 들린다며 이미 그렇게 사는 사람들은 많은데 왜 굳이 신조어를 만들었는지 모르겠다는 의견을 내놓는다. 물론 두 의견 모두 맞는 말이다. 하지만 졸혼이라는 개념을 보기 전에 졸혼이 나오게 된 배경을 먼저 봐야한다고 생각한다.


결국 졸혼이 생기는 이유는 물질이 발달한 만큼까지, 아직 우리의 가치나 사고는 그까지 다다르지 못했다는 것이다. 격동하는 사회 속에서 빠르게 문명만 발전되었을 뿐, 우리는 아직 준비가 덜 되었다. 물론 우리가 멈춰진 상태라는 건 아니지만 어쩌면 사회는 우리들에 욕심 때문에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앞에, 멀리 있는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다. 이렇게 변해버린 사회에서 우리는 우리만의 불평을 찾아 또 그것대로 희생하지 못하고 회의감에 휩싸여 버릴 뿐이다. 졸혼, 그것은 분명 우리 사회를 말해주는 단어이다. 어쩌면 배려, 어쩌면 현실도피.


이렇게 졸혼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만들어져 우리가 어떤 세상에 살고 있는지 한 번은 생각해보게 되어 오히려 우리들에겐 고마운 일이다. 한 시대가 어떤 갈래, 어떤 구조 안에 있는지 연구함으로써 우리는 어떤 이성적 바탕을 두고 살아가야 할지 알게 되는 것이다. ‘졸혼이 우리 사회 전부를 말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이 작지만 새로운 스타일 하나가 또 하나의 우리 사회의 대변인이 될 수도 있다. 돌아보면 우리는 직간접적으로 그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한 거대한 사회이념과 상품과 문화 안에서 우리가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임하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김수희기자 2017.05.21 21:36
    저도 주변에서 졸혼이라는 말이 자주 들리는 만큼 다들 많이 하는구나..했었는데 우리 사회를 말해주는 단어일꺼라는 생각은 못했네요 좋은 기사 감사해요^^
  • ?
    4기김승연기자 2017.05.22 21:12
    요즘 어떤 연예인의 기사나 방송을 통해 졸혼이라는 단어를 처음 접하게 되었는데...이게 그런 의미가 있었다니...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이건학기자 2017.05.23 10:52
    졸혼이라는 단어는 처음들어보았네요. 결혼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도 점점 바뀌어가면서 그 의미를 잃어가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 ?
    Jelly 2017.05.23 21:33
    최근 실시간 검색어에도 자주 보여서 궁금했는데 단순한 단어의 의미가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게 된 배경까지 설명해주셔서 유익했어요. 좋은 기사 감사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5148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4892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69517
골재상에서 발생한 화재, 인근 고등학교 덮쳐.. 인명 피해는 '無' 3 file 2017.04.09 이동우 17143
골든벨을 울려라! 정읍역사골든벨 1 file 2016.07.20 이봉근 15721
곧 출시 될 AMD RYZEN, PC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몰아올까? file 2017.02.25 홍종현 16723
곧 시작될 새 학기! 입을 교복, 입고 있는 교복: All about 교복 1 file 2022.01.05 김유진 9135
고풍스러운 '전통한복' VS 예쁜 '퓨전한복' 여러분의 선택은? 10 file 2018.10.11 채유진 21374
고통의 연속이였던 코로나19 자가진단, 가글 한번으로 끝 1 file 2022.02.23 황진경 7546
고종황제 대한제국을 선포하다 file 2017.05.26 강예린 14070
고운 빛으로 단정한 빛고운 축제 1 file 2018.02.06 김나연 14382
고요와 휴식의 낙원,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여행기 3 file 2017.02.21 박형근 19935
고양특례시, ‘2022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 개최 file 2022.08.19 이지원 7667
고양이 액체설이 진짜라고? 3 file 2019.07.10 박성아 22067
고양시자원봉사센터, IAVE 아시아 태평양 청소년 자원봉사 컨퍼런스 참가자 모집..'저소득층 연수비 전액지원' 1 file 2017.08.18 디지털이슈팀 13507
고양시, 도시의 미래를 묻는 ‘2022 고양도시포럼’ 킨텍스 개최 file 2022.10.15 이지원 9048
고양시 토당청소년수련관, 청소년운영위원회 '꽃나무' 모집 file 2016.02.01 온라인뉴스팀 19755
고양 원더스 선수들의 근황 1 file 2017.11.13 손종욱 17936
고속도로 과속 단속 카메라의 사례로 보는 드론 활용의 필요성 2021.06.22 김률희 16858
고소한 소통! 행복한 동행! 2018 청주 삼겹살 축제 성황리 개최 file 2018.03.05 허기범 14203
고령화 사회에 맞춰가는 활동 (행복노인돌보미센터) 1 2018.03.01 김서현 14384
고려인,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file 2016.07.23 이하린 15352
고등학생들을 위한 필드 - THE BASE! file 2017.03.20 이현중 13137
고대부고 제1기 자치법정 '성북구청과 김앤장 로펌이 함께하는 모의법정 캠프' 5 file 2016.02.24 이선범 19082
고개숙인 한국 축구, 이대로 괜찮은가? 1 file 2017.03.24 최민규 13620
계양 Wise 청소년 상상 캠프 file 2016.08.10 최찬영 14122
계속 발전하는 논산시, 그 끝은 어디인가 file 2017.10.10 윤우경 17811
계속 되는 무더위, 도대체 언제까지? 1 file 2016.08.26 지예슬 15151
계란에 표기된 숫자, 무엇을 의미할까? file 2021.03.26 김정희 13934
경험을 통한 학습의 필요성 file 2016.05.29 김지원 15747
경제와 환경을 살리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시스템'을 아시나요? 3 file 2017.02.22 이윤지 22330
경제강대국 미국, 알고 보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 2021.11.29 류채연 13637
경쟁하지 않는 토론, 1318 청소년 토론한마당 file 2017.07.25 양현진 13736
경쟁보다 성장이 우선된 ‘제22회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 성료 file 2022.12.06 이지원 7421
경의선 발전 속에 묻혀진 철도 '교외선' 1 file 2017.08.17 최성민 31549
경복궁으로 밤마실 떠나요 file 2017.08.29 정유담 14717
경복궁에 관하여 1 2016.03.31 최서빈 15961
경복궁 수문장 교대의식 file 2017.02.24 김태호 14632
경남외고, 자연 속의 힐링 file 2014.10.24 이예진 25932
경남도 의령군서 '제48회 의령홍의장군축제' 개최 file 2023.05.03 김민성 6034
경기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청소년 지도자 대상 위기 대응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file 2022.11.11 이지원 8219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유니버설 디자인시대 위한 '누림 아카데미' 개최 file 2022.06.16 이지원 8107
경기도의 혁신학교, 안산광덕고등학교 3 file 2016.03.29 오지나 22303
경기도. 청소년 버스요금을 줄입니다! 2 file 2017.05.25 이은혜 14262
경기도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환경의 날 맞이 공동 플로킹 챌린지 진행 file 2022.06.09 이지원 7887
경기도 청소년들이 나눔을 체험하는 방법, 희망나눔Festival 2 file 2017.09.19 한채은 12619
경기도 의정부시, 삼성 드림락서 행사 개최되다!! file 2017.06.04 이현 15726
경기도 고양시, 보라데이(Look-Again) 캠페인 진행 1 file 2017.11.06 조윤서 14009
경기도 각 학교 대표들의 허심탄회한 만남 ? 학교민주자치역량함양과정 2 file 2017.04.23 최다영 12515
경기 불황 속 작은 사치 file 2017.07.25 박주연 14045
경기 부천에 '부천아트센터' 개관...문화도시 부천의 발돋움 file 2023.05.24 박도현 58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