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문재인정부의 4강 외교 복원!

by 4기양수빈기자(국제부) posted May 13, 2017 Views 96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문재인대통령.jpg

[이미지 제공= 청와대 홈페이지]


 지난 5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에 걸쳐 문재인 대통령과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 중국의 시진핑 주석,일본의 아베 총리,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로 한반도 주변 4강과의 전화 외교를 마무리 하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4강 정상들과의 통화에서 공통적으로 북한 핵문제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통화 내용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북핵 문제에 대하여 평화적 해결을 해야한다고 주장하여, 한반도 문제에 대한 주도권 확보에 강조하였다.


취임 첫날인 10일, 문대통령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30여분 통화를 하였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사드 문제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고, 북핵 문제 해결에 강조하였다. 

눈길을 끄는 것은 다음 날인, 11일 중국의 시진핑 주석과의 통화시간이다. 4강 정상들과의 통화시간 중 40여분으로 가장 길었다. 문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주석과 국내 사드 배치 문제와 이에 따른 중국의 보복조치, 북핵 개발에 대한 중국의 역할 등 굉장한 공을 들였다. 문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에게 북핵문제에 대해 해결하는 과정에서 압박과 협상을 병행해야한다고 전했다.

그리고 11일에 문재인 대통령과 일본의 아베 총리가 25분간의 전화 통화를 통해 위안부 합의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이 날 통화에서는 아베 총리가 먼저 위안부 합의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문 대통령은 아베 총리에게 "우리 국민들 대다수가 정서적으로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민간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대해 정부가 나서서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시간이 필요하다"며 "그런 국민들의 정서와 현실을 인정하면서 양측이 공동으로 노력하자"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합의에 대한 국내 상황을 알린 동시에 "분명히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과거사 문제가 양국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에 발목을 잡아서는 안된다는 사실이다."라는 말도 덧붙였다고 한다.

12일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이 문 대통령의 취임 축하를 해왔다. 문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한러관계 발전방안과 북핵 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논의하였다. 문 대통령은 특히 푸틴 대통령에게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건설적 역할을 부탁했고, 푸틴 대통령도 이에 대해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탄핵기간동안 지체되어있던 외교관계를 복원하고자 하여, 4강들과의 전화통화를 무사히 마쳤다. 아울러 4강 정상들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과의 전화 외교를 통해 국내 외교관계를 다시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 = 4기양수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396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090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4169
자유한국당 당권 누구 손에? file 2019.02.27 송봉화 11336
자유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 "일베해라" "틀딱" 2 file 2017.08.05 한한나 13335
자유한국당 해산심판 청원 등록...'들끓는 민심' 2 file 2018.05.25 양성민 11348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폐지, 과연 올바른 해결책인 것인가? 2 file 2017.06.25 이지연 12133
자전거 도로교통법. 과연 안전해졌는가? file 2018.08.27 유태현 14237
자칭 언론사? 정보화 시대와 우리의 과제 2 file 2015.10.25 김진아 28541
작지만 큰 그녀들의 외침 4 file 2018.07.26 김하은 10956
잘못된 생각으로 실생활 속 결정에 많은 영향을 주는 생존 편향(Survivorship bias) file 2019.01.25 송지윤 19557
잘못된 애국심: 분노하는 중국의 젊은이들 file 2021.04.30 민찬욱 8921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발포명령자들 file 2017.05.24 박민서 9659
잠잠하던 코로나... 태국에서 다시 기승 2020.12.28 이지학 10409
잠잠해져가던 코로나19, 다시금 두려움에 떨게하는 에어로졸 전파 6 file 2020.07.31 유지은 22271
장 마감 직전 10분 동안 급락한 신풍제약…코로나19 이후 과열된 주식 시장 file 2020.07.31 이민기 14721
장·차관 세비 30%반납에 이어 국회도 반납 릴레이 1 file 2020.03.30 김다인 9321
장래희망이 유튜버? 4 file 2017.11.20 이유진 13979
장미대선 속 장미의 진정한 의미는 '우리의 권리' file 2017.04.25 한우주 12853
장애인 복지와 인권, 그 이상과 현실 4 file 2017.02.01 최서영 20008
장애인의 권리, 이제는 함께 지켜줘야 할 때 1 file 2016.03.24 전예린 16339
재개된 북미 정상회담, 성공적인 개최 가능할까 1 file 2018.06.12 박채영 11098
재건축 규제 완화 공약...강남 집값 상승 전환 file 2022.03.28 송경원 9520
재건축 안전진단이 뭔가요? 1 2018.05.25 이영재 10386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중요한 이유 1 file 2017.09.19 양현서 11699
재조명되는 여성인권, 청소년들이 말하는 성매매특별법 위헌 file 2016.05.26 류나경 19407
저가항공사들의 반란? 1 2020.06.01 이혁재 8183
저렴한 가격에 교복사고 사랑을 나눠요! 3 file 2015.02.26 김민주 32257
저버린 이성, 다시 확산된 코로나 2020.08.26 박성현 7633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도보 이동권 문제, 청년들이 내놓은 개선 방안 공유 file 2022.07.15 이지원 7253
저출산 문제,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3.26 강민성 9552
저출산/고령화현상 이제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file 2017.02.24 신규리 14796
저출산과 고령화,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은? 7 file 2018.08.22 윤지원 29313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8846
전 세계 백신 접종자 1억 명 돌파. 대한민국은? file 2021.02.25 김진현 13854
전 세계 학교 상황은 어떨까? 1 file 2020.04.01 여승리 8740
전 세계, 한국을 뛰어넘다? file 2020.07.20 이다빈 14015
전 세계가 감탄한 대응책 중 하나,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24 박아연 8393
전 세계가 패닉! 코로나는 어디서 왔는가? file 2020.03.02 차예원 13865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그 근원지는 어디? file 2020.05.20 김가희 8218
전 세계를 뒤흔든 김정남 독살! 배후는 누구인가? 2 file 2017.02.20 정유리 15663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바이러스가 조작됐다? file 2020.09.28 방지현 8441
전 세계에 창궐해있는 코로나19, 그 이후의 세계는? 2 2020.08.31 유서연 9902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보안 기술, 양자역학의 원리 속에? 1 file 2020.07.15 서수민 21292
전 세계적으로 겪는 문제, '코로나19와 겹친 금값 폭등' 1 file 2020.05.21 허예진 9273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215
전국 학생들이라면 모두 받을 수 있는 '농산물 꾸러미' file 2020.06.29 하늘 8303
전국에 내려진 폭염경보, 건강관리는 어떻게? 2020.08.24 윤소연 8528
전기안전법, 개정안 시행 논란과 1년 유예 5 file 2017.01.25 정지원 17226
전기자동차, 떠오르는 이유는? 1 file 2019.03.25 김유민 10458
전두환, 노태우 동상 철거, 그 이유는? file 2020.06.24 이가빈 90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