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김해시 대학병원 유치 실현에 시동걸어

by 4기사회부김규리기자 posted May 05, 2017 Views 1626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0505_15014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규리기자]

인구 60만 명에 육박하는 김해시에는 번듯한 대학병원이 하나도 없어 시민들의 의료공백과 불편이 가중되어 왔다. 인제대와 동아대가 대학병원 부지를 매입한 채 약 20년간 방치만 해 놓고 있기 때문이다.

인제대는 대학병원 건립을 목적으로 199612월 삼계동 일대에 34천여 제곱미터의 부지를 사들였고 동아대 역시 같은 목적으로 2001년 장유에 1만여 제곱미터의 부지를 매입하였다. 그러나 두 곳 모두 장기 불황을 이유로 병원 건립을 미루고 있다.

이에 김해시는 대학병원 유치 실현을 위해 지난 118일부터 대학병원 유치 전담 TF 팀을 구성해 대학병원 유치 활동에 돌입했다. 전담 TF 팀은 보건소장이 총괄 책임자로 유치 추진팀, 유치 지원팀, 유치 홍보팀으로 구성하였다.

김해의 종합 병원급 병상당 인구수는 인근 다른 도시에 비해 2배가량 높은 편으로 대학병원을 유치했을 때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는 시의 판단이다. 시는 우선으로 인제대, 동아대와 접촉해 병원 설립에 대한 입장을 다시 확인할 계획이다. 시는 이들 대학이 난색을 보일 경우 기존의 삼계동 인제대학병원 부지에는 수도권 대학병원 분원 유치를, 장유의 동아대학병원 부지는 암센터와 심 뇌혈관질환 센터 등 특성화된 병원 유치도 고려할 방침이다. 그러나 당사자인 인제대와 동아대는 시의 입장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는 분위기이다. 두 대학은 지난해 5월 이미 김해시 보건소와의 접촉에서 대학병원 유치가 사실상 어렵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고 시가 추가적인 제안 없이 보도자료만 내놓은 상황에서 새로운 입장을 밝히기는 어렵다는 견해다.

김해시민들의 입장에서는 오랜 염원 사업인 대학병원 유치가 가시화됨에 따라 반기는 분위기이다. 김해시가 대학병원 유치에 발 벗고 나선 가운데 앞으로 차질 없는 추진으로 시민들의 의료 숙원을 풀어 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김규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나경기자 2017.05.05 19:59
    김해시를 생각하면 대도시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대학병원이 없었다니.. 좀 놀랐습니다. 강원도의 한 지역인 저희 지역도 대학병원이 두개가 있는데 인구 60만이 넘는 도시에 아직 대학병원이 없었다니ㅠㅠ 정말 시민들이 얼마나 불편했을지.. 그래도 이제 본격적으로 유치를 하는것 같아 다행입니다! 좋은기사 감사해요~
  • ?
    4기사회부김규리기자 2017.05.05 22:00
    기사 잘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이나경기자님!!!♥
    취재하면서 알아보니 시행착오가 많은것 같던데ㅜㅠ 시민들을 위해 꼭 추진되었으면 싶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624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375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3569
온라인으로 찾아가는 청년 멘토링 축제...'MBN Y포럼 2022' 16일 유튜브서 방송 1 file 2022.02.07 디지털이슈팀 9521
MBN Y포럼, '수제맥주 창업가·36살 은퇴 파이어족' 소개된다...오는 16일 개최 file 2022.02.07 디지털이슈팀 8698
2021 터키 앙카라대학교 한국어 문학과 중심 한-터 학생 간 언어교환 모임 소식 file 2022.02.03 김승권 9996
인텔. 12의 완성 file 2022.02.03 이준호 11373
팬데믹 속 숨통이 되어주는 문화생활 1 file 2022.02.03 임민영 8023
거대한 방주와 망망대해에서 펼쳐지는 신비하고 짜릿한 모험 [노아의 방주 2: 새로운 세계로] 2022.01.27 여인우 9736
요즘 팬덤 문화의 핫이슈 '포카'를 들어보셨나요? 1 file 2022.01.27 정하윤 13214
생명을 위한 관심, 헌혈이 필요한 시기 file 2022.01.27 임나연 11141
차세대 전자여권, 어떤 점이 달라졌을까? 1 file 2022.01.27 민유정 9849
모두를 위한 신비로운 힐링 판타지 '달러구트 꿈 백화점' 1 file 2022.01.27 신유빈 9003
필리핀 인터넷 쇼핑의 변화 file 2022.01.26 최윤아 11171
SNS 형 독서 기록 어플 텍스처 알아보기 file 2022.01.26 김승원 12524
초콜릿은 사랑의 묘약? - 호르몬이 부리는 감정의 마법 1 file 2022.01.26 김상우 10486
올바른 다이어트란 뭘까? 1 file 2022.01.26 권소연 11016
여보, 아버님 댁에 친환경 콘덴싱 놓아드려야겠어요 file 2022.01.25 김하영 10756
설날은 우리나라만 있는 것이 아니다? 1 file 2022.01.25 이유진 10058
급작스러운 넷플릭스의 주가 폭락, 그 원인은? file 2022.01.25 서승현 8817
'별다꾸' Z세대, 이제는 케이크도 꾸민다 1 2022.01.25 김지민 13454
메타버스(Metaverse)가 무엇인가요? file 2022.01.24 허민영 11349
"22년에도 흥행 이어간다!"... 넷플릭스 2022년 신작 라인업 공개 file 2022.01.24 손동빈 16018
영화관 매출 내리막, 극복할 수 있을까? file 2022.01.24 박예슬 9186
“장난감은 언제나 현실의 또 다른 모습이다”, 신비한 장난감 가게 : 작은 것들의 큰 이야기 file 2022.01.24 김진영 10335
남산타워 조명으로... 대기오염 정보를? file 2022.01.24 김명현 10051
즐거움을 낚다, 제12회 파주 송어축제 file 2022.01.21 최은혁 11896
내 집 마련 부스터, 주택청약종합저축 file 2022.01.17 이서현 13420
일반인들의 우주, 도래할 것인가 file 2022.01.13 현예린 16168
얼음덩어리의 내부가 하얀 이유 file 2022.01.10 김다혜 14523
곧 시작될 새 학기! 입을 교복, 입고 있는 교복: All about 교복 1 file 2022.01.05 김유진 9209
나만의 향을 기억하다, ‘향수 만들기 클래스’ file 2022.01.03 조민주 12364
"OTT" 무슨 말인지는 모르지만 모두가 알고 있는 것 file 2022.01.03 오은진 13848
변화하고 있는 필리핀 골프문화 1 file 2021.12.31 최윤아 12640
항공기의 기본적인 특성을 아는것은 미래를 위한 투자다 file 2021.12.31 박재현 8781
올림픽의 열기는 어디로... '난장판' 되어버린 'IBK 기업은행 배구단' 1 file 2021.12.29 신현우 9383
자유를 위한 고귀한 희생 file 2021.12.29 허정희 9531
다가오는 2022년, CES에서 확인하라 file 2021.12.27 이준호 9257
초미세 반도체 위한 신소재 합성에 성공... 실리콘 대체 가능성 증가 file 2021.12.27 한건호 11941
스마트도시란 무엇인가 file 2021.12.27 백소윤 11356
매일 밤 기억을 잃는다면? - 책 :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1 file 2021.12.27 김하영 13757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마음, 여러분은 가지고 계신가요? 1 file 2021.12.23 민유정 10612
중국 애니메이션! 일본 긴장해라? file 2021.12.22 강민지 10238
크리스마스에 관해서 아시나요? file 2021.12.22 이유진 8888
카레의 숨겨진 효능 1 file 2021.12.21 김다혜 9293
영국 내 '오미크론 변이' 확산 비상... 꼬여버린 PL 일정 어쩌나 file 2021.12.21 손동빈 8606
유명 모델 켄달 제너의 테킬라 브랜드 Drink 818의 양면성 file 2021.12.20 강려원 11597
우리의 영원한 영웅들, UN묘지에 잠들다 2021.12.20 김예린 9513
스노든의 태도 <미국 청소년 추천 도서: 스노든 파일> file 2021.12.16 이유진 21257
국회의사당 해태상 밑 100년 화이트 와인 file 2021.12.15 강준서 10017
국회의원 배지의 변천사 2021.12.14 강준서 114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