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시리아 미사일 공격? 그래, 미국은 좋겠지. 그러면 타국은?

by 4기김유진기자(정치부) posted Apr 29, 2017 Views 99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시리아 미사일 공격? 그래, 미국은 좋겠지. 그러면 타국은?

-지난 7일 미국이 시리아에 미사일 공격을 하며 얻은 유익과 타국에 가한?위협을 알아보자.-


미국이 시리아 정부군이 민간인을 향해 화학 무기를 사용했다는 핑계로 7일 새벽에 시리아 미사일 공격을 하여 민간인 9명 사망과 7명 부상을 입게 되었다. 이로 인해 전 세계의 강대국들을 포함한 나라들이 각종 의견들을 내세웠다. 우선 마이클 팰런 영국 국방장관은 지난주 시리아에서 발생한 화학무기 공격은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정권에 의한 것으로, 이에 따른 민간인 희생에 '대리인 러시아'가 책임이 있다고 비난했다. 팰런 장관은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고사령관으로서의 첫 시험에서 시리아 공군기지를 정밀 타격하는 군사 행동을 취함으로써 올바른 결정을 내렸다고 옹호했다. 반면에 미·중 정상회담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단행된 미국의 시리아 공습은 북한과 중국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로 해석됐으며, 북한은 이날 시리아 공습 이후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담화를 통해 "수리아(시리아)에 대한 미국의 미사일 공격은 주권국가에 대한 명명백백한 침략행위로서 절대로 용납될 수 없다"면서 "일부에서는 수리아에 대한 미국의 이번 군사적 공격이 우리를(북한을) 노린 그 무슨 '경고성' 행동이라고 떠들고 있는데 그에 놀랄 우리가 아니다"고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f197bbbb046094a51fecdfdea3ac7381.jpg

[이미지 출처 = 연합뉴스 '英국방, 美 시리아 공격 옹호…"최고사령관 트럼프 올바른 결정'  기사]

[이미지 제공 = 연합뉴스, 출처 밝힐 시 사용 허가 받음]

미군의 미사일 공격을 받은 시리아 알샤이라트 공군기지


먼저, 미국이 시리아에 공격을 함으로써 북핵 문제에 대해 중국과 북한을 동시에 압박할 수 있었다. 미국도 여전히 미사일을 소지하고 있으며 발사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그들에게 경고할 뿐 아니라 세계 각국에 널리 알릴 수 있었다. 또한 국내적으로 트럼프에 대한 여러 가지 대통령직 논란이 있었던 것을 잠재울 수 있었다. CNN에서 "도널드 트럼프가 이제야 미국의 대통령이 됐습니다. 실로 중요한 시점입니다."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대선캠프의 러시아 내통 혐의 수사가 진행되는 시점에 러시아의 비호를 받던 아사드 정권에 직격탄을 날림으로써 친 러시아 이미지를 씻어낸 것으로 비친다. 하지만 이에 대한 대부분의 평판은 ‘옳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미국의 미사일 공격은 전 세계적인 혼돈과 중동의 테러리즘, 극단주의를 강화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비판했으며, 알리 샴카니 이란 최고국가안보회의 의장도 "미국은 테러리즘을 지원하려고 정치적인 의도로 시리아를 미사일로 공격했다"고 말했다. 본인과 국가의 단순한 이익을 챙기기 위해서 한창 각종 ‘테러’와 ‘내전’이 분분한 시리아에 무기를 사용하면서까지 강대국의 권위를 보여줄 필요가 있었을까?


[대한민국청소년 기자단 정치부 = 4기 김유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216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980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2971
신재생⋅친환경 에너지 활성화로 주목받는 '은' file 2021.02.10 이강찬 7951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 파헤쳐보기 file 2019.04.08 서민석 12468
신소재 그래핀과 보로핀의 산업화 해결 과제 file 2021.05.21 김률희 11633
신생아 낙상사고 후 3년간 사실 은폐... 의료윤리는 어디로? 2019.06.24 한웅희 14310
신뢰를 잃은 대한민국 외교부, 유일한 답은 2015 한일 위안부 합의 원천 무효 file 2017.03.25 전세희 21584
신고리 원전, 팽팽한 숙의민주주의·· 갈등의 끝은 존재하는가? 2017.10.23 조영지 10816
신갈천! 용인시민의 품으로 1 file 2017.02.04 김지원 15520
식음료 업계, 시각장애인 위한 ‘점자 패키지’ 확대 file 2022.11.04 이지원 4922
식민주의가 낳은 피해자들, 로힝야족 file 2019.04.19 이서준 13157
시험기간의 필수품 '카페인'? 과다 섭취는 '독'. 1 file 2017.10.25 이나경 12593
시험 기간 청소년의 카페인 과다 섭취, "이대로 괜찮을까?" 16 file 2019.05.03 윤유정 17797
시진핑, 장기집권의 길을 열다: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3번째 '역사결의' file 2021.11.22 황호영 9296
시위 확산된 벨라루스... 정부와 시위대의 줄다리기 file 2020.09.03 박재훈 7550
시원한 걸 원해? 노치, 구멍 없는 풀 스크린 스마트폰 file 2019.04.30 홍창우 13083
시민의식,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8.01 엄태강 17326
시민의 손으로 세워진 소녀상이 설치되기까지 18 file 2016.02.14 3기신수빈기자 19473
시민의 발'지하철'이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 17 file 2017.01.14 진현우 17593
시민 눈총에도...전직 군인단체, 광화문서 전두환 추모식 file 2023.12.30 권우석 3202
시민 건강 위협하는 '미끌미끌' 위험한 빙판길 2 file 2017.02.20 이나경 15173
시리아, 드디어 끔찍한 전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file 2017.07.29 윤정민 10316
시리아 미사일 공격? 그래, 미국은 좋겠지. 그러면 타국은? file 2017.04.29 김유진 9902
시간이 멈추어 있는 항구 - 목포신항만 세월호 거치장소 1 file 2017.08.07 이준석 11689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4 file 2017.03.23 박소윤 18648
슬로벌라이제이션; 새로운 세계화의 흐름 file 2020.05.25 조민경 8928
슬럼 투어리즘, 어떻게 봐야 하나 file 2019.05.07 이채빈 19673
스페인을 덮친 테러 6 file 2017.08.23 박형근 10711
스팸 메일, 알고보니 환경 파괴 주범 file 2020.05.25 오경언 9031
스타링크 프로젝트 시작되... 스타링크 위성 60기 발사 성공 file 2019.06.05 김병국 10193
스크린 독과점의 논란, 재시작? 3 file 2016.09.14 손지환 16717
스쿨존, 과연 정말 안전할까? 2020.06.29 이수미 9519
스윙 보터? 게리맨더링? 캐스팅보트? 1 file 2017.06.26 강민 14495
스마트폰에 밀려버린 키즈산업…토이저러스 파산 위기 2 file 2017.10.20 김나현 14191
스마트폰 중독,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8.01 유재훈 12369
스릴 넘치는 롤러코스터, 미국 대선 8 2016.02.29 송채연 33750
숫자를 통해 알아보는 대선 file 2017.04.24 백다미 11918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0354
술을 판 판매자는 유죄, 술을 산 청소년은 무죄? 1 file 2018.04.27 곽태훈 11856
순환되지 못하는 경제, 젠트리피케이션 2 2019.02.01 권오현 11344
수요 집회, 사람들의 가슴을 울리다 1 file 2017.05.07 김현재 9163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7894
수면 위로 떠 오른 'n번방' 사건의 진실 file 2020.04.23 김햇빛 8552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9일 0시부터 1.5단계로 격상 file 2020.11.18 이유진 7671
수도권 고3 제외한 유, 초, 중, 고 원격 수업 file 2020.09.01 박정은 7601
수도권 거리두기 2.5단계... 스타벅스도 비껴가지 못했다 file 2020.09.03 윤지영 7480
수도 이전? 그린벨트 해제? 갑론을박 부동산 대책 file 2020.07.23 김대훈 9539
수단의 대통령, 30년만에 물러나다 file 2019.05.23 이솔 9977
수능, 마지막이자 새로운 시작 4 file 2016.11.17 서지민 17278
송파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자해 행동 청소년과 부모를 위한 마음돌봄 안내서 제작·배포 file 2022.12.29 이지원 64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