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뇌사=죽음?

by 4기하영서기자 posted Apr 25, 2017 Views 181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뇌사가 죽음의 판정 기준이 되면 다른 생명을 살릴 수 있다 



 현재 보편적으로 많은 나라에서는 죽음의 기준을 심폐사로 정하고 있다. 심폐사란 심장이 효율적으로 수축하는 데 실패하여 피의 일반적인 순환계가 멈춘 상태로 심폐사 판정을 받았다는것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하지만 심폐사가 아닌 뇌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삼으면 장기기증을 더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우리나라의'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뇌사자의 생전 동의, 가족의 동의, 2인 이상 의료진의 뇌사판정 등 위 사항들이 모두 충족 되었을 때만 장기기증이 가능하다.더하여 우리나라는 뇌사를 전체가 아닌 부분적 경우에 한에서만 죽음으로 인정하고 있다.그러므로 뇌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인정한다면 장기기증이 쉬워져 장기 기증자의 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죽음의 판정 기준을 정하는 문제는 생명 윤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장기이식 활성화를 이유로 변경되기 어렵다.
 

그림01.jpg

[이미지 제공=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출처 명시 하에 사용 가능함



 우리나라에선 현재 장기 이식을 해야 하는 대기환자는 빠르게 늘고 있지만, 장기 기증자 수는 대기자의 10%에도 못 미치고 있다. 특히 기증자 1명이 최대 9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뇌사 기증자는 대기자의 2%가 채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말 장기이식 대기자는 2만7,444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장기 기증자는 대기자의 9.3%인 2,565명에 그쳤고,국내 장기 기증률은 주요국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장기기증 부족 문제를 어떻게 개선할 수있을까?


  위에서 언급한 대로 죽음의 판정 기준을 변경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힘들다.따라서 일반인들의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 제고와 제도적 개선을 최선의 방안으로 꼽을 수 있다.기증 희망자가 뇌사 또는 사망하더라도 현행법상 최종 기증 결정은 가족에게 달려있다. 18세 이상 성인이면 장기 기증 여부를 본인 스스로 결정하는 미국 등의 사례를 참고한다면 지금의 현행법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또한 우리나라는 뇌사판정위원회에서 두 차례에 걸쳐 뇌사 여부를 판정하게 돼 있고 그에 따른 소요 시간이 길어 장기 제공의 적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뇌사 판정 절차를 개선해 장기 이식을 위한 의료 조치를 제때 취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하영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임수연기자 2017.10.10 20:45
    뇌사가 죽음의 판정이 기준이 된다라... 꽤 심도 있는 주제로 기사를 쓰셨군요. 잘 읽어봤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4013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3745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58744
첨단 의과학캠프의 현장으로 file 2017.08.12 김민지 12323
코로나19로 인해 해수욕장 풍경도 바뀐다 1 file 2020.06.29 이승연 12321
프리러너 뉴먼의 갑작스러운 죽음 1 file 2017.02.25 최선 12321
나도 할 수 있다! 글로벌 역사 외교대사 2017.09.05 김나연 12318
스마트 태그와 함께 소비자에게 가까워진 사물인터넷 시대 2021.06.02 최병용 12311
'봉준호가 만든 스타' 언어 장벽을 파괴하는 기생충의 그녀 정체는? 2 file 2020.03.25 서예은 12310
가장 필요한 용기 file 2017.03.24 김다빈 12310
"빼빼로 데이요? 에이~ 당연히 알죠, 개천절이요? 글쎄요.. 모르겠어요" file 2020.11.17 김지윤 12309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2309
[MBN Y 포럼 2019] 하쿠나 마타타 지금 시작하라! file 2019.02.18 김하영 12306
제1회 인천리빙디자인페어 2020.11.25 김경현 12301
현대와 미래를 한 아름 담은 공간,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file 2020.09.25 이건 12293
네덜란드 튤립축제 취소, 온라인 투어로 체험 2 file 2020.04.27 김민수 12293
미래를 이끌어 갈 창의적 인재는 누구? 4 file 2017.02.20 박민경 12288
5월 1일, 세계 각국의 근로자를 기념하는 근로자의 날 file 2020.05.08 송윤슬 12287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2286
다함께 반올림, 아산시 건강가정지원센터 2017 ‘청소년 나침반 봉사단’ file 2017.05.24 이수지 12286
코로나19 확산, 극장->안방, 뒤바뀐 문화생활 2 file 2020.04.13 정현석 12275
새학기 교복을 저렴하게 구입하자! 1 file 2017.02.24 윤하림 12272
"점점 늘고 있는 청소년 흡연" 2 file 2021.02.23 노윤서 12271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가게 file 2019.12.30 남진희 12259
1,400년 역사와 드론의 찬란한 만남...'익산 미륵사지 미디어아트 쇼' file 2021.09.24 김수인 12251
세계 1000만 명을 감동시킨 온라인 '오페라의 유령' 2020.05.02 이중호 12245
봄나들이는 과학관으로 1 file 2017.03.28 정예림 12242
RESPECTIVE MOVE; 비선수 출신의 지도자를 향한 노력 file 2020.02.03 이지훈 12238
NC 다이노스의 창단 첫 정규 시즌 우승! file 2020.10.30 최준우 12231
48인의 독립운동가 file 2021.07.26 노윤서 12229
아파트 건설 도대체 왜? file 2020.10.26 박성현 12228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2225
잊지 말아야 할 삼일절, 더는 보기 힘든 태극기 file 2017.02.24 박예림 12223
전세계가 함께하는 지구촌 전등끄기 행사가 열리다. 1 file 2017.03.25 김혜린 12221
봉사동아리 루키의 첫번째 캠페인 "Save The Earth" 1 file 2017.05.13 이경하 12218
뜨거운 여름, 가족 사랑으로 이겨내다. file 2017.08.22 최연진 12217
'국경없는영화제 2018' 지난 23일 개최 file 2018.11.29 이소연 12216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2211
도쿄올림픽, 안전하게 치러질 수 있을까? file 2021.04.20 풍은지 12207
이마트24, 애플 마니아의 성지가 되다 file 2021.03.29 이승우 12198
우리 다함께 편지보내고 간식먹어요! file 2021.04.01 우규현 12194
봄의 향연 광안리 어방축제 2 file 2017.05.14 양다운 12194
우리가 지켜야 할 그곳! 2 2017.04.08 박지원 12193
날짜에 갇혀있는 세월호 참사에 필요한 새로운 형태의 추모 file 2020.04.21 위성현 12176
한국의 사계절이 사라지고 있다 file 2021.11.22 임나연 12170
IMUN 그 대망의 시작 file 2020.01.28 엄세연 12169
''어서와, 방방콘은 처음이지?'' file 2020.06.22 김현희 12168
[MBN Y 포럼] 불가능을 즐겨라 ! 2월 22일 서울 장충체육관 2 2017.02.19 유림 12163
길거리에 냉장고가 떡하니 존재하다! file 2021.03.29 민경은 12158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2158
조선왕릉 문화제에서 조선의 왕들과 함께 춤을,,, file 2020.10.26 김수현 121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97 Next
/ 97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