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뇌사=죽음?

by 4기하영서기자 posted Apr 25, 2017 Views 1786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뇌사가 죽음의 판정 기준이 되면 다른 생명을 살릴 수 있다 



 현재 보편적으로 많은 나라에서는 죽음의 기준을 심폐사로 정하고 있다. 심폐사란 심장이 효율적으로 수축하는 데 실패하여 피의 일반적인 순환계가 멈춘 상태로 심폐사 판정을 받았다는것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하지만 심폐사가 아닌 뇌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삼으면 장기기증을 더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우리나라의'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뇌사자의 생전 동의, 가족의 동의, 2인 이상 의료진의 뇌사판정 등 위 사항들이 모두 충족 되었을 때만 장기기증이 가능하다.더하여 우리나라는 뇌사를 전체가 아닌 부분적 경우에 한에서만 죽음으로 인정하고 있다.그러므로 뇌사를 죽음의 판정 기준으로 인정한다면 장기기증이 쉬워져 장기 기증자의 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죽음의 판정 기준을 정하는 문제는 생명 윤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장기이식 활성화를 이유로 변경되기 어렵다.
 

그림01.jpg

[이미지 제공=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출처 명시 하에 사용 가능함



 우리나라에선 현재 장기 이식을 해야 하는 대기환자는 빠르게 늘고 있지만, 장기 기증자 수는 대기자의 10%에도 못 미치고 있다. 특히 기증자 1명이 최대 9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뇌사 기증자는 대기자의 2%가 채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말 장기이식 대기자는 2만7,444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장기 기증자는 대기자의 9.3%인 2,565명에 그쳤고,국내 장기 기증률은 주요국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장기기증 부족 문제를 어떻게 개선할 수있을까?


  위에서 언급한 대로 죽음의 판정 기준을 변경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힘들다.따라서 일반인들의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 제고와 제도적 개선을 최선의 방안으로 꼽을 수 있다.기증 희망자가 뇌사 또는 사망하더라도 현행법상 최종 기증 결정은 가족에게 달려있다. 18세 이상 성인이면 장기 기증 여부를 본인 스스로 결정하는 미국 등의 사례를 참고한다면 지금의 현행법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또한 우리나라는 뇌사판정위원회에서 두 차례에 걸쳐 뇌사 여부를 판정하게 돼 있고 그에 따른 소요 시간이 길어 장기 제공의 적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뇌사 판정 절차를 개선해 장기 이식을 위한 의료 조치를 제때 취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하영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임수연기자 2017.10.10 20:45
    뇌사가 죽음의 판정이 기준이 된다라... 꽤 심도 있는 주제로 기사를 쓰셨군요. 잘 읽어봤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1528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1273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34867
빠르고 편리한 비대면 키오스크, 과연 소외계층에게도 '편리'할까? 2 file 2021.03.25 남서영 18306
어린이 화장품 출시, 과연 옳은 일인가? 16 file 2017.01.23 안수현 18306
수용자를 집에서도 만날 수 있다고? 1 file 2017.03.18 노유진 18302
'질문은 발견' 유스보이스, 청소년의 목소리 지원하는 컨퍼런스 개최 6 file 2016.02.21 서소연 18298
꿈의 나노소재, 그래핀 1 file 2018.08.20 박효민 18297
I Marymond You;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움직임 3 file 2017.03.05 김가빈 18297
열섬 현상을 막는 도심 속 생태계, 서울숲 file 2018.08.29 전세린 18295
<스스로넷, 청소년 동아리 활동 문화 선도에 앞서가다!> file 2018.04.03 김현재 18291
인터넷만 있어도 뚝딱 만드는 카드뉴스, 너도 만들 수 있어! file 2020.12.09 송민서 18285
우리가 곧 현실이라는 것을 알려준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2017.08.17 권오현 18278
축구 속 브렉시트 2016.07.26 김선기 18278
앞으로의 미래는 청소년이 앞장선다! 1 file 2019.01.28 심화영 18275
차근차근 알아보는 2017년의 IT 트렌드 file 2017.09.13 한동엽 18268
필리핀 보라카이 잠정폐쇄, 그 이후는? file 2018.05.28 박지현 18267
'글로리데이'청춘의 아픔을 그려낸 청춘영화 file 2016.03.25 홍경희 18264
밝은 미래를 향한 노력의 중심, 제4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2 file 2017.03.28 신온유 18260
청소년의 방학, 휴식 시간인가? 4 file 2017.08.27 박재현 18259
소프트웨어의 시대가 열리다! 아두이노와 앱인벤터를 이용하는 사람들 file 2017.08.09 박서영 18252
봄의 향기를 담은 매화마을-‘매곡동’ 6 file 2016.02.23 유성훈 18239
[ 삼일절 ] 그날의 함성을 재현하다 5 file 2016.03.02 황지연 18236
국립서울현충원에서 '호국보훈백일장 및 그림그리기 대회' 열려 file 2017.05.20 이나영 18232
기존의 수학은 잊어라! KYMA 대한청소년수학회 학술대회 개최 12 file 2017.02.09 최기영 18230
일제강점기의 역사를 찾아서,서대문형무소 1 file 2016.08.25 이다혜 18221
대한민국에서 여자로 태어난 '82년생 김지영'의 고통 2 file 2017.05.25 이세림 18220
미래 과학기술을 이끌 연구의 장, 제64회 전국과학전람회 file 2018.09.05 신온유 18213
강남역 한복판에 떠오른 'GT 타워 아이스링크' 1 file 2017.02.28 송초롱 18213
천진 모의유엔 2019 file 2019.11.22 김수진 18212
한·중 청소년들의 화합의 장, 2019 한·중 꿈나무 체육활동 한마음대회 file 2019.06.11 강명지 18210
느껴보자! 울릉도의 맛과 멋 그리고 즐거움까지 2 file 2017.08.11 정은희 18210
2016년 제주 수학축전 2 file 2016.10.07 이서연 18207
어서와, 펜팔은 처음이지? file 2016.05.24 김은진 18207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실 file 2018.08.20 이형우 18205
눈부신 발전, 그 뒤편의 아픔을 추억하다…일본 고베 항 지진 피해 메모리얼 파크 1 file 2017.03.02 조지원 18179
조선의 그린벨트, 성저십리 2 file 2017.03.01 최지민 18175
노숙자분들을 위한 쉼터, 바하밥집에서의 봉사 file 2016.09.03 오지은 18175
2017 제2회 청소년 모의 UN 인권 이사회 UPR 대회가 열리다 file 2017.09.13 박지민 18174
환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국제교류[주니어에코엔지니어링 아카데미] 1 file 2017.02.25 정혜윤 18172
여성혐오적 의미가 담긴 유행어는 성희롱입니다. 3 file 2018.03.01 홍예림 18167
양평 속 하늘, '천사의 집' file 2016.05.24 조혜온 18167
영화'택시운전사'가 알려준 그 시대의 사실들 7 file 2017.08.08 이윤지 18159
세계 최대 규모 해킹대회 '코드게이트' 성황리에 마무리 3 file 2017.04.23 김지환 18159
세계평화의 숲, 식목일 기념 '시민 나무심기'행사 개최 file 2017.04.21 정지용 18157
우리의 비극적이고 아름다운 역사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4 file 2016.03.17 최찬미 18148
민족 대명절 설 제대로 알고 보내자 13 file 2016.02.08 김상원 18144
사람과 환경이 공존하는 착한 건축 26 file 2016.02.17 장서윤 18143
롯데월드타워는 어떻게 지어졌을까? file 2019.03.11 봉하연 18135
당신의 도시를 밝혀줄 '2019 서울빛초롱축제' file 2019.11.14 정다운 18134
한국의 빵빵한 지하철 와이파이 과연 일본은? file 2018.04.03 김진영 181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97 Next
/ 97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