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장미대선 속 장미의 진정한 의미는 '우리의 권리'

by 4기정치부한우주기자 posted Apr 25, 2017 Views 1274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장미는 인간답게 살 권리, 즉 인권을 뜻하는 단어로 사용되곤 한다. 그 유래는 1908년 미국의 여성 섬유 노동자 약 15,000명이 참여했던 대규모 노동 시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당시 그들의 시위 구호는 "우리에게 빵을 달라, 그리고 우리에게 장미도 달라(Give us bread but give us roses)" 였다. 그들의 구호에서 빵은 굶주림을 해소하기 위한 최소한의 생존권을 의미했으며, 장미는 인간답게 살기 위해 보장받아야 할 인권과 참정권을 의미하였다.


다가오는 5월 9일에 치르는 제19대 대통령 선거의 또 다른 비공식적 이름은 바로 "장미 대선"이다. 장미꽃이 피는 5월에 선거가 치러진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그리고 이번 "장미 대선"은 그 이름만큼이나 특이하고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제19대 대선은 원래 12월에 치러질 예정이었다. 그러나 작년 하반기에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의 설립과 관련하여 박근혜 전 대통령과 그 비선 실세인 최순실 씨의 부정행위가 폭로된 이후, 10월 29일부터 시작된 꾸준한 촛불집회와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이라는 과정을 거쳐 마침내 지난 3월 10일, 헌법재판소가 전원 일치로 박근혜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60일 이내로 다음 선거를 진행해야 한다는 법령에 따라 대선 날짜가 12월에서 5월에 앞당겨지게 되었다.


즉 이번 대선의 시작은 잘못된 기존 정부의 부패를 바로잡고자 했던 대한민국 국민의 노력의 결과이자 보다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첫걸음이라고도 할 수 있다. 부정을 저지른 대통령을 탄핵하고 새 정부를 선출하는 것은 민주주의 국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권리이자 의무이며 마찬가지로 선거의 과정에서 만 19세 이상의 모든 사람이 참정권과 선거권을 통해 투표에 참여할 수 있게 되는 것 또한 우리의 권리이다. 대선의 결과로 훌륭한 대통령이 선출된다면 대한민국은 분명 국민들의 권리가 더욱더 잘 보장되는 국가로 발전할 것이다.



iiimage.jpg


iiimage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한우주기자]



장미가 만개하는 5월, 대한민국은 제19대 대통령을 맞이하게 된다. 때문에 대한민국의 모두는 각자의 방식대로 5월 9일의 ‘장미 대선’에 관심을 기울이며 선거를 준비하고 있다. 이번 대선의 이름이 '장미'이니만큼 모든 국민들이 선거에 참여하여 국민들의 장미, 즉 권리를 최대한 보장해 줄 수 있는 훌륭한 지도자가 선출되었으면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한우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826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476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7956
안전을 위한 스크린도어가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12 file 2016.02.22 장은지 18733
윤기원 선수의 의문의 죽음, 자살인가 타살인가 10 file 2016.02.21 한세빈 18727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4 file 2017.03.23 박소윤 18716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710
인천공항 노숙자들은 와이셔츠를 입고 다닌다? file 2019.07.31 김도현 18698
하나된 한반도, 눈부신 경제성장 6 file 2018.05.23 박예림 18675
[사설] '돌아보는 대한민국 4년'_'작성자가 자리를 비웠습니다' 7 file 2017.01.23 이주형 18657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8635
동물 학대와 동물 유기, 해결책이 필요할 때 1 file 2019.03.08 강서희 18617
100만의 촛불, 대한민국을 밝히다 1 file 2016.11.25 윤지영 18606
부산 위안부 소녀상, 홀로 앉아있는 소녀를 지키는 다른 소녀가 있다. 7 file 2017.01.22 최문봉 18598
‘고령화 사회’ 중심의 서있는 대한민국, 진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4 file 2017.02.21 황현지 18573
백만 촛불의 간절한 외침 1 file 2016.11.24 박민서 18573
2016년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위촉식 및 오리엔테이션 1 file 2016.03.24 김지민 18550
김영란법을 낳은 '벤츠 여검사 사건' 다시보기 1 file 2016.05.23 김도윤 18547
'대륙의 실수', 중국 직구족의 번성 1 file 2016.04.19 김도현 18528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에 가려진 슬픈 역사 20 file 2016.02.14 김혜린 18524
이세돌, 4국 백 불계로 대승... ... 하지만 대두되는 AI 윤리 관련문제 11 file 2016.03.13 박정호 18515
내가 다니는 학교에 확진자가 나온다면? 6 file 2020.12.24 김진현 18510
인터넷 신문의 과도한 광고 22 file 2016.02.24 문채하 18504
세기의 대결, 이세돌과 알파고(Alpa Go) 9 file 2016.03.13 서지민 18489
설 세뱃돈, 어디에 쓰나 10 file 2016.02.15 이민정 18476
젠트리피케이션, 주거지에서 상업지로... 도시 활성화 vs 주민들의 피해 2 file 2018.05.14 김민경 18455
멀어가는 눈과 귀, 황색언론 15 file 2016.02.13 김영경 18454
청소년들에게 선거권을 부여해야 하나 9 2016.04.13 이현진 18452
경제학이多 - 경제학의 흐름 2 file 2018.11.23 김민우 18448
"어르신, 노란조끼 왔어요~" 9 file 2016.02.20 김민지 18447
"법을 악용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들끓는 소년법 폐지 요구 3 file 2017.09.12 박선형 18446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8425
2016년 동북아시아를 뒤흔든 "THAAD(사드)" 12 file 2016.02.14 진형준 18424
GOS 게이트 톺아보기 file 2022.03.28 이준호 18423
김정남 피살사건 한.중.북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까 file 2017.02.25 봉채연 18418
환영받지 못하는 종이 빨대, 이대로 괜찮을까? 4 file 2019.02.25 이하랑 18409
'전안법' 시행, 누구를 위한 법인가? 7 file 2017.01.25 김연우 18402
돈에 있는 바이러스를 씻어내기 위해서는 세탁기에 돈을 돌려야 한다? 3 file 2020.08.24 이채원 18396
도서정가제 전면시행 그리고 2년, 3 file 2017.01.25 이다은 18395
[토론광장] 문화의 상대성인가, 인간의 존엄성인가 1 file 2017.11.01 위승희 18390
1219차 수요집회 열려…청소년이 할 수 있는 일은? 10 file 2016.02.25 박채원 18381
정당방위 적용 범위 개선되어야 file 2016.08.25 조해원 18372
담배로 인한 피해는 누가 책임지나. 6 file 2016.03.26 김민주 18364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 날의 용기 4 file 2017.09.01 이다빈 18363
일본 수출 규제와 한국의 불매운동 5 2019.07.19 양지훈 18360
갑작스런 천재지변...세계 항공사들의 대처는? 7 file 2016.02.23 박지우 18355
해외를 들썩인 '포켓몬Go', 도대체 무엇이길래? 3 file 2016.07.17 백현호 18335
테러, 우경화를 가속시키다 2 file 2016.03.24 조민성 18333
청소년 봉사활동, 그 논란의 중점에 서다 3 file 2016.08.21 조혜온 18319
편의점 이제는 서비스 공간으로 6 file 2016.03.26 김준석 18296
여성가족부,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출범 4 file 2016.03.18 장태화 182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