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동양최대 목조건축물 대광사 미륵보전 완공

by 4기정인교기자 posted Apr 18, 2017 Views 1666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410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 대광사(주지 월도 스님)17m 높이의 거대 미륵불상을 봉안한 동양 최대 규모의 단일 목조건축물인 미륵 보전 낙성 법요식이 있었습니다. 20136월 착공 후 14년 만의 일입니다.

미륵불은 석가모니 부처가 열반에 들고 567천만 년 후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한다고 알려진 '미래의 부처'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미륵불이 출현해 모든 고통을 소멸하고 세상을 구원한다는 염원을 담고 있는 미륵불 신앙이 희망의 신앙으로 수용되어 폭넓게 전승되어 오고 있습니다.

이번에 대한 불교 천태종이 조성한 대광사 미륵 보전은 연면적 661, 높이 33의 규모로 외형상으로 보았을 때는 3층 건축물로 보이지만, 내부는 기둥을 없앤 뻥 뚫린 통층구조이며, 숭례문 복원공사 작업에도 참여하셨던 중요무형문화재 제74호인 신응수 대목장이 도편수를 맡아 14년 만에 불사를 마쳤습니다. 11t 트럭 200(2200t) 분량의 목재가 사용된 미륵 보전은 단일 목조건물로는 동양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09cd6b2a76b20b23f290a85e0799481c.png


건물 1층에는 미륵불이 출세하여 세 번의 법회로 많은 중생을 제도하게 되는 미래 세계의 큰 회상을 의미하는 용화 회상’, 2층에는 미륵 보전, 3층에는 도솔 천궁이라는 현판이 각각 걸렸습니다. 도솔 천궁은 도솔천에서 유래한 것으로 석가가 현세에 태어나기 이전에 이 도솔천에 머물며 수행했으며, 현재는 미륵보살이 여기에서 설법하며 성불할 시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하는 미륵보살의 정토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 안에 모셔진 미륵불은 미륵존 불 좌상으로 청동 88t, 정사각형 11짜리 금박 15만 장이 사용되었고, 사용된 금가루만도 1.6에 달하는, 360도 돌아가면서 볼 수 있는 '앉은키' 14.3m, 머리 높이 4.8m에 이르는 '거인'입니다. 부처님 무릎 위에 성인이 올라가도 잘 보이지 않을 정도이고, 부처님은 왼손에 놓인 보주가 없다면 부처님 손바닥 위에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크기입니다.

미륵보살.png


사진으로서는 도저히 그 크기를 가늠할 수 없는 규모이니, 수도권 내 불교의 세계화를 위한 사찰 명소로써 많은 친구들이 방문하여 웅장한 미륵보살을 보고 부처님 가피 받으시길 기원합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4기 정인교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정인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717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479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4565
뿌연 하늘과의 작별은 언제쯤? file 2017.04.25 김용준 12704
나와 가장 생각이 맞는 대통령 후보는 누구일까? '누드 대통령' 서비스를 통해 알아보자 2017.04.25 홍종현 19905
대왕카스테라의 시대는 갔다? 이젠 명량핫도그! 3 file 2017.04.25 정혜교 17073
뇌사=죽음? 1 file 2017.04.25 하영서 18347
도심 속 생태공원을 달리다, 제 14회 태화강 국제 마라톤 대회. 1 2017.04.25 이가현 13931
누가 누구를 조종하는가, '쓰릴미' file 2017.04.25 고다연 14845
제32회 새얼 백일장 성공리에 마무리 file 2017.04.25 이다은 13007
누구나 참여가능한 감동 캠페인, 나의눈이 당신에게 약속합니다 EYE PROMISE YOU 2 file 2017.04.25 김혜원 22130
중국, 상하이에서 절강으로... 2017.04.25 송경아 13111
인형뽑는 기계..? 돈 먹는 기계..? file 2017.04.25 변유빈 15483
빅데이터, 우리 삶과의 연관성 file 2017.04.25 고민경 13207
화재 경보, 그는 양치기 소년인가 1 file 2017.04.25 김대홍 15505
사전투표, 이렇게 한다! file 2017.04.25 이태연 12257
대전국립중앙과학관, 과학체험의 장을 열다. file 2017.04.24 김세영 16153
봄철 나들이 방해꾼 미세먼지 file 2017.04.24 조희경 13197
제주도의 꽃, 성산일출봉 1 file 2017.04.24 손재형 14436
청소년의 '피, 땀, 눈물'은 어디로 갔을까 [청소년 아르바이트] 2 file 2017.04.24 이채은 16095
'미네랄 불균형'에 대해 아시나요? file 2017.04.24 김예인 17699
한국사회와 유럽사회 2 file 2017.04.24 이시온 14975
환경도 지키고 우리 몸도 지키는, EM을 아시나요? 1 file 2017.04.24 안나영 14156
'2017 함평군 농·축협인 한마음 상생대회' 통해 팀원 간 친목 다지기 file 2017.04.24 정상아 14603
국제사회의 리더가 되자, Humanities Research Symposium for Youth! file 2017.04.24 강인주 14954
새로운 팬덤문화의 열풍 2 file 2017.04.24 윤선애 13198
소시지 속 기계발골육, 넌 누구니? 4 file 2017.04.24 김소희 21325
꿈의 나노물질, 그래핀 1 file 2017.04.24 주용권 12713
2017 롤챔스 코리아 스프링 시즌, 막을 내리다. file 2017.04.24 조윤지 15213
2017 제21회 한국 결정 성장 콘테스트에 대하여 file 2017.04.24 유승민 14082
삼성의 야심작 Galaxy S8 무엇이 문제일까 2017.04.24 임유리 13859
"저희 엄마 좀 살려주세요"···대학에서 일어난 만행 2 file 2017.04.24 서상겸 13902
세계 최대 규모 해킹대회 '코드게이트' 성황리에 마무리 3 file 2017.04.23 김지환 18747
약, 어떻게 해야 제대로 먹을까? 4 file 2017.04.23 정다소 16507
경기도 각 학교 대표들의 허심탄회한 만남 ? 학교민주자치역량함양과정 2 file 2017.04.23 최다영 12633
선동이란 무엇인가 4 file 2017.04.23 임재우 15907
울산광역시 중구 성남 청소년 문화의 집 '수학 창의 꿈터' 프로그램 개최 1 file 2017.04.23 최가연 15391
여자> 남자 일수밖에 없다고? 3 file 2017.04.23 김성미 14445
‘장애인의 날’이 무색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개선 시급해... 2 file 2017.04.23 박현규 16035
대전교육청, '제5회 대전학생토론마당' 개최 1 file 2017.04.23 최유라 13769
학교폭력,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2 file 2017.04.23 김애란 17903
인형뽑기, 대박보단 빈털터리 되기가 더 쉽다? 2 file 2017.04.23 임수연 14949
트랜스 젠더 화장실, 미래를 향한 발걸음? 아니면 퇴화된 인권? 3 file 2017.04.23 류혜원 16566
지구를 지키기 위한 날, 4월 22일 지구의 날 2 file 2017.04.23 최한수 12998
함평군 4.8 만세운동 재연통해 애국정신을 기르다 file 2017.04.22 정상아 14263
한양의 으뜸 궁궐, 경복궁 file 2017.04.22 임상희 18364
그 달콤함의 유혹 6 file 2017.04.22 장서윤 13338
이바지할 공, 피 혈, 개 견. 공혈견을 아시나요? 1 2017.04.22 장나은 17002
청소년 앱개발 경진대회에 참가하다 4 file 2017.04.22 김민주 16494
매주 주말, 경복궁에 특별한 해설사들이 뜬다! 청소년 문화단 file 2017.04.22 박세은 17347
닭이 벌레인줄 알고 쪼아 먹었던 그림은? 1 file 2017.04.21 홍선의 181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