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반려동물 1000만시대의 부작용, 유기동물의 아픔

by 4기류서윤기자 posted Apr 09, 2017 Views 1660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현재 우리나라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세대가 점점 많아져 반려동물 1000만 시대라고 불린다.

하지만, 이러한 애완동물들이 많아질 수록, 유기견 묘의 양도 광범위하게 커지고 있다.

실제로 농림축산식품부가 집계한 유기견 수에 따르면, 201362119마리, 201459180마리, 201559633마리로, 유기견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이 보인다.

이는 전국유기동물보호소에서 집계한 숫자여서 미등록된 유기견까지 합친다면 10만마리까지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러한 유기동물 증가 실태는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경험할 수 있다. 충청북도 청주시에 거주하는 김 모 씨(32)길에 지나가다 보면, 오랜 시간 떠돌아 다녀 삐쩍 마르고 병든 유기견 유기묘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무책임하게, 생명을 물건처럼 버리는 몰상식한 행동이 정말 가슴 아프다라고 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따르면, 심지어 운 좋게 유기견 유기묘가 구조된다 해도 유기동물 보호소의 공고기간 동안 유기동물의 주인이 나타나는 경우는 20%, 새로운 주인을 만나는 경우 30%를 제외한 나머지 50%는 안락사를 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청기 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류서윤기자]

그렇다면, 무고한 생명의 죽음을 막기 위해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이 있을까?

우선 우리나라의 유기동물 보호 및 발생 방지 측면에서 보면 법·제도적 대책이 매우 미흡하다. 정부는 동물 유기와 동물등록제에 관한 법을 강화시켜 유기동물 발생을 억제해야한다. 또한 동물보호센터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유기동물 수용능력을 확대시켜 안정적으로 유기동물을 보호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의 책임감과 동물을 사랑하는 마음, 그리고 반려동물을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가 가장 중요하다. 하루빨리 유기동물의 수가 줄어들었으면 좋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류서윤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장용민기자 2017.04.09 21:55
    이런거에 대한 관심이 점차 늘어나야하는데... 늘어나곤 있지만 너무 미약하네요..
  • ?
    4기정가영기자 2017.04.11 00:51
    저도 길냥이를 입양하여 기르는 집사의 입장으로서 길에 떠도는 아가들이 너무 안타깝게 느껴질 떄가 많습니다. 빠른 시일내에 대한민국도 외국처럼 동물 학대 관련 법적 조치가 강화되고 후속조치가 마련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4기이건학기자 2017.04.11 11:53
    나머지 50%가 안락사를 당해야만 한다니 정말 안타깝네요..
  • ?
    4기김승연기자 2017.04.11 16:55
    문제가 있다는 것은 알았지만 실상을 알고보니 더욱 참담하네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 같네요.
  • ?
    6기박우빈기자 2017.04.11 20:52
    자신이 키우고자 마음먹은 생명이라면 반드시 끝까지 책임을 져야 합니다. 부디 버리면 끝이라는 안일한 생각이 사회에서 사라졌으면 좋겠습니다.
  • ?
    4기허지민기자 2017.04.13 01:06
    버려지는 반려견 반려묘들을 보면 정말 마음이 아프고 이런일에 사람들이 조금더 관심을 기울였으면 하는 마음도 듭니다. 그리고 정부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빠른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법적 조치가 강화되어서 반려견,묘를 버리게 되면 처벌이 가능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러한 생각을 할 수 있게 좋은 기사 써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
  • ?
    6기김나림기자 2017.04.14 20:53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한 생명이 자신의 손에 달린 걸 인식하고 열심히 키우고 보살피면 좋겠습니다. 50%가 갈 길을 잃고 안락사를 당한다니 너무 안타깝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7920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7684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97524
밤이 되면 변하는 두 개의 얼굴, 상해 1 file 2017.03.24 김문주 13238
밤에도 역사는 눕지 않는다! 오색달빛 강릉야행개최 file 2017.08.11 고민정 13470
밤길에 수놓은 빛무리, 원주 고니골 빛 축제 file 2017.03.26 염가은 14917
밤 속의 한옥 여행, 전주 야행! file 2017.08.30 김수인 14882
밝은 미래를 향한 노력의 중심, 제4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2 file 2017.03.28 신온유 18884
발전할수록 어려운 문제를 내는 인공지능 file 2017.07.27 장예진 15435
발전하는 전기 재료 file 2021.01.25 정시언 11886
발암물질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나타난다! 3 2017.09.15 임소현 13570
발렌타인데이에 가려진 '그 날' 8 file 2016.02.25 한지수 17083
발레리노를 꿈꾸는 소년, 'Billy Elliot'라는 영화를 아시나요? file 2018.06.18 최아령 15276
발달장애인과 군산시 산돌학교, 그리고 그랑 1 file 2017.08.27 양원진 19333
반크 한국 문화유산 홍보대사, '직지' 전 세계에 알려요. 4 file 2018.03.23 윤지선 23246
반크 글로벌 역사외교대사 발대식에 가다 file 2017.10.25 김성연 12708
반짝이는 ‘금(金)펀드’ file 2017.08.17 김욱진 14463
반지를 끼는 위치에 따라 다른 숨겨진 의미 8 file 2020.04.17 박서현 22405
반지 사이즈를 알고 싶다고? ‘링게이지’ 1 file 2020.07.03 손서연 17550
반려식물 키우기로 '마음건강' 챙기기 7 file 2020.04.13 진효원 13805
반려동물 천만가구 시대.., ‘펫티켓’ 필요할 때 file 2017.05.16 박현규 18117
반려동물 1000만시대의 부작용, 유기동물의 아픔 7 file 2017.04.09 류서윤 16600
반도체 패러다임의 변화? file 2021.03.22 이준호 16627
반도체 인쇄 걸림돌 '마랑고니 효과' 역이용해 반도체 성능 높이는 데 성공 file 2021.07.01 한건호 13565
밖에 못 나가는 지금, 책으로 여행 떠나기 2 file 2020.04.22 송준휘 13184
박원순 서울시장,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기자들에게 축하 메시지 보낸다 file 2017.07.18 온라인뉴스팀 26955
박상진 의사, 그는 누구인가 1 2017.12.04 김명빈 16619
바이오 헬스케어 file 2017.07.24 신규리 14159
바이러스가 항상 인류 곁에 있었다고? file 2020.08.31 박선주 13286
바쁜 일상이 시작되기 전 서울의 야경에 취해보자! file 2018.03.03 임진상 14532
바른말 고운말, 아름다워지는 청소년 언어문화 2014.07.27 정인영 24731
바람처럼 지나가버린 가슴아픈 그날, 경술국치일 2 file 2017.09.06 김나림 14167
바둑의 신, 알파고 file 2017.07.20 윤정원 13797
바다에서 올라온 서핑보드 file 2021.09.15 류태영 10227
바다에도 돼지가 산다? 3 file 2017.08.13 남지우 13918
바다를 위한, 가치 있는 카약 타기 file 2021.09.28 최서연 10329
바다를 옥죄는 플라스틱 쓰레기 2017.08.30 황혜림 13742
바나나 더이상 못 먹게 될 수도 있다? 1 2018.12.04 안종현 15692
밀려오는 인공지능, 우리가 가져야할 자세는? 1 file 2017.03.22 윤지현 14977
믿을 수 없는 대역전극! 3 file 2018.02.22 김수린 13773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인권 기록 주제로 '알쓸신잡 - 기록하다 편' 특강 마련 file 2022.06.21 이지원 10206
민주화 운동의 역사를 되돌아보다 5 file 2017.06.21 김다빈 13270
민주주의의 꽃이 피워지기까지 file 2016.06.24 최원영 16032
민족의 혼이 담긴 서대문형무소역사관 1 file 2017.05.29 김미성 14647
민족 대명절 설 제대로 알고 보내자 13 file 2016.02.08 김상원 18696
민간 우주 관광 시대 개막…일반인은? 2021.07.23 민호윤 12002
민간 외교 사절단 반크 --- 거리로 나서다 1 file 2016.08.25 김은형 17370
미추홀도서관, 2022 多북多북 인천 페스티벌 10월 1일개최 file 2022.09.28 이지원 7447
미세먼지에 이은 오존주의보 1 file 2017.05.22 장예진 13220
미세먼지, 치매를 유발할 수도 있다. file 2018.04.03 이유진 14580
미세먼지, 그 해결책은? 4 file 2017.04.02 박민경 159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