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일본, 대만, 노르웨이까지… 과거 중국의 경제 보복

by 4기남희지기자 posted Mar 31, 2017 Views 139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해, 한국이 사드(THAAD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를 결정하면서, 중국과 한국의 사이는 급격하게 틀어졌다. 중국 정부는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과 더불어 한국 관광을 전면 금지시키는 등, 도가 지나친 보복 조치를 내리고 있다. 한때는 밀월 관계라 불렸던 중국과의 관계가 완전히 뒤바뀌면서 ‘한국이 어떠한 대응을 내리느냐’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중국의 횡포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일본, 대만, 노르웨이 등 중국의 심기를 상하게 한 나라들이라면 경제 보복으로 압박을 하곤 했다. 과거 중국의 경제 보복 사례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또한 다른 나라들은 이 위기 상황을 어떻게 대처해나갔을까?


2010년, 일본이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 들어온 중국 어선이 순시선을 들어 받았다는 이유로 어선의 선장을 체포했다. 중국은 이에 대해 여러 차례 항의했으나 일본이 뜻대로 응하지 않자 희토류 수출금지라는 경제적 조치로 압박을 가했다. 희토류는 현대사회의 IT 산업과 전자제품 등에서 필수적인 물질로 전 세계에서 중국이 90% 이상의 희토류를 생산하고 있다. 게다가 중국이 일본 여행 상품 판매를 금지하는 등의 보복 조치를 가하자 일본은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센카쿠 열도 영유권 분쟁은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기 때문에 이 사건을 계기로 중국 내 반일 감정은 한층 고조되었다. 중국의 압박에 항복한 일본은 결국 구금했던 선장을 풀어줬다. 하지만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일본의 중국 의존도 낮추기 정책에 있다. 일본은 90% 이상이었던 희토류의 중국 의존도를 희토류 광산 개발과 대체 기술 연구 등으로 절반 정도로 낮춰 중국산 희토류의 가격을 크게 떨어뜨렸다. 또한 희토류 문제로 중국을 상대로 세계무역기구(WTO)에 소송을 제기해 승리를 하면서 중국도 큰 손해를 보게 되었다.



2017030302885_0.jpg

[이미지 제공= 오광진 특파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지난 달, 대만 총통 차이잉원(蔡英文)은 한국어를 포함하여 9개의 언어로 감사하다는 트윗을 남겼다. 2016년 대만의 방문객이 그 어느 때보다 많았다는 것이다. 지난해 대만을 찾은 관광객은 전년 대비 2.4%가 늘었다. 여기서 놀라운 점은 대만의 중국 관광객이 16.1%나 감소하고도 관광객 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중국은 대만의 독립을 지지하는 반중 성향의 차이잉원이 취임하자 대만 관광을 완전히 제한했다. 총통의 취임 이후를 놓고 봤을 때, 전년 대비 중국인 관광객 수는 33%로 줄었고 대만의 관광 산업은 중국 의존도가 높았기에 이는 분명 큰 위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대만이 중국의 제재를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은 비자면제 조치 덕분이다. 작년 8월부터 1년 기한으로 태국에 대해 비자면제 조치를 취하며 태국인 관광객 수가 57.3% 증가했다. 태국뿐만 아니라, 한국에 있던 대만 관광협회는 사무소를 늘려 한국 관광객 유치에 힘썼고, 일본을 대상으로 항공사와 호텔의 판촉도 확대되었다. 차이잉원 총통은 신남향 정책을 진행하며 경제 전반의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있다.


중국의 악행은 유럽 국가도 불문하지 않고 이어졌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노르웨이산 연어에 대한 중국의 수입 금지 조치이다. 2010년, 노르웨이 노벨 평화상 위원회에서 중국의 반체제 인사 류샤오보를 노벨상 수상자로 임명하자 중국은 비자면제,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연기, 그리고 연어 수입 금지령을 강행했다. 당시 노르웨이산 연어는 중국내 점유율이 92%에 달하였지만 2011년 이후 30%로 떨어졌다. 결국 노르웨이는 중국과의 외교관계 정상화에 나섰고 자유무역협정(FTA) 협상도 재개할 것을 표명했다. 하지만 중국의 보복이 노르웨이에게 대단한 치명타는 아니었다. 노르웨이는 대응방안으로 유럽연합 국가들과 한국 등 새로운 수출 시장을 개척했고 홍콩, 베트남 등을 통해 중국으로의 우회적인 수출을 시도했다. 게다가 본래 노르웨이 경제의 중국 의존도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노르웨이의 연어 수출액은 큰 변동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의존도는 상당히 크기 때문에 중국의 경제 보복은 큰 리스크로 다가온다. 지난해 한국 수출의 25%, 외국인 관광객의 47%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었던 것을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현명한 대응이 여느 때보다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의 사드 경제보복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앞선 나라들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중국 의존도 낮추기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지단 국제부=4기 남희지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정예진기자 2017.04.01 17:00
    중국의 보복을 보고 있자니 정말 기가 찹니다. ㅜㅜㅜㅜ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권지현기자 2017.04.01 23:33
    우리나라의 경제에 중국이 굉장히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다른 나라도 그렇다니 오늘처음 알게 되었네요..빨리 우리나라도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하게 되었습니다.ㅜㅜ 좋은 기사 갑사합니다!
  • ?
    4기이건학기자 2017.04.04 11:49
    중국, 미국 등 경제적으로 우리나라가 크게 의존하고 있는 나라가 보복한다면 우리나라는 큰 피해를 입게 될 것입니다. 의존도를 낮추고 다른 여러 나라들과 교류를 고루 한다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
    4기추연종기자 2017.04.05 07:38
    다른나라의 정치가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하여 이렇게 강제적으로 압박하는 중국의 행동이 정말 별로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역시 수출산업의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지만 중국의 보복을 그대로 당해주면 또다시 우리의 의견을 관철시킬 수 없을 것입니다. 지금은 조금 어렵고 힘들더라도 중국에 의존하지 않고도 더 나은 해결 방안을 찾아내어 중국의 압박없이도 자유롭게 우리나라의 의견을 낼 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587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286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6195
금리 인상의 양면성 2017.12.13 원종혁 11587
글로벌 여성 인권대사 2기, 그 화려한 막을 내리다 15 file 2016.02.10 이유수 19971
근로자의날, 일제식 표현이라고? 2 file 2016.03.25 김윤지 16808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0569
그야말로 혼용무도 삼권분립은 어디로? 6 file 2016.02.27 이민구 14980
그립고 그리운 세 번째 봄, 세월호 기억식 열려 file 2017.04.25 소지인 10713
그리는 상표, 로고는 왜 필요할까? file 2019.03.26 모유진 10366
그람 염색, 세균을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자 file 2019.06.12 양지윤 28670
그들은 왜 우리에게 선거권을 안줄까요?···만 18세 선거권 가능성 기대 21 file 2017.01.11 박민선 22378
그늘막 쉼터, 호응 얻고 있지만 아쉬움도 남아... 5 file 2017.08.08 박현규 12456
그날의 기억 잊혀도 되는 걸까? 5 file 2018.04.20 강동준 12159
그날을 기억하다 file 2020.05.21 최유림 7716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0692
그가 받아야 할 말을, 왜 그가 던지는가 2 file 2017.08.17 김민국 10862
그 시절 빼앗긴 행복, 아직도 그들의 상처는 깊어간다. file 2017.08.28 박민수 10057
권선택 대전 시장, 시장직 상실. 대전 지하철 2호선은 어디로? 2017.11.21 한훤 11481
권리와 자유를 지키는 홍콩의 목소리 1 file 2019.09.30 김하민 13654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517
국회의원 총선 D-56 ... 선거구 획정 아직도? 13 file 2016.02.17 이예린 23911
국회의원 체포 동의안. 방탄국회 만드나 2 file 2018.05.31 함현지 10756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2386
국제우주정거장의 민영화 file 2019.07.15 이민재 13819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춘 한국의 '스마트시티' file 2018.11.20 함혜원 10036
국제 금값 2천 달러 돌파…연일 고공행진 이어가는 금값 file 2020.08.06 이민기 15311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9292
국정교과서, 앞으로의 운명은? 2 file 2017.03.27 유희은 11341
국정교과서, 누구를 위한 역사 통합인가 7 2017.03.02 방예진 14912
국정교과서 최종본 공개... 반응은 여전히 '싸늘' file 2017.02.02 유근탁 15784
국정교과서 마지막 결과는? 3 file 2017.02.20 김윤정 15884
국정 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2 file 2017.02.04 정주연 17222
국정 교과서 논란, 무엇이 옳은가 file 2017.05.20 박하영 10215
국적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95% 중국인 적용 대상 file 2021.06.02 이승열 6573
국민청원이 병들어간다 2 2018.08.27 지선우 9548
국민청원 게시판, 국민의 외침에 선명한 메아리로 돌아오길... 1 file 2019.02.27 김동환 10651
국민이 선택한 19대 대통령 문재인 1 file 2017.05.17 김상원 11088
국민이 묻고 대통령이 직접 답한다! 대국민 보고대회 - 대한민국, 대한국민 file 2017.08.31 이수현 10749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8111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8668
국민의힘 대선 토론 취소, 이준석 리스크의 현실화? file 2021.08.23 송운학 9350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승자는? file 2021.06.07 김민석 8462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7087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 정치권에 새로운 바람 불까? 3 file 2018.01.26 정민승 11366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file 2017.03.25 김주영 12401
국민의당 탈당파 민평당, 정의당과 연대? file 2018.02.05 박우진 9986
국민의당 대선후보 안철수 “진실을 밝히고 미래를 열겠다” file 2017.04.09 황예슬 13467
국민의당 대권주자 호남경선 “6만명의 민심” 2 file 2017.03.26 황예슬 13883
국민의당 결국 대국민사과... 안철수까지 개입 2 2017.08.07 백다미 10321
국민의당 27일 전당대회 통해 새 지도부 선출 1 file 2017.09.04 황예슬 101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