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우리 외교는 지금: 시리즈] ① THAAD 논쟁부터 배치까지

by 4기홍수민기자 posted Mar 26, 2017 Views 144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 외교는 지금:시리즈

'우리 외교는 지금 시리즈'는 외교관이 꿈인 기자가 우리 외교와 세계정서의 흐름을 보다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들에게 쉽게 전달하기 위하여 기획한 시리즈이다. 논쟁이 되는 외교이슈에 대해서 꼼꼼하지만, 핵심을 짚으며 설명하고 기자의 개인적 의견까지 들어가는 기사+칼럼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① THAAD 논쟁부터 배치까지

 

THAAD(사드)란 무엇인가

THAAD는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의 준말이다사드는 말 그대로 높은 고도에서 적군의 미사일을 방어하는 무기체계이다. 1992년 미국의 록히드마틴이라는 군수업체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2008년 처음 미국이 실전에 배치했고 현재는 5개 포대가 운영되고 있다사드 포대 1개는 미사일을 8발씩 가지고 있는 발사 차량 6대로 구성되어 총 48발의 미사일을 가지고 있다이외에 통제소 차량과 밴드 레이더가 1개 포대에 포함된다.


▶THAAD(사드)의 작동과정

밴드 레이더가 적군 쪽우리나라로 치면 북한을 감시하다가 북한이 우리나라로 미사일을 쏘면 이를 감지하여 통제소에 알린다통제소는 북한이 쏜 미사일의 발사 각도와 속도를 계산하여 발사 차량에 발사 명령을 내리고 발사차량은 방어용 미사일을 쏘아 적의 미사일을 공중에서 폭파한다이 모든 과정이 1~5분 사이 내에서 이루어진다.

1. 발사된 미사일을 밴드 레이더가 포착

2. 포착된 미사일 확인 및 타격 지점 계산 후 사드 미사일에 정보 전달

3. 미사일 발사

4. 적의 미사일 요격


▶THAAD(사드)의 필요성과 효율성

사드가 필요한 이유는 바로 다층 방어하기 위해서이다사드 이전에 우리나라에는 사드와 비슷한 페트리어트 미사일을 통해 미사일 방어체계를 갖추고 있었는데 사드와 차이점은 저고도에서만 요격할 수 있다는 점이다페트리어트 미사일은 적군의 미사일이 고도 15km 이하까지 내려와야 요격할 수 있는데 미사일의 낙하 속도는 매우 빠르므로 적군의 미사일을 놓칠 경우 속수무책으로 미사일 공격을 받게 된다두 번째는 패트리어트 포대의 방어반경이 20km밖에 되지 않는다이는 서울과 평택 등 몇 개의 주요 거점만 방어할 수 있을 뿐 전국을 모두 보호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포대를 설치해야 한다.

한편 사드는 요격 고도가 40~150km이다이 말은 적군의 미사일이 지점 안으로 진입하면 그때부터 요격할 수 있다는 것이다이는 중간권과 열권에서 적군의 미사일을 파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그러므로 더 지상에서 먼 곳에서 더 빨리 파괴할 수 있고 그만큼 우리는 방어와 반격을 할 충분한 시간을 벌 수 있다위에서 말했다시피 사드를 배치 완료하게 되면 저고도에서는 패트리어트 포대가 고고도에서는 사드 포대가 적군의 미사일을 막게 되어 다층방어를 할 수 있게 된다.


▶THAAD(사드반대이유

1)사드 성능에 대한 불신

사드의 제조사는 사드 요격률이 100%라고 주장을 하지만 실제 전문가들은 70~90%로 추정하고 있다사드가 모든 미사일을 100% 막아낼 수 없다는 것이다또한, 사드 1개 포대가 막을 수 있는 미사일이 48개인데 만약 적군의 미사일이 이보다 많거나 혹은 적군이 처음 48개의 미사일을 구형미사일로 쏘고 나중에 고성능을 가진 미사일을 쏘게 되었을 때 우리는 구형을 방어하느라 후에 고성능 방어를 할 수가 없다그리고 북한의 잠수함 발사탄도 미사일이 바다에서 갑자기 미사일을 쏘게 되면 사드는 후방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작동하지 않는다이러한 사드의 결점들이 사람들이 사드가 정말 배치할만한 가치가 있는가에 대해서 고민하게 한다


2)안전 문제

밴드 레이더가 넓은 범위를 탐지하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양과 강도의 전파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사드 설치 100m까지 들어갈 수 없도록 통제구역이 설치된다전파가 쏘이는 방향에는 일정 범위까지 모든 비행기가 지나갈 수 없고 고층빌딩을 세울 수도 없다우리나라는 사드를 높은 산에 설치하려고 이는 전파가 5도 위쪽으로 지나가 산 아래 주민들에게 전파가 노출될 가능성이 작기 때문이다하지만 사드가 배치되는 지역의 주민들은 불안에 떨며 반대하고 있다.

2016070802284_1_99_20160708173605.jpg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366&aid=0000334092]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

이 부분은 미국과 중국 간의 대립을 이해해야 한다두 국가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강한 두 나라(G2)로 세계의 주도권을 가지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으며 둘 다 핵무기를 가지고 있다그렇기에 미국과 중국을 서로를 견제하고 대립하고 있다한국과 미국은 사드가 북한의 핵미사일을 방어하기 위해 배치한다고 말하지만 중국은 미국이 우리나라에 사드를 배치하여 한반도 전체를 미국의 미사일 방어시스템으로 편입하려고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즉 사드가 북한의 미사일이 아닌 중국이 미국으로 쏘는 미사일을 방어하려는 것으로 생각한다또한, 사드가 북한뿐 아니라 중국의 일부 영토까지 감지할 수 있어 중국의 정보가 미국 귀에 들어갈 것을 우려하고 있다이런 이유로 중국은 한류 연예인들을 받아주지 않고 롯데 불매운동한국관광금지 등 강도 높은 압박을 계속하고 있다현재 우리나라 기업과 각종 산업은 이 때문에 막강한 손해를 보고 있고 이런 상황이 언제까지 계속될지 몰라 걱정하고 있다.

2017-03-25 10;47;58.PNG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 출처: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6663672&memberNo=6755012]


우리는 지금 어떻게 해야 할까?

중국의 강도 높은 압박에 굴복할 경우 중국은 앞으로도 이러한 상황에서 매번 우리나라를 압박하며 중국의 지시를 따르길 요구할 것이다그러므로 우리는 우리나라 안에서의 대 국민적 합의를 보고 우리의 외교권을 지켜야 할 것이다사드가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끝까지 배치하여 우리나라의 국방을 강화하고 주민들과의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또한, 미국과의 관계에서도 우리나라의 의견을 계속해서 이야기하고 요구하며 미국의 일방적인 추진에 비판적이고 논리적인 감시를 해야 한다대선 전에 사드 배치를 목표로 하는 지금우리나라는 중국미국사이에서 외교적 갈등과 우리나라 안의 내부적 갈등이라는 큰 두 가지 짐을 가지고 있다하나하나 합리적으로 해결하려고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 4기 홍수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538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237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5631
다문화 가정의 증가, 혼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2019.05.02 박경주 12918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file 2019.06.07 최예주 10397
다가올 민중총궐기, 혼란의 정치권 file 2017.02.24 진우성 13463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9020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382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 폭등 file 2020.05.27 백진이 9674
늙어가는 대한민국, 위기? 기회! 5 file 2016.04.02 김지현 16223
늘어난 14만여 명의 유권자들, 총선거에 어떤 영향 미칠까 file 2020.03.13 이리수 8465
늘어나는 평화의 소녀상에 관하여 5 file 2017.05.16 정수빈 11721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4001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 한국인 인식은 제자리걸음 2017.12.22 김민지 27499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7908
뉴질랜드 모스크 사원 테러, 어떻게 된 것인가? file 2019.03.29 배연비 12027
뉴욕타임스 전직기자 앤드류 새먼이 전하는 "한국이 매력적인 이유" 2019.05.31 공지현 10130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055
눈물 흘리며 대회장 떠난 초등생들...부산시교육청 드론대회 '수상자 내정' 의혹 file 2023.11.07 김가빈 6784
눈 감을 수 없는 아이들, 눈 감아서 안되는 우리들 2 file 2016.03.25 이봄 15078
누진세 완화 정책 발표, 전기료 부담 줄일 수 있을까? 2018.08.20 김원준 9910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유 경제' 1 file 2016.03.24 김태경 16579
누림센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콘텐츠 제작 및 보급 file 2022.12.30 이지원 5407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7814
누구의 외교부인가? 4 file 2017.02.25 구성모 14610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199
누구를 위한 법인가? 2 file 2018.05.24 심윤지 10431
누구를 위한 건강보험인가 1 file 2017.08.20 김주연 13900
누가 영웅을 쓰러뜨리려 하는가 3 file 2017.05.02 김수민 10346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file 2022.08.31 이지원 6492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헌법에, 1천만 명 서명운동 2017.11.21 강승필 11260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file 2020.10.05 김남주 8435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222
논란의 중심 배달의민족 file 2020.04.27 박채니 8604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8820
논란의 기안84... 이번에도 여성 혐오 논란 2 file 2020.08.19 김민결 9132
논란 속의 '페미니즘' 1 2018.04.18 이가영 12266
논란 속 국정화 교과서... 시범학교 신청마감 1 file 2017.02.21 김리아 16131
논란 많은 한국의 페미니즘, 왜? 5 file 2018.08.23 김성백 12915
노화? 제대로 알고 방지하자! 1 2019.01.08 이지은 12107
노트르담 대성장 화재, 그리고 한 달 file 2019.05.21 최예주 11052
노트르담 대성당의 붕괴 file 2019.05.14 양재성 10945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 재건 해야 하나? file 2019.05.10 유예원 12667
노점상, 생계를 위한 불법? 1 file 2016.03.24 김현승 17984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과연 경제적으로 합당한가? file 2017.11.20 김진모 12913
노인 자살, 도대체 왜? file 2019.05.23 진찬희 11880
노인 복지 정책, 어떻게 얼마나 변했는가? file 2018.07.26 장서진 11562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2818
노로 바이러스, 너의 정체가 궁금하다! file 2018.04.23 박기상 10002
노랑나비,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해 날다. 1 file 2016.03.24 강민지 20498
노란 물결이 일렁이는 4월 16일 file 2017.04.16 이지연 117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