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유럽 최초의 평화의 소녀상! 세계의 소녀상의 위치는?

by 4기강지오기자 posted Mar 25, 2017 Views 1404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유럽 최초의 평화의 소녀상! 세계의 소녀상의 위치는?



201738, 독일 네팔·히말라야 파빌리온 공원에 유럽 최초로 위안부 소녀상이 세워졌습니다. 20161020일에 독일에 소녀상이 세워질 계획이었으나 일본 측의 거센 반발로 무산되고 그 소원이 201738일에 이루어진 것입니다. 처음으로 유럽에 세워진 위안부 소녀상이라 그 의미가 큽니다. 평화의 소녀상 건립 추진 위원회가 주도를 하고 독일 현지인들과 함께 작업했다는 것, 또한 2014년부터 지속된 수원 시민들의 후원은 의미를 더해줍니다. 참석자들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고 그와 같은 역사를 되풀이하지 말자는 의미에서 세계 여성의 날의 109주년인 38일에 소녀상 제막식을 열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14세에 일본으로 끌려간 위안부 피해자인 90세의 안점순 할머니는 독일 평화의 소녀상 건립 제막식에 참석하여 하고 싶은 말은 많지만 할 말이 없다. 험한 세상이 없으면 좋겠다.”라고 말씀하였습니다. 이번에 유럽에서 최초로 설립된 소녀상은 해외에 있는 다섯 번째 소녀상이 되었습니다.

57a92f7190ce75444445d12810c82277.jpg

독일 평화의 소녀상 건립 제막식에 참석한 안점순 할머니

[이미지 제공=kbs 김태형 기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그렇다면 독일 이전의 해외 소녀상은 어디에 있을까요? 그 첫 번째 소녀상은 20127월에 미국 캘리포니아 글렌데일 도서관에 세워졌습니다. 두 번째 소녀상은 20148월 미국 미시간 사우스 필드 한인회관에 세워졌고 뒤이어 201511월에는 캐나다 토론토시의 한인회관에 소녀상이 세워졌습니다. 네 번째 해외 소녀상은 20168월 호주 시드니에 애시필드에 위치한 애시필드 연합교회에 세워졌습니다. 특히 소녀상 건립에 많은 도움을 준 애시필드 교회의 빌 크루스 목사님은 일본에게서 방해와 협박 메일을 받았다고 알려진 바 있습니다. 소녀상 외에도 비석 형태의 기림비는 세계 곳곳에 있습니다. 일본에는 평화의 소녀상은 없지만 오사카부와 지바현, 오키나와현 등 일본에는 4개의 기림비가 세워져 있고 미국 뉴저지와 뉴욕 등 미국 내에는 7개의 기림비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11a1e486e63b6a5768411b2888e113df.jpg

한눈에 알아보는 세계의 소녀상

[이미지 제공=kbs 김태형 기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그러나 이러한 평화의 소녀상도 순탄한 길을 걷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우리나라 내에서도 부산 일본 총 영사관 후문 앞에 설치되었던 평화의 소녀상이 20161228일에 소녀상이 도로점용허가 대상이 아니라며 철거당하는 사건이 있었고 201731, 삼일절에는 한 남성이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인 DC인사이드 역사 갤러리에서 위안부 소녀상의 입술에 혀를 대는 사진과 함께 위안부 소녀 입술을 빨아주고 왔습니다.’ 라는 제목과 결코 성적인 행위가 아닌 중국 발 미세먼지와 각종 세균으로부터 세척하는 용도로 빨아 준 것, 빨면서 느낀 점은 탐스러운 입술이 로테이션제로 돌아가면서 수백 명의 남성들 성욕의 도구로써 봉사했단 점이 같은 국민으로써 애석할 따름, 같은 국민의 아녀자 입술은 같은 국민 남성의 것이지 다른 외간남자에게 당하는 것은 치욕.‘ 이라는 내용의 게시글을 올렸습니다. 또한 201738일에 유럽에 최초로 설립된 독일의 소녀상도 제막식을 올리고 설치한지 며칠 되지 않아 일본의 철거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이제는 국내에 위치한 소녀상뿐만 아니라 해외의 소녀상도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강지오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201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969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2851
힘의 가치 2017.10.10 최지원 11539
희망을 주는 무료 급식소와 취약계층의 피해... file 2020.02.12 정다현 9399
흡연자와 비흡연자, 갈등은 담배 연기를 타고... file 2017.11.29 오태준 16294
흡연부스, 개선이 필요 합니다. 17 file 2016.02.25 최호진 29492
흡연, 줄일 순 없는 걸까? file 2020.08.03 이수미 8966
흔들리던 새벽, 우리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file 2020.01.06 정다은 11004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19641
휴가를 반기지 않는 반려견들 5 file 2016.08.11 임지민 16556
후성유전, 이것의 정체는? file 2018.10.22 여다은 12951
황교안의 선택... 그 방향은? 3 file 2017.02.18 최우혁 15769
황교안, 주목해야 할 보수진영의 대선주자 9 file 2017.02.22 김나현 19422
환영받지 못하는 종이 빨대, 이대로 괜찮을까? 4 file 2019.02.25 이하랑 18335
환경을 파괴하는 아보카도? file 2019.06.10 김예진 13969
환경영향조사 마친 나주SRF 결정은? file 2020.05.14 김현수 8889
환경실천연합회, 대기 환경 개선 위한 ‘대기를 살리는 청년들’ 서포터즈 모집 file 2022.06.13 이지원 6071
환경부의 층간소음 해결책..쓸모있나? file 2015.02.10 이광제 40750
환경 오염의 주범 일회용 컵, 정부가 규제한다 2 file 2018.09.11 이승은 14959
확진자 급등세에도 2달만에 봉쇄 완화하는 인도네시아 1 file 2020.06.30 오윤성 15660
화재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른다 1 file 2020.09.22 정주은 10849
화재경보기가 울렸을 떄 2 file 2016.05.25 유승균 19374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8946
화장하는 청소년들 4 file 2016.04.24 신수빈 30782
화이트 데이 상술...소비계획 세워야 6 file 2016.03.20 이은아 19322
화성에 원숭이를? 3 file 2016.03.22 백미정 24887
화성 동탄신도시 센터포인트 몰 건물화재 발생, 현재 화재 진압 중... (속보) 6 file 2017.02.04 최민규 21503
화려했던 팬택,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3 file 2017.08.28 정용환 15029
홍콩의 외침, 송환법을 반대한다! file 2019.08.30 박고은 10469
홍콩, 자유를 지키기 위해 거리로 나가다 file 2019.09.02 선혜인 11372
홍콩 시위, 소녀는 왜 싸늘한 시신으로 돌아왔나 file 2019.10.21 박채원 11850
홍콩 국민들을 하나로 모은 범죄인 인도법 file 2019.06.21 이서준 16275
홍콩 국가보안법 발의 이후 변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1.09.28 이원희 7505
홍준표 정부·여당과 합의한 의료계에 "합의된 안의 지켜지지 않을 때 투쟁을 해도 늦지 않다" 3 file 2020.09.09 최성민 9710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 "또다시 갈등의 대한민국으로 들어갑니다." 2 file 2018.09.27 마민찬 10966
홍준표 32% 윤석열 25% ‘무야홍’ 실현되나 야권 대선주자 선호도 1위 역전한 洪 file 2021.09.16 이도형 8203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8703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20410
혼란스러운 부동산 문제, 부동산 특위의 해결방안은? file 2021.05.25 백정훈 8572
형광등 대신 LED가 선호되는 이유는? file 2019.03.05 심선아 12910
현실로 다가온 미래 기술 file 2019.04.22 박현준 15999
현대판 코르셋,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9.02.22 문혜원 16923
현 러시아 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22.01.11 오유환 7040
혁신학교, 시스템을 체계화 해야... file 2017.03.19 김영민 11490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7509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2020
헌팅턴 무도병이란? 1 file 2020.08.11 이한나 11409
헌정사상 최초 현직 대통령 박근혜 탄핵! 1 file 2017.03.12 장인범 13217
헌정 사상 첫 대통령 파면, 이후 조기 대선은? 1 file 2017.03.10 최예현 13344
헌재소장 임명 부결... 문재인정부 사법개혁 '적신호' 1 file 2017.09.21 고범준 110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