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대학교 군기문화 해결방안은 없는 것인가?

by 4기박민서기자 posted Mar 23, 2017 Views 1539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철이 들고 자신의 어리석었던 행위를 반성하고 되풀이 하지 않으려 노력한다. 몇몇 사람들은 어른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성숙해지기에 대학교에서는 학교폭력이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3월은 한 학기가 시작하는 특별한 달이다. 학생들에게는 새 학년이 시작되고 계획을 세우거나 달라진 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시기이다. 학교에 적응하려면 친구관계도 좋아야 하지만 선생님이나 선·후배간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야 즐거운 학교생활이 가능하다. 학교는 서열사회다. 선생님부터 학생까지 철저하게 서열이 분리되어 있다.

서열의 차이가 있다 보니 종종 강자가 약자를 괴롭히는 현상이 벌어진다. ··고에서 주로 발생하는 학교 폭력은 심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지만 확실한 해결책은 없다. 강자가 약자를 괴롭히며 희열을 느끼는 비인간적 행위를 하는 사람이 사라지는 것만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


안타깝게도 현재 우리나라의 상당수 대학교는 그렇지 않다. 3월이 되면 신입생 환영회나 오리엔테이션 등 각종 프로그램이 개최된다. 신입생들에게는 학교에 대한 전반적 흐름이나 규칙에 대한 것을 알 수 있고 서먹했던 과 동기나 선배와 어색함을 깰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문제는 선배들이 신입생들에게 인신공격, 구타, 음주강요, 강제입수 등 자칫 잘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가혹행위를 벌인다는 것이다. 며칠 전 뉴스 기사에는 영남권 한 대학에서 신입생들에게 거수경례와 관등성명을 포함한 군대식 인사가 강요되고 있다는 어이없는 소식이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약과에 불과하다. 막걸리 들이 붓기, PT체조, 예의가 없다는 이유로 야구방망이로 구타를 당하는 등 피해자 입장에서는 씻을 수 없는 치욕을 주는 행위가 해마다 벌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사고가 나서 사망에 이르렀다는 기사가 매년 심심찮게 나오고 있는 것은 이전세대와 비교했을 때 대학교 군기 문화가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KakaoTalk_20170323_21133331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박민서 기자]


그렇다면 왜 유독 우리나라만 대학교에서 선후배간의 군기문화가 이어지는 것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은 학창시절 계속된 경쟁으로 인해 서열문화가 발생되었으며 서열문화의 해택을 보지 못한 사람들이 열등감을 느껴 자신보다 비교적 힘이 약하다고 생각하는 약자들에게 자신의 힘을 과시하며 만족감을 느끼기 위해 그런 행위를 한다는 것이 심리학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우리나라는 외국보다 서열을 매우 중요시 한다.

이러한 문화 때문에 힘 있는 사람들이 힘없는 사람들을 무시하는 갑질 현상이 외국에 비해 심하다. 대학에서도 마찬가지다. 갑이 을을 배려하지 않고 본인의 지위를 악용하는 모습이 10대부터 이어져 왔고 사람들은 그 문화에 대해 처음에는 거부감을 느끼고 심각하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점차 무뎌지면서 더 큰 사회에 나가서도 개선의 필요성을 못 느끼는 사람이 많은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가장 해결이 시급한 문제 중 하나인 갑질이 이러한 과정을 통해 깊게 뿌리박혀 현 상황까지 오게 된 것이다.


서로를 존중한다면 갈등을 완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은 이미 도덕책에서 수도 없이 많이 본 표현일 것이다. 하지만 이를 지키는 사람은 많지 않다.


어른은 미성년자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기 위해 솔선수범해서 노력해야 한다. 어른을 포함한 힘 있는 사람들이 사회의 악습을 개선하려는 모습을 보인다면 미래의 꿈나무들에게 더 좋은 사회를 만들어 줄 뿐더러 향상된 시민의식을 심어줄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성숙한 행동과 이어지므로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악습을 고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이 힘에 의해 억압 받지 않는 나라가 되길 기대해 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 = 4기 박민서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장수임기자 2017.03.24 00:39
    아... 기사 제목에서부터 내용까지 정말 깊은 공감을 하고 갑니다. 누군가에게는 정말 원해서, 그리고 노력해서 힘들게 들어간 대학, 부푼 기대로 들어간 캠퍼스 생활이 한순간 망가져 버리는 것이니까요... 하루 빨리 '대학 똥군기'라고도 불리는 이 악습이 사라졌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
    4기노유진기자 2017.03.24 15:46
    대학교는 공부를 하러 가는 곳이지 술 마시러 가는 곳이 아닌데, 너무 안타깝다는 생각이 드네요. 요즘은 그래도 예전에 비해서는 약화되었지만 아예 없어졌으면 좋겠네요.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노유진기자 2017.03.24 15:46
    대학교는 공부를 하러 가는 곳이지 술 마시러 가는 곳이 아닌데, 너무 안타깝다는 생각이 드네요. 요즘은 그래도 예전에 비해서는 약화되었지만 아예 없어졌으면 좋겠네요.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홍정민기자 2017.03.24 20:58
    꼭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문화 중 하나입니다...ㅎ 그러나 학교폭력같은 경우에는 가해자의 아이들이 사라질 것만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왜 그들이 그런 행위를 저지르는지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네요 :)
  • ?
    4기박민서기자 2017.03.25 22:36
    경험이 많지 않고 학교 폭력에 대해 지식이 적다 보니까 구체적으로 쓰지 못한 것 같습니다. 부족함 점을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글은 더 완성도 있게 써보겠습니다.
  • ?
    4기장서연기자 2017.03.25 19:23
    그러게요ㅎㅎ.. 수많은 학생들의 인권을 위해서, 그리고 그들의 노력을 위해서라도 꼭 사라져야 할 문화라는 생각을 하고 싶네요ㅎㅎㅎ. 좋은 기사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643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313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6262
시민 건강 위협하는 '미끌미끌' 위험한 빙판길 2 file 2017.02.20 이나경 15226
포항 지진 결국 원인은 '지열발전소' 2 file 2018.05.31 한유성 15229
버려져야 하는, 난민에 대한 고정관념 1 2019.01.02 권오현 15249
도로를 내 집 창고처럼 file 2016.06.19 한종현 15252
압구정 현대 아파트 경비원 해고 사건, 진행 상황은? 1 file 2018.01.12 노영석 15262
'금모으기 운동'은 어떤 운동이었을까? 1 file 2019.01.21 강민성 15263
과열되는 거주민들의 분노, 이러다 주민 없는 유령도시 된다… 관광산업의 그늘 file 2017.08.25 신유진 15272
<어벤져스: 엔드게임> 스크린 독점일까? 1 2019.04.29 김민정 15272
2살 아들 살해한 20대 父...늘어가는 아동학대 1 file 2017.02.24 조유림 15274
범도민 총 결의대회 "군산조선소 존치시키라" file 2017.02.15 양원진 15276
열풍의 포켓몬GO, 문제는 없는 것인가? file 2016.07.23 박민서 15294
경제학이多 - 마르크스 경제학 file 2018.11.05 김민우 15296
[시사경제용어 알아보기] ④ ‘폰지 사기’를 아시나요? 2 file 2017.10.16 오경서 15297
잊혀져가는 옥시, 그들의 제품을 다시 찾아보다 5 file 2016.09.11 김수빈 15304
갈피를 잡지 못하는 80조 원의 저출산 대책 4 file 2017.03.07 김규리 15306
5·18민주화운동 38주년, 현재는? file 2016.05.27 유진 15308
위안부.. 지원금액 전액 삭감 과연 옳은 결정인가.. 2 file 2016.06.26 안성미 15310
SKY 캐슬, 그리고 우리나라의 현실 2 file 2019.02.26 김성철 15313
자나깨나 누진세걱정 ... 집에 에어컨은 있는데,,, 2 file 2016.08.25 이예린 15314
사드 배치에 성난 성주, 김천 주민들… “사드가 안전하다면 청와대 앞마당에 놓으세요” 1 file 2016.08.25 유진 15314
'대선주자 국민면접'문재인, "저는 취업재수생입니다" 1 file 2017.02.18 유미래 15329
전통시장의 몰락,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2.24 황은성 15338
교육강국 한국의 후진국적 교육방식, 지금은 개혁이 필요할때! 1 file 2016.05.31 김지현 15350
더 이상 남일이 아닌 지진피해, 우리의 안전은? 2 file 2016.09.25 김혜빈 15363
골머리 앓는 대학생 주택문제, 관련 복지 늘려야 file 2017.02.24 최성경 15365
완전히 베일 벗은 국정교과서, 과연? 2 file 2017.02.13 권지현 15372
코로나19 재유행, 해외의 상황은? file 2020.05.18 유지은 15388
대학교 군기문화 해결방안은 없는 것인가? 6 file 2017.03.23 박민서 15390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410
트럼프, 한국에 압박을 가하기 시작하다. 1 2017.02.20 유현지 15412
가계부채와 금리의 상관관계 file 2017.10.30 배정은 15437
국민을 분노하게 한 일본의 독도 망언 file 2017.02.27 이지연 15438
사후 피임약, 의사의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어도 될까? file 2018.10.01 박효민 15442
국내 동물보호법, 과연 동물들을 보호할 수 있을까? 2 file 2016.05.25 황지원 15452
이념 전쟁... 이제는 교육 현장에서도 일어나 4 file 2017.02.17 화지원 15465
경제학이多 - 정보경제학 file 2018.11.01 김민우 15470
지구 온난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1.24 신지수 15475
사라져야 할 권력 남용 5 file 2017.03.31 전원정 15485
평화의 소녀상을 지키는 사람들 1 file 2017.02.28 이태연 15487
성폭력, 매분 매초 벌어지고 있는 심각한 국제 이슈 file 2019.03.07 배연비 15493
정부와 부산시는 당장 영화인들을 향한 횡포를 멈추십시오 2 file 2016.03.19 이강민 15512
패류독소의 확산, 어민·소비자 모두 “빨간불” file 2018.04.10 이예은 15513
조두순 출소 반대 국민청원, 61만명 돌파 1 file 2017.12.20 문세연 15537
아이에겐 엄격하고 애완견에겐 관대하다 1 file 2016.08.31 김관영 15548
아동학대의 현주소 2 file 2016.07.30 임지민 15551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554
영국의 코로나 거리두기 3단계 선포, 과연 우리나라와는 어떻게 다를까? 3 file 2020.11.05 염보라 15555
1268차 수요집회, 소녀상 곁을 지키는 사람들 3 file 2017.02.13 이윤영 155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