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중국발 미세먼지에 앓는 韓,日

by 4기김경미기자 posted Mar 23, 2017 Views 1036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봄과 함께 찾아온 중국발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세계 대기오염 실태를 감시하는 '에어비주얼'에 따르면 21일 기준으로 서울의 공기품질지수(AQI)179를 기록했다. 서울은 AQI 160인 중국 베이징을 제치고 대기오염수준 전 세계 주요 도시 중 2위를 차지했다. 서울의 대기를 오염시킨 미세먼지 중 많은 부분은 지난주에 중국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IMG_201.jpg

△ 미세먼지로 뿌옇게 변한 서울 광화문 하늘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경미 기자]


이달 3 ~ 15일에 중국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개막했다. 15일 양회 폐막 기자회견에서 리커창(李克强) 중국 국무원 총리는 "중요한 행사 때만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어 맑은 하늘이 사치품이 되고 있다"는 취재진의 지적에 "맑은 하늘은 사치품이 될 수 없고 돼서도 안 된다"며 스모그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답했다.

양회 기간 동안 중국 베이징 등의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았으나, 리 총리의 답변이 무색해질 정도로 행사가 끝나자마자 농도가 급증했다. 이는 중국의 국가 중대 행사인 양회 기간에 철저히 이뤄졌던 대기오염물질 배출 관리가 양회 종료 이후 다시 허술해진 탓으로 풀이된다.

이렇게 생긴 미세먼지는 지난 주말에 베이징 등 중국 주요 지역의 대기 질을 크게 떨어뜨렸으며, 이것이 다시 북서풍을 타고 한국에 날아왔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박기홍 광주과학기술원 교수는 "미세먼지 농도는 대기 순환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러므로 미세먼지 발원지인 중국에서 바람이 많이 불어 대기 확산이 원활하면 대기가 정체된 서울이 미세먼지 농도가 더 높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후 21일 중국의 정례 브리핑에서 최근 한국·일본 등이 중국발 스모그에 불만이 많은데 이에 대해 배상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화춘잉(華春瑩) 외교부 대변인은 "공기 오염 문제에 대해 중국 정부는 확실히 노력하고 있고 개선 및 해결 노력을 하고 있다."라 답했다.

화 대변인은 "중국 정부는 중국인들이 더 많은 푸른 하늘과 맑은 공기를 누리길 희망하며 이런 결심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라 덧붙였다. 그는 이어 "중국 공기 오염이 주변국에 미치는지에 대해선 더 많은 과학 및 전문 방면의 연구 결론이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라 말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김경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356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054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3772
중국인 관광객, 있다 없으니까 4 file 2017.03.24 이동욱 10865
중국의 일대일로, 그들의 야망이 드러나다 file 2019.06.03 김도윤 9019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10594
중국에선 벌써 열풍! 우리는? file 2019.06.05 최민경 12731
중국발 미세먼지에 앓는 韓,日 file 2017.03.23 김경미 10368
중국, 우리는 안된다더니 중국판 사드 배치 1 file 2017.08.22 이호섭 11639
중국, 시진핑 특사 빈손 귀국 후 북한에 어떤 조치할까? file 2017.11.28 박현규 11855
중국 전역을 덮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책은? 3 file 2020.02.03 고기찬 11324
중국 비상 코로나19에 이어 중국에서 브루셀라병 대규모 확진 file 2020.09.23 오경언 8242
중국 대출우대금리 0.05%인하…이유는? file 2021.12.22 윤초원 6241
줄지않는 아동학대...강력한 처벌 필요 file 2018.11.23 김예원 10911
줄어드는 대중교통 분담률, 해결방안은? file 2018.06.18 곽준환 11015
죽어서도 편히 쉴 권리, 반려동물에게도! 2 file 2016.09.30 박채원 14537
주황색 리본? 스텔라 데이지호 침몰 사건! 2 file 2017.10.25 김하늘 13340
주황리본을 아시나요? 5 file 2017.08.17 김영인 13048
주황리본, 제2의 세월호 file 2017.11.30 안옥주 14525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8064
주인 없는 길고양이들.. 밥은 언제 먹나요? 5 file 2016.03.24 김보현 20095
주요 대선후보들의 경제관련 공약을 알아보자 2 file 2017.04.25 천주연 11606
주식청약 방법과 문제점 file 2021.03.29 이강찬 9037
주소지 파악 불가한 정체불명의 ‘대한민국청소년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8.02.26 디지털이슈팀 13109
주민들의 불청객이 되버린 관광버스 4 file 2016.03.20 김관영 18010
좌파가 정말 몰락하고 있을까? - 대중영합주의에 대한 유럽의 반발 file 2017.03.21 신연수 11234
종교가 우선인가, 안전이 우선인가? 더 커진 '부르카' 착용 논란 file 2017.11.01 이윤희 21033
좁혀지지 않는 일본과의 갈등 file 2019.08.05 백지수 13077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7871
졸업식 현장 그곳을 취재하다. 2 file 2015.02.26 이도경 29645
조현병,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file 2019.07.01 박경주 12873
조작된 공포. 외국인 이주노동자 1 2020.11.16 노혁진 8302
조작되는 정치 여론, 국민은 무엇을 해야 하나 3 2018.05.24 황지은 11316
조력자살 그 한계는 어디인가? file 2018.07.31 신화정 13921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10950
조두순 출소 반대, 이루어질 수 없지만 간절한 국민들의 소원 2 file 2017.11.24 윤익현 13800
조두순 출소 반대 국민청원, 61만명 돌파 1 file 2017.12.20 문세연 15633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 file 2017.05.29 정경은 11360
조국 청문회가 남긴 숙제는? file 2019.09.20 정예람 34261
조국 전 장관의 서초동집회 근황 file 2020.01.17 윤태경 8373
조 바이든, 미 대선 승리 1 file 2020.11.13 최서진 7595
조 바이든, 공식적으로 정권 인수 착수 1 file 2020.11.30 차예원 10476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8132
젠트리피케이션, 주거지에서 상업지로... 도시 활성화 vs 주민들의 피해 2 file 2018.05.14 김민경 18554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file 2018.01.29 서호연 10526
제천 화재 사건의 근본적 원인은 우리다 2018.01.03 제규진 11515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 키운 불법 주·정차 앞으로 어떻게····? 1 file 2018.01.09 허기범 13784
제주도에서 산 초콜릿 뒤에 숨은 가격의 비밀은? file 2018.10.29 신효원 14379
제임스 코미의 해고 사건, 트럼프에게 위협적인 존재? file 2017.05.23 류혜원 10313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20.12.10 전민영 8901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file 2017.03.22 이승희 104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