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사드, 그리고 각국의 시각

by 4기김규리기자. posted Mar 22, 2017 Views 1215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하루가 멀다 하고 뉴스의 핫 토픽으로 떠오르는 사드(THAAD). 사드란 '고고도미사일방어' 또는 '종말고고도지역방어' 체계를 말합니다쉽게 말해 미사일을 높은 고도에서 파괴해 지역을 방어하는 시스템을 뜻합니다. 하지만 사드배치와 관련한 세계 각국의 입장들 때문에, 대한민국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애매한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도대체 무엇이 한국을 고민으로 빠지게 한 것일까요 


- 미국의 이야기

2014, 한반도 사드배치를 제안하며 이 모든 문제의 시발점이 된 미국은 북한의 핵미사일을 대비한 한국의 방어체계를 강화시킬 수 있을 것 이고, 한국과 일본사이 정보 공유가 더 쉬워 질 것이라고 하며 사드 배치를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전적으로 미국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았을 때, 미국 국방부에 오랫동안 자문을 했던 미사일 전문가 시어도르 포스톨 MIT 교수는 기술적인 면에서 볼 수 있듯이 대한민국의 사드배치가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 (BMD) 의 일부가 되어 미국에게 대단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주한미군의 방어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드가 중국의 미사일을 감시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세계시장에서 급부상중인 중국을 견제하고자하는 미국의 의도가 나타나는 부분입니다.


- 러시아의 이야기

러시아는 중국과 함께 사드배치를 강력히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사드가 격추 (맞추어 떨어뜨림) 할 수 있는 미사일의 종류 대부분이 러시아의 것이라고 하며, 동아시아의 관계와 러시아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 중국의 이야기

사드배치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중국은 사드배치의 핵심 목적을 미국의 미사일 방어시스템 편입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사드배치로 파악할 수 있는 지역이 북한을 넘어서 중국의 일부지역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핵미사일 연구 및 상황을 감시한다는 것입니다. 사드에 포함된 x밴드 레이더는 최대 1800km에 있는 물건까지 정밀하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미사일의 종류가 무엇인지, 어떤 미사일인지도 알 수 있을 만큼 정확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미국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 (BMD) 은 더 강화되는 반면에, 중국의 핵미사일은 무력화 될 수 있습니다. 중국은 미국과 세계 군사력, 경제력 1위를 다투고 있고, 사드배치가 시행된다면 미국과의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기 힘들어지기 때문에 사드배치에 심각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정치적으로는 한-미 동맹이 더욱더 결속됨을 염려하여 사드배치를 반대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중국은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하는 데에만 그치지 않고, 한국을 향해 실질적인 보복을 가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중국 내 한류 문화 확대를 막고 있습니다. 관계자에게 비자를 발급해주지 않아 한국 연예인의 중국 행사가 취소되는 것은 물론이고, 방영예정이었던 한중 합작 드라마들도 지연되고 있습니다. 또한, 관광업체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습니다. 중국인들에게 한국 여행 금지령이 내려지고, 중국의 여행사에게는 315일 부터는 한국 관광 상품을 더 이상 판매하지 말라는 지시가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뿐만 아닙니다. 중국에서는 반한 감정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한국 물건을 사지 않겠다는 불매운동이 펼쳐지고, 이른바 가짜뉴스라고 불리는, 한국과 관련된 거짓 루머가 퍼지고 있습니다. 특히 사드배치에 필요한 땅을 제공하기로 한 롯데그룹의 피해가 엄청나다고 합니다.


Screenshot_2017-03-22-22-57-42_1490193184842.png

[이미지 촬영 = 대한민국청소년기자 4기 김규리기자]


- 중국 전문과와의 인터뷰

중국에서 오랜 기간 유학생활을 하신 전문가 선생님께 사드배치와 관련해서 인터뷰를 해보았다.


Q: 선생님께서는 우리나라 정부가 사드배치와 관련하여 대응한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A: 학계 쪽의 의견으로 보면,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사드는 안보적인 문제로 풀어야 할 것이 아니었다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고 있습니다. 안보 프레임으로 접근 할 것이 아니라 외교의 프레임으로 접근했어야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하기까지의 시간을 벌 수 있는 문제였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위치나 현재의 외교문제들을 생각해보았을 때 더더욱 그런 생각이 되는 것이고요. 조선 왕조 광해군의 중립외교를 생각해보면 더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사드배치가 우리나라에게 좋은 영향을 가져다줄지, 막대한 피해를 불러올지는 예측하기 힘듭니다. 무엇이 맞는 결정일지도 확신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외교적 상황으로 보았을 때, 무엇인가 잘못 돌아가고 있는 것은 확실합니다. 국민의 안전과 안보가 달려있는 중대한 문제이니만큼, 더 이상 여러 가지 이유에 끌려 다니지 않고, 우리나라의 현명하고 자주적인 결정으로 대한민국의 자존심을 굽히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 = 4기 김규리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염가은기자 2017.03.23 07:31
    지금까지의 상황을 일목요연하게 잘 나타낸 것 같아요. 사드배치에 대해서 뭐라뭐라 한 적은 없지만 기사를 읽은 후엔 이제 우리도 진지하게 생각해 볼 필요성을 느끼네요. 좋은 기사 갑사합니다
  • ?
    4기이현지기자 2017.03.28 00:12
    사드배치에 대한 각국의 입장을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되네요
    한국의 대응이 외교적인 측면으로 접근을 해야하고 자존심을 굽히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중국어선생님의 의견에 적극동의합니다! 기사 잘 보고가요
  • ?
    4기이현지기자 2017.03.28 00:12
    사드배치에 대한 각국의 입장을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되네요
    한국의 대응이 외교적인 측면으로 접근을 해야하고 자존심을 굽히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중국어선생님의 의견에 적극동의합니다! 기사 잘 보고가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717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484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8090
일상 속의 과학기술, 한국의 코로나19 진단키트 속에? 2 file 2020.04.22 서수민 9432
일본의 수출 규제 시행 1년, 양국의 계속되는 대립 관계 3 file 2020.07.09 유지은 18724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영유권 주장 file 2019.08.16 백지수 14246
일본의 경제 보복, 그 진실에 대하여 file 2019.08.12 박고은 13000
일본의 거짓말은 어디까지인가 3 file 2019.02.27 노연주 10929
일본대사관 앞으로 날아든 노란 나비들 -제1294차 수요집회를 다녀와서 3 file 2017.08.07 홍정연 12194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나비가 되다 2 file 2017.07.27 유림 11584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는 글로벌여성인권대사 9 file 2016.03.26 손제윤 19399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한 목소리가 되어 외치는 청소년들. 2 file 2017.08.22 정재은 11596
일본군 '위안부' 피해, 오해와 진실 file 2019.11.25 정혜인 9774
일본군 '위안부' 문제-현세대가 풀어나가야 할 숙제 2 file 2019.01.21 황민주 11776
일본과의 전쟁 그에 맞선 대한민국 file 2019.09.25 박채리 9435
일본과 한국, 또 다른 갈등 2019.07.30 이지환 10802
일본과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차이 2020.06.01 이다진 7868
일본,먼나라 이웃나라 5 file 2016.03.25 김예지 15661
일본, 대만, 노르웨이까지… 과거 중국의 경제 보복 4 file 2017.03.31 남희지 13625
일본 정부, 역사 왜곡을 향한 발걸음 1 file 2016.03.24 박소윤 17588
일본 정부 파격적 제안... '무(無)자녀세' 계획 등장해 file 2017.11.22 이윤희 10506
일본 연쇄지진에 두려움 급증 4 file 2016.04.30 김시언 15805
일본 수출 규제와 한국의 불매운동 5 2019.07.19 양지훈 18104
일본 불매운동의 시작, 그리고 의문 file 2019.07.29 안광무 17327
일본 불매운동, 왜? file 2019.08.28 김민경 12863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에 반일 불매 운동? file 2021.04.16 지주희 8148
일본 「억지 독도의 날」 주장 범국민 규탄결의대회, 포항에서 열리다! 3 file 2016.03.12 권주홍 17626
일본 16일에 또 강진 일어나 2 file 2016.04.17 박도은 15675
일그러져 가는 성의식 file 2016.07.23 유지혜 18740
인터넷 실명제, 누구의 손을 들어야 하는가 file 2018.09.27 유지원 10709
인터넷 신문의 과도한 광고 22 file 2016.02.24 문채하 18364
인천의 구 명칭 변경, 과연 옳은 결정일까? 2 file 2018.01.03 박환희 14623
인천시민의 필수품 '인천e음카드' file 2019.09.09 하늘 11691
인천국제공항 드론 사건 1 file 2020.10.26 이혁재 9539
인천공항 노숙자들은 와이셔츠를 입고 다닌다? file 2019.07.31 김도현 18502
인천 초등생 살인 사건.. 13년으로 감형? 불만 표출 1 file 2018.05.09 이승원 14322
인천 물폭탄..심각해지는 자연재해 4 file 2017.08.16 조유림 12255
인천 동구의 경제,, 이대로 무너지는가 file 2019.05.30 이가영 8858
인류의 제2의 재앙 시작?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코로나 변종 발견되다 file 2021.01.19 김태환 8903
인류의 달 탐사 경쟁, 중국의 선취점 1 file 2019.02.07 백광렬 12538
인류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전 세계적 노력 file 2017.03.25 노태인 10420
인류를 돕는 인공지능, 코로나19에도 힘을 보탰다 file 2020.03.27 이소현 8289
인류가 소비하는 제품의 절반 이상에 포함되어있는 그것! file 2019.05.07 김어진 11313
인류가 맞이한 최대 위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해결책은 '회복 탄력성'... 그렇다면 한국은? file 2022.01.27 한승범 9009
인도의 "검은 곰팡이균" file 2021.06.14 이채영 7350
인도 발전의 주역, 바지파이 전 인도 총리 별세 file 2018.08.27 서은재 9204
인공지능의 발전, 사회에 '득'일까 '독'일까 8 file 2016.03.19 김나연 22500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그게 정확히 뭐죠? 2019.04.29 박수혁 12507
인공 조명을 통한 광합성 file 2018.07.10 이승민 17725
인공 신경망에 관한 거대한 프로젝트 file 2020.03.13 박지환 9466
이화여대 총장 선출, 학생들의 정당한 권리를 위해 2 file 2017.03.23 박하연 107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