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대중을 사로잡는 한마디,슬로건

by 4기강민기자 posted Mar 30, 2017 Views 145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슬로건(Slogan):대중의 행동을 조작()하는 선전에 쓰이는 짧은 문구를 말한다.

스코틀랜드에서 위급할 때 집합신호로 외치는 소리(sluagh-ghairm)에서 유래되었다.

슬로건은 주로 광고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혹은, 정당에서 정치적 목적으로 쓰인다.

성공한 슬로건의 예를 주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의류 브랜드 나이키의 슬로건은 매우 유명하다. "just do it" 굉장히 단순한 슬로건이지만 대중을 한 번에 사로잡았다. 이 슬로건을 발표한 1988년에는 스포츠 슈즈 시장 점유율이 18%에 불과했지만 1998년에는 43%로 증가했다. 이 슬로건은 사형수 게리 길모어의 마지막 말 "Let’s do it" 에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gwwgf.GIF

▲ 의류 브랜드 나이키

(이미지 제공= minacity1 네이버 블로그.'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을 허락 받음')


슬로건은 정치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대중의 뇌리에 박힐만한 슬로건을 만든다면,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2년, 18대 대선 민주통합당 경선에서 손학규 당시 전 민주당 대표는 "저녁이 있는 삶"이라는 슬로건을 발표하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손 전 대표는 경선에서 탈락하였지만 당시 슬로건은 아직도 회자된다.


캡처.GIF

▲ 18대 대선 포스터

(이미지 제공=jekimpro 네이버 블로그.'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을 허락 받음')


18대 대선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은 "준비된 여성 대통령 "이라는 슬로건으로 표심을 자극해 헌정 사상 첫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된다. 다만 지금에 이르러서는 "최순실이 준비한 여성 대통령 "이라는 조롱도 당하고 있다. 한편, 당시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는 "사람이 먼저다"라는 슬로건을 사용했다.
이는 "인권을 강조한 시적인 슬로건 "이라는 평가와 "애매 모호하다"라는 평가를 동시에 받았다.


슬로건 하면 미국을 빼놓을 수 없다. 1992년 민주당 빌 클린턴은 현직 대통령인 공화당 조지 H. W. 부시

를 꺾고 당선된다. 당시 클린턴 선거 캠프의 슬로건은 "문제는 경제야, 바보야" (It's the economy, stupid)였다. 경제를 강조한 이 슬로건으로 클린턴은 미국의 제42대 대통령이 된다.


2016년 11월 9일, 도널드 트럼프가 선거인단 과반수 확보로 미국의 제45대 대통령이 되었다. 트럼프는

"MAKE AMERICA GREAT AGAIN"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이라는 슬로건으로 패배가 점쳐졌던 선거에서 승리하였다. 트럼프는 벌써 재선을 준비하고 있다. "KEEP AMERICA GREAT"라는 슬로건을 상표 등록하였다고 한다. 과연 트럼프가 재선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선거에서 매력적인 공약도 중요하지만, 때로는 한마디 슬로건이 더 와 닿는다. 벚꽃 대선이 얼마 남지 않았다. 이번 20대 대선에서는 어떤 슬로건이 우리의 마음에 와 닿을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강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TAG •
  • ?
    5기정예진기자 2017.04.01 17:01
    나이키의 슬로건이 정말 짱인 것 같아요 이번 슬로건은 어떨지 기대가 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해요~
  • ?
    4기이건학기자 2017.04.04 11:51
    저번 대선에서의 '준비된 여성 대통령'은 준비도 되지 않은 채 끝이 나버렸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꼭 좋은 결과가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 ?
    6기박우빈기자 2017.04.06 23:42
    슬로건이 중요한 이유는 간단한 말로 기업의 엄청난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고선영기자 2017.04.13 23:41
    첫인상과 같은 슬로건!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122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888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2070
병든 위생, 여성의 안전이 위협받고있다. file 2017.08.29 김영은 10063
2017 김학순 다시 태어나 외치다 file 2017.08.29 정가원 9522
위안부 합의, 피해자들의 끝없는 고통 1 file 2017.08.29 신기재 10619
'살충제 계란' 과연 그 진실은? 2 file 2017.08.29 정다윤 10345
살충제 달걀, 과연 우리는 안심하고 먹어도 될까? file 2017.08.29 임수연 9193
위안부 수요 집회, 자유와 평화를 향해 외치다 2 2017.08.29 황유선 23323
이 게시물은 블라인드 처리된 게시물입니다. 2017.08.29 이유한 9947
영화 '택시운전사' 전한 우리의 숨겨진 역사; 5.18 민주화운동 5 file 2017.08.29 김연우 13602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 국민들의 반응은? file 2017.08.29 차형주 9511
영화 ‘택시운전사’그리고 현재의 ‘택시운전사’ file 2017.08.29 김민진 10703
화려했던 팬택,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3 file 2017.08.28 정용환 15017
위조 신분증 이제는 해결할 수 있다? file 2017.08.28 임소현 14177
그 시절 빼앗긴 행복, 아직도 그들의 상처는 깊어간다. file 2017.08.28 박민수 9913
‘생리대 발암물질’ 논란 속에서 방법은 ‘생리컵’ 인가? 4 file 2017.08.28 박지민 11880
국공립대학교 입학금 전면 폐지하다! 1 file 2017.08.27 김규리 12866
계속되는 계란의 수난, 이제는 찬밥 신세 file 2017.08.27 한채은 10079
몰래카메라 범죄 완전 근절 외치는 정부, 그러나 현실은 3 file 2017.08.26 박한비 15782
과열되는 거주민들의 분노, 이러다 주민 없는 유령도시 된다… 관광산업의 그늘 file 2017.08.25 신유진 15191
살충제 달걀 파동, 그 결과는? 1 file 2017.08.25 김민 11032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0727
광복절, 현충원에 가다 file 2017.08.25 이기혁 10123
행정안전부 주관, 2017 을지연습 실시 file 2017.08.25 김성연 10229
文 대통령 , "5·18 민주화 운동 시민 향한 폭격준비설·헬기사격" 관련 특별조사 지시 1 file 2017.08.24 현준이 10158
'학생을 위한' 수능 절대평가 과목 확대, 학생을 위한 것인가? 6 file 2017.08.24 도서영 12103
소통하는 정부로의 첫 걸음, 대국민 보고회 '대한민국, 대한국민' 2 file 2017.08.24 서정민 14237
'살충제 계란'의 '마지노선' 제주 마저 불안하다. 4 file 2017.08.24 이승주 12697
'어떤 생리대를 써야 할까요...?' 일회용 생리대에서 유해 성분이? 7 file 2017.08.24 이나경 11035
우리 모두 잊지 말아요... 8월 14일 그 날을... 4 file 2017.08.23 김채현 9688
스페인을 덮친 테러 6 file 2017.08.23 박형근 10699
안랩, ‘온라인 카페 내 음란 동영상 위장 피싱’에 주의 당부 file 2017.08.23 디지털이슈팀 10055
광복절은 영화만 보는 날? 4 file 2017.08.22 성유진 10694
공영방송, 이대로 괜찮은가? 6 2017.08.22 손다빈 11070
중국, 우리는 안된다더니 중국판 사드 배치 1 file 2017.08.22 이호섭 11460
반성없는 전두환 전 대통령.. 국민들 분노하다. file 2017.08.22 이호섭 11012
끝나지 않은 피해자들의 고통, 위안부 기림일 행사 2017.08.22 5기정채빈기자 10146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그만의 '자유로운' 기자회견 1 file 2017.08.22 김지현 9852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한 목소리가 되어 외치는 청소년들. 2 file 2017.08.22 정재은 11683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0590
바르셀로나서 무슬림 테러리스트 소행 연쇄 차량 테러 발생 2 file 2017.08.21 이성민 11608
고교 학점제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의 첫걸음이 될 수 있을까? 1 file 2017.08.21 김유진 10582
누구를 위한 건강보험인가 1 file 2017.08.20 김주연 13728
문재인 정부의 광복절 경축사는? file 2017.08.20 이주현 10228
청소년들은 정치에 관심이 있을까? 5 file 2017.08.20 박지은 23726
그가 받아야 할 말을, 왜 그가 던지는가 2 file 2017.08.17 김민국 10697
용가리 과자먹고...위에 구멍 생겨... 4 2017.08.17 고은경 10736
주황리본을 아시나요? 5 file 2017.08.17 김영인 12842
북한의 도발과 수그러들지 않는 긴장감 2 file 2017.08.17 김나림 9485
사형제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7.08.17 신지 219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