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by 송은지 posted Aug 01, 2014 Views 223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우리들 중에 청소년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담배에는 최루탄에 사용되는 포름알데히드, 발암물질인 니코틴, 아스팔트의 재료 타르 등의 유해물질이 다량 함유 되어있다. 많은 사람들이 자살행위라고 까지 불리는 흡연을 예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이 청소년 흡연 문제는 끊임없이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은 138월 국회의원관에서 열린 청소년금연정책토론회에서 “10년 전 70%대였던 성인 남성 흡연율을 시민단체·전문가의 도움으로 201147.3%까지 낮췄지만 남자 중학생 흡연율은 9.8%, 남자 고등학생 흡연율은 22.4%로 아직도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하며 청소년 흡연실태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우리 사회에서 청소년 흡연 문제는 해결해야 할 큰 과제로 남아 있다.

 

청소년 흡연의 원인은 호기심, 친구의 권유도 있겠지만 스트레스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실제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에서 20038월부터 2개월간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구, 경북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기흡연 경험률과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자 조사를 하였다. 흡연동기에 대한 응답결과 호기심20.2%로 가장 높았고, ‘친구의 권유9.0%, ‘스트레스 해소6.2%로 나왔다. 지속적으로 흡연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습관 때문에53.1%로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해소26.5%로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치열한 입시, 시험경쟁 속에서 청소년들에게 흡연이란 어쩌면 이러한 삭막한 일상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날 씁쓸한 일탈이었는지도 모른다. 청소년들의 조기흡연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 조기흡연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것에 맞는 예방대책을 세워야 한다.

 

청소년들이 담배를 얻기까지의 경로가 너무 쉽다는 것도 문제의 원인 중의 하나이다.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2013년 청소년 건강형태 온라인조사 결과 담배를 피는 청소년 중 절반은 담배를 편의점이나 가게에서 직접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담배 구매 시도자 중 76.5%는 구매 당시 별 노력없이 쉽게 살 수 있었다고 답했다. 청소년 흡연에 대한 국가의 정책과 단속이 부실하다는 증거이다. 정부는 담배구입처에 대해 담배를 구입할 때 미성년자 단속을 강화시켜야 하며 이를 어길 때 엄격한 처벌로 대응해야한다. 아직 해결되지 못한 청소년 흡연 문제가 하루 빨리 사라지기를 기대해 본다.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122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888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2066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109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2761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19979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217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815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9017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746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9611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2721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1600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186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434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8999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9577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287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082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792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857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206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050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2742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629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19959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476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207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501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361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353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526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0963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0577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432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190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1813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8980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9753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105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594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0960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306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142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0685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154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649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file 2014.09.06 박정언 27427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1708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551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2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