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갈피를 잡지 못하는 80조 원의 저출산 대책

by 4기사회부김규리기자 posted Mar 07, 2017 Views 154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그림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규리기자]


지난 2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합계 출산율은 1.17명으로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

정부는 2005년 저출산·고령화 사회 기본법을 제정한 이후로 지난 2015년까지 80조 원에 달하는 돈을 저출산 대책에 투입했다. 특히 청년 고용과 신혼부부 주택마련 등 사회 구조적 개선책이 더해진 지난해 3차 기본계획 이후 총 21조 원의 예산이 더 들어갔고 올해는 저출산 대책 예산이 더 커져 25조 원가량이 투입될 예정이다. 그러나 늘어나는 예산과 반대로 출생아 수는 줄어드는 상황. 80조 원이 넘는 저출산 대책의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자 저출산 대책이 핵심을 비껴가고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내놓은 구체적인 저출산 대책은 국가의 단체미팅 주선, 전세 대출, 남성의 육아휴직 등. 이에 네티즌들은 만날 사람이 없어서 결혼을 못 하는 줄 아느냐?”, “취업도 못 하는데 무슨 결혼을”, “대출 늘렸다가 나중에 금리 오르면 빚만 느는 건데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보건 사회 연구원의 한 연구위원은 결혼하지 않거나 늦게 결혼하는 풍조가 출산율을 낮춘다고 지적하며 기업과 공공기관의 협조를 얻어 휴학하거나 연수를 다녀오느라 늦게 졸업한 학생들에게 채용 시 불이익을 주자고 주장하여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2001년부터 합계 출산율이 1.3명으로 떨어지면서 대한민국은 이미 초저출산 국가이다. 저출산의 근본적인 원인 분석과 실질적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에서 정부와 국책연구소는 아직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결혼이나 출산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탓하거나 보조금을 지원하는 수준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마음 놓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급선무일 듯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김규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홍선의기자 2017.03.07 21:10
    '출산율'을 보니 패미니스트인 친구가 생각이 나네요.
    친구가 말하기를 사실 출산율이 아니라 '출생률'이 맞는 말이라고 하더군요.
    여성이 출산을 하는 비율 이라는 뜻의 출산율에서도 아이를 낳는 책임이 여성에게만 있다고 보는 사회의 시각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렇듯 여성의 인권도 존중 안되는 나라에서 출생률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 답답합니다. 게다가 아이를 낳아도 마음 놓고 아이를 키울 수 없는 사회 속에서 아이를 낳으라는 나라는 우선,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급선무라고 생각됩니다.
  • ?
    4기한한나기자 2017.03.09 21:13
    초등학교에 다니는 동생이 있는 언니인데 제가 다닐때보다 반이 확 줄었더라고요 이러다간 몇년안엔 폐교되진 않을까 걱정이 들더라고요 지방인데도 이렇게 확 와닿는데 서울은 어떨까싶네요 아이를 낳기 도좋고 아이를 키우기도 좋은 그런 방안과 대책이 시급한거같아요
  • ?
    4기정진하기자 2017.03.11 17:22
    혼란스러운 나라 안에서 취업도 잘 안되니 많은 분들이 출산을 꺼려하는건 어쩌면 당여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한시라도 빨리 국민들을 대표하여 나라를 보살펴줄 제대로 된 대통령을 뽑고 여러가지 방책을 내놓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늦게 졸업한 학생에게 불이익을 준다니요...한 인격체로써 아이를 낳는 기계도 아닌데 모든 사람들이 아이를 낳는 것이 아니고 자신의 아이에게 좋은것만 해주고 싶은데 현실이 조금 불안정 하니 나중에 안정된 다음에 아이를 낳으려고 하는 사람들도 있을텐데 너무하네요.
  • ?
    4기최문봉기자 2017.03.12 12:34
    고령화에 이어 저출산 현상이 발생하니, 이 여파가 어디까지 어떻게 닿을지 우려가 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422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115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4443
금리 인상의 양면성 2017.12.13 원종혁 11552
글로벌 여성 인권대사 2기, 그 화려한 막을 내리다 15 file 2016.02.10 이유수 19948
근로자의날, 일제식 표현이라고? 2 file 2016.03.25 김윤지 16795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0536
그야말로 혼용무도 삼권분립은 어디로? 6 file 2016.02.27 이민구 14950
그립고 그리운 세 번째 봄, 세월호 기억식 열려 file 2017.04.25 소지인 10685
그리는 상표, 로고는 왜 필요할까? file 2019.03.26 모유진 10331
그람 염색, 세균을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자 file 2019.06.12 양지윤 28614
그들은 왜 우리에게 선거권을 안줄까요?···만 18세 선거권 가능성 기대 21 file 2017.01.11 박민선 22346
그늘막 쉼터, 호응 얻고 있지만 아쉬움도 남아... 5 file 2017.08.08 박현규 12434
그날의 기억 잊혀도 되는 걸까? 5 file 2018.04.20 강동준 12137
그날을 기억하다 file 2020.05.21 최유림 7700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0669
그가 받아야 할 말을, 왜 그가 던지는가 2 file 2017.08.17 김민국 10837
그 시절 빼앗긴 행복, 아직도 그들의 상처는 깊어간다. file 2017.08.28 박민수 10039
권선택 대전 시장, 시장직 상실. 대전 지하철 2호선은 어디로? 2017.11.21 한훤 11466
권리와 자유를 지키는 홍콩의 목소리 1 file 2019.09.30 김하민 13618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499
국회의원 총선 D-56 ... 선거구 획정 아직도? 13 file 2016.02.17 이예린 23887
국회의원 체포 동의안. 방탄국회 만드나 2 file 2018.05.31 함현지 10733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2359
국제우주정거장의 민영화 file 2019.07.15 이민재 13788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춘 한국의 '스마트시티' file 2018.11.20 함혜원 10004
국제 금값 2천 달러 돌파…연일 고공행진 이어가는 금값 file 2020.08.06 이민기 15278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9260
국정교과서, 앞으로의 운명은? 2 file 2017.03.27 유희은 11324
국정교과서, 누구를 위한 역사 통합인가 7 2017.03.02 방예진 14893
국정교과서 최종본 공개... 반응은 여전히 '싸늘' file 2017.02.02 유근탁 15765
국정교과서 마지막 결과는? 3 file 2017.02.20 김윤정 15859
국정 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2 file 2017.02.04 정주연 17201
국정 교과서 논란, 무엇이 옳은가 file 2017.05.20 박하영 10178
국적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95% 중국인 적용 대상 file 2021.06.02 이승열 6549
국민청원이 병들어간다 2 2018.08.27 지선우 9523
국민청원 게시판, 국민의 외침에 선명한 메아리로 돌아오길... 1 file 2019.02.27 김동환 10628
국민이 선택한 19대 대통령 문재인 1 file 2017.05.17 김상원 11070
국민이 묻고 대통령이 직접 답한다! 대국민 보고대회 - 대한민국, 대한국민 file 2017.08.31 이수현 10730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8084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8641
국민의힘 대선 토론 취소, 이준석 리스크의 현실화? file 2021.08.23 송운학 9326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승자는? file 2021.06.07 김민석 8439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7062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 정치권에 새로운 바람 불까? 3 file 2018.01.26 정민승 11338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file 2017.03.25 김주영 12384
국민의당 탈당파 민평당, 정의당과 연대? file 2018.02.05 박우진 9970
국민의당 대선후보 안철수 “진실을 밝히고 미래를 열겠다” file 2017.04.09 황예슬 13436
국민의당 대권주자 호남경선 “6만명의 민심” 2 file 2017.03.26 황예슬 13864
국민의당 결국 대국민사과... 안철수까지 개입 2 2017.08.07 백다미 10301
국민의당 27일 전당대회 통해 새 지도부 선출 1 file 2017.09.04 황예슬 101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