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동해(East sea)를 세계지도로, '우리가 대한민국!'-반크 청년 공공외교대사 4기 발대식

by 4기신승주기자 posted Mar 05, 2017 Views 148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2월 21일 11시부터 국립한글박물관 강당에서 반크(VANK) 청년 공공외교대사 4기 발대식이 열렸다.이번 행사는 반크와 연합뉴스가 공동으로 주최한 것으로반크는 국내 최대규모의 사이버 외교사절단연합뉴스는 국내 유일의 국가기간 뉴스통신사이다청년 공공외교대사는 한국에 대해 잘 모르거나한국에 관한 왜곡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외국인에게 대한민국을 알려나가는 민간 외교관으로서의 활동을 한다.특히 이번에 선발된 청년 공공외교대사 4기는 동해를 알리는 활동을 집중적으로 할 예정이다.


c644439e9d55f5594500e79afec2ff39.jpg

-청년 공공외교대사 4기 발대식-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신승주기자]


이날 발대식에는 반크 박기태 단장과 라이베리아에서 온 반크 인턴 오마루님반크 김보경 연구원반크 이정애 연구원연합뉴스 왕길현 기자김복수 외교관님 등이 참석해 약 150명의 청년 공공외교대사에게 동해와 한국외교언론에 대한 특강을 해주었다예비 청년 공공외교대사로 선발된 학생들은 자신의 꿈 비행기를 날리고국립중앙박물관 나들길에서 2월 26일까지 열리는 2017 국가브랜드UP 전시회 개막식에 참석한 뒤 집으로 향했다.


청년 공공외교대사 4기 주요활동


동해(East sea)는 한국인에게 바다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하지만 세계인들의 시선에 우리나라 동쪽에 있는 바다는 Japanese sea, 즉 일본해이다실제로 현재 세계 지리 교과서나 지도에 동해가 표기된 사례는 30%도 채 되지 않는다이유는 책 한 권 때문이다국제수로기구 IHO에서 1929년 『해양과 바다의 경계』라는 책자를 발간해 세계 해양지명의 국제적 표준을 마련하였는데이 책자에서 일본의 주장에 따라 ‘동해’가 ‘일본해’ 로 표기되고이 책자는 '일본해’가 전 세계에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국제수로기구는 책의 4차 개정판을 추진해오고 있지만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그리고 올해 4모나코에서 제19회 국제수로기구 총회가 열린다.

이번에 선발된 청년공공외교대사 4기는 이 총회를 계기로 2월 21일부터 먼저 한국의 역사와 문화동해에 대해 소개하는 영상을 시청하여 보고서를 작성한다그 뒤 각종 포털 및 웹사이트해외 교과서나 서적,관광책자 등에서 한국 관련한 오류특히 동해 관련 오류를 조사하고 조사한 내용을 21세기 이순신 오류시정 사이트에 제보한 뒤직접 해당 기관에 오류 내용 시정을 위한 서한을 보내게 된다마지막으로 동해와 한국의 역사문화를 소개하는 한국홍보자료를 기획/제작하고 이 자료를 활용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한국홍보활동을 전개하며 3월 19일에 청년 공공외교대사로서의 공식적 활동을 마칠 예정이다.


동해 표기의 현 주소


 그렇다면 왜 현재 세계인들은 왜 일본해라고 쓰여진 교과서로 공부하고 있을까때는 1921국제수로기구가 수립될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1910년 일본에게 주권을 빼앗긴 우리는 국제수로기구가 수립된1921년 당시 세계에 우리의 목소리를 낼 수 없었다이어진 1929년 해양과 바다의 경계 제 1판과 2판이 발행될 당시에도 우리는 여전히 일본의 지배하에 있었다. 1953년 책의 제 3판 발행 시에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중이었고한국은 1957년에 국제수로기구에 가입했다이후 1970년부터

[해양과 바다의 경계제 4판 발행이 추진되어오고 있고, 1992년에는 우리나라가 유엔 지명 표준화회의에서 동해 표기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하는 등 동해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하지만 일본 쪽의 로비로 순탄치만은 않은 상황이다.


동해 표기 관련 사건 정리.png

-동해 표기 관련 주요 사건 정리-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신승주기자]


 동해 표기의 정당성,?중요성


세계지도에 동해를 표기하는 일이 중요할까또는 왜 그 바다가 동해라고 불려야 하는데 라고 질문하는 외국인에게 우리는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

동해 표기의 정당성은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먼저 명칭의 역사성 부분이다동해는 2000년 이상 우리나라 사람들과 세계인이 인정해온 바다의 이름이다삼국사기광개토대왕릉비증보문헌비고 등 우리나라의 수많은 서적에서부터 마르코 폴로의 여행지도에도 우리나라와 일본 사이 바다는? 동해라고 적혀있다심지어 일본의 지도에도 조선해” 등으로 적혀있고, ‘일본해라는 바다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볼 수 없다.

 다음으로국제적 원칙과 기준에 따라 일본해와 동해는 병기되어 있어야 한다두 개 이상의 국가가 공유하는 지형물의 명칭에 대해 관련국들이 합의하지 못할 시각국에서 사용하는 지명을 병기하는 것이 국제지도 제작에 있어 국제 사회의 원칙이다국제수로기구(IHO)와 유엔 지명 표준화회의(UNCSGN)결의도 이를 명시하고 있다우리나라의 공식입장은 동해만 단독 표기하자는 것이 아니라 일본해와 동등하게 존중되고표기되길 바라는 합리적 요청이다.


동해 표기 문제는 단순히 바다에 이름을 다시 붙이는 문제가 아니다일제강점기 주권을 빼앗겼을 때 같이 빼앗긴 우리의 바다를 되찾는 문제이며아직까지 남아있는 제국주의의 흔적을 지우는 행위이다정부에 의지해 결과를 기다리고지켜보고응원하는 것에서 머무르지 말고 직접 동해 표기 관련 오류를 찾아 시정 서한을 요청해 보는 것은 어떨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신승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598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349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3300
청소년이여! 자유를 찾아서! 1 file 2016.10.26 김민지 14689
'원더우먼'으로 보는 국제적 이해관계 2 file 2017.06.19 김다은 14688
5월은 청소년의 달...국내최대규모로 열린 '제12회 대한민국 청소년박람회' 1 2016.05.21 윤춘기 14688
다가오는 추석, 변화된 추석 1 file 2017.09.28 이한빈 14686
미래를 위한 도약,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8.05.30 장서진 14685
미래 기술의 맛보기! 스마트 디바이스 쇼 KITAS file 2017.09.01 김진현 14685
신선함으로 무장한, 영화 배드 지니어스 file 2017.11.27 김다은 14683
근대 이야기 속으로, 2017 군산 시간 여행 축제 file 2017.10.10 김나연 14683
통일세대 청소년 희망포럼에 참석하다 file 2017.09.20 이슬기 14683
기부와 소득공제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1 file 2017.02.17 노유미 14683
벚꽃이 필 때도, 배구하자 6 file 2017.02.06 방가경 14682
가을의 바닷바람이 부는 통영 2 file 2017.10.13 김동연 14681
손 끝에서 자연을 창조해내는 예술가, 훈데르트 바서 6 file 2017.01.31 최다인 14681
현대자동차, ‘차세대 수소전기차’ 세계 최초 공개 2 file 2017.08.18 디지털이슈팀 14680
2016 글로벌 리더십 외국어 경연대회를 다녀와서 ~~ file 2016.06.30 홍준영 14679
[ 청소년 + 정치 ] 1000만 도시 서울을 대표하는 청소년들 ?! file 2016.09.12 황지연 14677
블루투스 이어폰, 너의 생각은? 16 file 2017.08.18 김나연 14675
차별대우는 모든 것에 해당 file 2016.12.23 한종현 14670
꽃이 있던 자리에 피어난 빛, 오색 별빛 정원전 file 2018.04.04 민지예 14669
변화를 향한 목소리!, 제13회 "서울환경영화제" 폐막 file 2016.05.26 신재윤 14669
대중 매체로 기억하는 5월의 그 날, 5.18 민주화운동 file 2016.05.20 임하늘 14669
석유비축기지, 새롭게 태어나다 1 2018.06.11 여도영 14668
서울신천초 모의창업팀, 고사리손으로 판매한 수익금 기부 file 2017.12.25 김서윤 14668
치우는 만큼 즐거워지는 계곡 피서 file 2017.08.23 손지웅 14668
충청북도선거관리위원회와 함께하는 <신한은행 2017-2018 여자프로농구> 1 file 2018.02.09 허기범 14664
새콤하고 달콤한 딸기 향으로 가득 찬 2018 논산 딸기 축제 file 2018.04.17 고동호 14661
국지성 호우, 대체 무엇일까 file 2017.07.25 김가영 14661
살아있는 지질박물관, 비둘기낭 2017.08.08 강지현 14658
증강현실게임,포켓몬GO 1 file 2017.03.24 4기조은선기자 14655
[MBN Y 포럼] “내 사전에 불가능은 없다” “불가능에 대한 도전만큼 즐거운 일은 없다” 3 file 2017.02.14 전은지 14655
내가 이러려고 목숨바쳐 조국 독립 외쳤나 자괴감들고 괴로워 file 2016.11.15 장서윤 14654
영화 ‘겟아웃’으로 본 국제적 인종 차별 file 2017.06.06 이소미 14653
배운 것을 나누고 소통하는 화합과 학습의 공간, 온천마을 도서관에서 file 2018.03.30 이지형 14652
평창 패럴림픽, 이렇게 즐기는 건 어때? file 2018.03.02 이소현 14647
만화방과 카페의 화려한 변신 1 file 2018.03.12 유재현 14646
빙수의 습격 file 2016.07.25 김승겸 14646
아동·청소년 정책박람회 「Be 정상회담」 - "우리의 권리를 지켜주세요!" file 2017.11.15 오현주 14645
여름철 물놀이, 알고 즐기자 ! file 2017.07.24 이윤지 14644
자원의 보물 창고!해양 자원 file 2017.04.29 오정윤 14643
지금 당신이 보는 MBTI 결과는 틀렸다? 2 2020.08.24 이유진 14642
평범한 일본 시민이 5년 동안 전기세를 내지 않고 생활한 비결은? 2 file 2017.08.24 이윤희 14642
미래 유권자인 고등학생들이 말하는 정당공천제도! 1 file 2017.06.10 이윤영 14636
우리 몸을 지배하는 뇌를 건강하게! - 뇌건강체험박물관 견학- file 2017.08.31 윤정원 14635
영화 '미녀와 야수'와 함께 동심의 세계로! 1 file 2017.03.25 연지원 14635
진로, 진학이 고민이라면 청소년 진로 매거진 <MODU> 2 file 2017.03.14 홍예빈 14635
'SAVE THE CHILDREN' 3 file 2016.08.04 한지수 14633
세계여행을 계획한다면? 『세계여행 플랜북』 2 file 2020.04.27 고정연 14632
별들의 축제, 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 개막식 1 file 2018.11.09 김민정 146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