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포켓몬 GO, 흥행 유지에 성곡할 수 있을까?

by 4기최유석기자 posted Mar 04, 2017 Views 1387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해 7월 6일 증강현실(AR)을 기반으로 한 포켓몬 GO가 전 세계적으로 출시하게 되었다. 어릴 적부터 애니메이션과 영화 등으로 친밀하게 다가온 포켓몬은 증각현실(AR)과 융합이 됨으로써 많은 유저들의 호응을 얻게 되었다. 담당회사 통계에 의하면 당일 다운로드 1억을 돌파하였고 지금까지 약 6억 이상의 누적 다운로드와 지난해 추정 매출액 1조 이상 그리고 이용자 누적 이동거리 지구를 약 20만번 도는 87억km 등의 놀라운 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하지만 구글 지도 기반인 포켓몬 GO가 국내에서는 지도 반출 규제 문제에 따라 이용을 하지 못하였다. 한국을 타일의 형태로 가리다 보니 일부 동해안가인 속초부근에서는 가능하게 되었고 버스표 매진 등의 대란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렇게 국내 대다수의 사람들이 꿈꾸어보지도 못하던 포켓몬 GO가 올해 1월 24일 출시되었다. 뒤늦은 출시였지만 엄청난 호응과 함께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스토어에서 포켓몬 GO뿐만 아니라 포켓몬 GO와 관련된 다양한 앱까지 인기순위와 매출 순위에 오르며 굉장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영하권의 날씨 속에서도 길거리에서 포켓몬 GO를 하는 사람은 물론 포켓스탑(포켓몬 GO를 이용하기 위한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곳; 아래 사진 참조)이 몰려있는 공원 주위에는 꿈꾸어보지도 못한 많은 사람들이 돌아다니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포켓몬 GO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 간략하게 본 기자가 이용하는 화면을 캡쳐 해보았다. 먼저 포켓몬 GO를 틀었을 때의 화면이다 담당회사인 나이앤틱의 로고와 함께 경고 문구가 나타난다.
자신의 위치와 도로가 배경으로 나타나게 되고 포켓스탑, 체육관등이 나타나게 된다.
주변으로 포켓몬이 이동하면서 나타나게 되는데 포켓몬을 터치 시 AR화면으로 넘어가며 몬스터 볼을 던질 수 있게 된다. AR기능은 선택 가능하다.
본 기자는 파주에 거주하며 일산과 서울 등으로 돌아다니며 망나뇽, 잠만보 등을 잡아왔고 체육관 관장 등을 통하여 샵에서 구매할 수 있는 가상코인을 모아왔다.
도감도 채우다 보면 더 채우고 싶은 욕심과 남들보다는 더 강하게 키우고 싶은 마음이 앞서 중독성 있게 계속하게 되는 것 같다. (아래 사진 참조)

 포켓몬 GO가 출시됨으로써 다양한 효과와 더불어 일상생활 속에서의 변화를 느끼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평소 게임을 즐기지 않던 사람들은 물론이고 10대 20대가 아닌 중년층 유저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가족과 함께 포켓몬 GO를 하러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도 있고 운동을 한다고 포켓몬 GO를 다운받아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다. 위치마다 나타나는 포켓몬 또한 다르고 알을 부화시키기 위해서는 2km, 5km, 10km로 정해진 거리를 걸어야 하기 때문이다(아래 사진 참조).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나올 정도로 다양한 면에서 긍정적인 면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롯데리아는 롯데리아가 운영하는 7개 브랜드 매장을 나이앤틱과 제휴를 맺음으로써 해당 매장에 포켓스탑과 체육관을 지정하게 되었다(아래 사진 참조).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유석기자]

 ※포켓몬 GO의 긍정적인 면
- 걷기를 통한 운동 효과
- AR 게임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이용자들
- 포켓몬 GO를 이용한 다양한 상권의 등장
- 추억속 포켓몬 GO가 현실로

 그렇지만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난 7일 대전에서 20~30km로 서행을 하면서 포켓몬 GO를 즐기다 첫 사고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학원에서의 교권침해, 컨텐츠 부족으로 인한 GPS 조작 사례, 무분별한 유저들의 개념 없는 행동 등도 나타나면서 부정적인 면도 점차 수면 위로 나타나고 있다.

 ※포켓몬 GO의 부정적인 면
- 안전사고의 우려
- 주변 사람들에게 미치는 다양한 피해
- 한정적인 컨텐츠 GPS 조작 등의 불건전한 유저 등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한국은 포켓몬 GO열풍이라 할 정도로 휴대폰을 들고 있는 사람이라면 대다수 포켓몬 GO를 즐기고 있다 말할 수 있다. 이 열풍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이다. 미국 같은 경우는 전에 비하여 다운로드 수와 이용자수가 유지 혹은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과연 다양한 컨텐츠로 이용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을 수 있을지 앞으로 더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4기 국제부 기자 최유석]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추연종기자 2017.03.07 00:10
    예전에 비하면 포켓몬 고의 인기가 많이 떨어졌지만 아직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것 같습니다. 다양한 공략과 업데이트로 즐길거리가 계속 많아지는 만큼 다른 게임들처럼 인기가 한꺼번에 없어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좋은기사 잘 읽고갑니다.
  • ?
    4기최민주기자 2017.03.12 14:12
    처음에는 서로 누가 더 많이 잡나 경쟁도 했었는데 업데이트가 빨리 되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이 포켓몬go로 인해서 일어나는 사고들을 보면 정말 안타까워요ㅠㅠ 좋은 방향으로만 발전했으면 좋겠습니다. 기사 잘보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5726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5473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75094
핸드메이드코리아, 겨울에 다시 만나요! file 2017.07.26 박미소 13932
2020년 상반기 게임 소식 1 file 2020.05.15 정근혁 13931
마스크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 2 file 2020.04.03 백진이 13929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1. 2. 3 어울림 파크 골프 대회 성황리에 끝마쳐 2017.07.26 정인영 13929
신개념 공포영화 <겟 아웃>, 관객들에게 놀라움을 선사하다 2 file 2017.06.27 윤혜인 13929
빅 벤, 마지막 종을 울리다 2017.09.05 김정환 13926
'9.1절'에 맞붙은 숙명의 라이벌, 마지막에는 한국이 웃었다 file 2018.09.05 김하은 13924
부천시민 여러분, 나무 심으러 오세요! file 2016.03.21 백재원 13924
재미있는 경제 책을 읽고 싶으시지 않은가요? 1 file 2017.07.24 김나영 13923
포켓몬 GO, 안전하게 GO! file 2017.05.22 최윤경 13923
주거빈곤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위해서! file 2018.11.22 이은서 13922
'당신의 일주일이 더 나아질 수 있도록' EVE, 월경 콘서트 file 2018.11.26 장민주 13920
문화조건의 볼모지에서 피어난 기적, 충남 서천군 봄의 마을 종합교육센터 2017.10.25 전건호 13920
송도에서 함께하는 열린 콘서트,클럽 캐백수 오픈마이크! 1 file 2017.03.10 최찬영 13918
그날의 감정도 메모처럼-감정 기록 애플리케이션 MOODA 알아보기 1 file 2022.02.25 조수민 13915
미래가 밝은 U-20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 1 file 2017.04.18 이다정 13915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캠페인이 열리다. file 2017.08.31 박성준 13914
GS25, 여름 맞아 '모둠초덮밥' 도시락 출시 5 file 2017.08.14 디지털이슈팀 13913
세계속의 택시운전사 1 file 2017.08.30 김규리 13912
[현장취재 특집] 2016 여수국제청소년축제 그 뜨거웠던 날들.. file 2016.08.19 박성수 13912
'2017핸드메이드 코리아 SUMMER' 성료 1 file 2017.08.06 정상아 13905
2월 20일, 무명의 기념일에서 유명의 기념일로 4 file 2017.02.20 조수민 13905
부처님 오신날 우리들의 시민의식 1 file 2016.05.23 신동현 13905
기자단 초청받은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에 다녀오다! file 2017.09.01 한유진 13897
지역사회의 5개의 학교가 모여 따뜻한 나눔활동 3 file 2017.06.01 최희주 13897
'봄봄!! 책을 봄! 도서관을 봄!' 광주광역시립도서관, 도서관 문화마당 개최 1 file 2017.04.30 최영인 13897
8월 14일, 위안부 할머니들을 기억하다 4 file 2017.08.24 고다현 13896
'나도 혹시 유해한 반려동물 용품을 사용하고 있는건 아니겠지?' 1 2020.11.26 김태은 13895
애플의 아이폰7 '레드' 출시와 삼성, LG; 색상마케팅 2 2017.03.24 임승연 13895
2017 제주 평화나비콘서트 서포터즈 오리엔테이션 1 file 2017.02.17 김예진 13894
2월 14일 안중근 의사를 기억하자 9 file 2017.02.14 김민주 13893
시청, 새로운 땅으로... file 2016.06.20 3기박준수기자 13893
일본의 한 시골 마을 5 file 2017.03.22 최유정 13892
뉴스 제작 과정에서부터 뉴스는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고? 2020.08.26 송민서 13891
4차 산업혁명의 현주소 2 file 2017.03.21 양가을 13891
유니클로 봉사단, 연탄배달로 사랑의 온정을 나누다 file 2017.02.24 김다연 13890
대구 도심 속, 무더위를 날려버리는 이월드만의 이벤트 file 2018.09.05 노나영 13887
야구로 하나 된 광주 file 2017.07.24 최유정 13887
배달 앱으로 시킨 음식, 과연 믿을 수 있을까? file 2020.11.27 이수미 13885
2018년, 오월의 광주를 찾다 file 2018.06.26 고서원 13884
삼성 갤럭시 S8 베일 벗다 2 file 2017.03.24 유근탁 13882
미래를 만나다, 울산과학제전! file 2017.05.27 권지민 13879
개도 안 걸린다는 여름 감기, 건강관리는? 1 file 2017.08.27 이서윤 13878
우리의 삶, 철학, 미의식을 담은 그림 민화 file 2017.07.31 석채아 13878
추석에는 왜 송편을 먹을까? 4 file 2020.10.05 김성희 13875
3월의 끝, 유관순과 함께 3 file 2020.03.30 박병성 13875
포켓몬 GO, 흥행 유지에 성곡할 수 있을까? 2 file 2017.03.04 최유석 13875
당신의 아이돌에게 투표하라, 프로듀스 101 시즌2 file 2017.05.24 최다인 138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