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포켓몬 GO, 흥행 유지에 성곡할 수 있을까?

by 4기최유석기자 posted Mar 04, 2017 Views 1394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해 7월 6일 증강현실(AR)을 기반으로 한 포켓몬 GO가 전 세계적으로 출시하게 되었다. 어릴 적부터 애니메이션과 영화 등으로 친밀하게 다가온 포켓몬은 증각현실(AR)과 융합이 됨으로써 많은 유저들의 호응을 얻게 되었다. 담당회사 통계에 의하면 당일 다운로드 1억을 돌파하였고 지금까지 약 6억 이상의 누적 다운로드와 지난해 추정 매출액 1조 이상 그리고 이용자 누적 이동거리 지구를 약 20만번 도는 87억km 등의 놀라운 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하지만 구글 지도 기반인 포켓몬 GO가 국내에서는 지도 반출 규제 문제에 따라 이용을 하지 못하였다. 한국을 타일의 형태로 가리다 보니 일부 동해안가인 속초부근에서는 가능하게 되었고 버스표 매진 등의 대란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렇게 국내 대다수의 사람들이 꿈꾸어보지도 못하던 포켓몬 GO가 올해 1월 24일 출시되었다. 뒤늦은 출시였지만 엄청난 호응과 함께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스토어에서 포켓몬 GO뿐만 아니라 포켓몬 GO와 관련된 다양한 앱까지 인기순위와 매출 순위에 오르며 굉장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영하권의 날씨 속에서도 길거리에서 포켓몬 GO를 하는 사람은 물론 포켓스탑(포켓몬 GO를 이용하기 위한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곳; 아래 사진 참조)이 몰려있는 공원 주위에는 꿈꾸어보지도 못한 많은 사람들이 돌아다니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포켓몬 GO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 간략하게 본 기자가 이용하는 화면을 캡쳐 해보았다. 먼저 포켓몬 GO를 틀었을 때의 화면이다 담당회사인 나이앤틱의 로고와 함께 경고 문구가 나타난다.
자신의 위치와 도로가 배경으로 나타나게 되고 포켓스탑, 체육관등이 나타나게 된다.
주변으로 포켓몬이 이동하면서 나타나게 되는데 포켓몬을 터치 시 AR화면으로 넘어가며 몬스터 볼을 던질 수 있게 된다. AR기능은 선택 가능하다.
본 기자는 파주에 거주하며 일산과 서울 등으로 돌아다니며 망나뇽, 잠만보 등을 잡아왔고 체육관 관장 등을 통하여 샵에서 구매할 수 있는 가상코인을 모아왔다.
도감도 채우다 보면 더 채우고 싶은 욕심과 남들보다는 더 강하게 키우고 싶은 마음이 앞서 중독성 있게 계속하게 되는 것 같다. (아래 사진 참조)

 포켓몬 GO가 출시됨으로써 다양한 효과와 더불어 일상생활 속에서의 변화를 느끼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평소 게임을 즐기지 않던 사람들은 물론이고 10대 20대가 아닌 중년층 유저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가족과 함께 포켓몬 GO를 하러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도 있고 운동을 한다고 포켓몬 GO를 다운받아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다. 위치마다 나타나는 포켓몬 또한 다르고 알을 부화시키기 위해서는 2km, 5km, 10km로 정해진 거리를 걸어야 하기 때문이다(아래 사진 참조).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나올 정도로 다양한 면에서 긍정적인 면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롯데리아는 롯데리아가 운영하는 7개 브랜드 매장을 나이앤틱과 제휴를 맺음으로써 해당 매장에 포켓스탑과 체육관을 지정하게 되었다(아래 사진 참조).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유석기자]

 ※포켓몬 GO의 긍정적인 면
- 걷기를 통한 운동 효과
- AR 게임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이용자들
- 포켓몬 GO를 이용한 다양한 상권의 등장
- 추억속 포켓몬 GO가 현실로

 그렇지만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난 7일 대전에서 20~30km로 서행을 하면서 포켓몬 GO를 즐기다 첫 사고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학원에서의 교권침해, 컨텐츠 부족으로 인한 GPS 조작 사례, 무분별한 유저들의 개념 없는 행동 등도 나타나면서 부정적인 면도 점차 수면 위로 나타나고 있다.

 ※포켓몬 GO의 부정적인 면
- 안전사고의 우려
- 주변 사람들에게 미치는 다양한 피해
- 한정적인 컨텐츠 GPS 조작 등의 불건전한 유저 등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한국은 포켓몬 GO열풍이라 할 정도로 휴대폰을 들고 있는 사람이라면 대다수 포켓몬 GO를 즐기고 있다 말할 수 있다. 이 열풍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이다. 미국 같은 경우는 전에 비하여 다운로드 수와 이용자수가 유지 혹은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과연 다양한 컨텐츠로 이용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을 수 있을지 앞으로 더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4기 국제부 기자 최유석]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추연종기자 2017.03.07 00:10
    예전에 비하면 포켓몬 고의 인기가 많이 떨어졌지만 아직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것 같습니다. 다양한 공략과 업데이트로 즐길거리가 계속 많아지는 만큼 다른 게임들처럼 인기가 한꺼번에 없어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좋은기사 잘 읽고갑니다.
  • ?
    4기최민주기자 2017.03.12 14:12
    처음에는 서로 누가 더 많이 잡나 경쟁도 했었는데 업데이트가 빨리 되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이 포켓몬go로 인해서 일어나는 사고들을 보면 정말 안타까워요ㅠㅠ 좋은 방향으로만 발전했으면 좋겠습니다. 기사 잘보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805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566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5412
1월의 '충남도서관' 탐방 file 2021.01.26 노윤서 14300
1위를 추격하는 두산베어스 2 file 2017.05.25 최진혜 13253
1인 가구의 증가로 생겨난 새로운 경제의 패러다임, 솔로 이코노미 file 2017.03.12 양현서 14718
1인 미디어 수익 기부, 이런 BJ도 있어요! 4 file 2017.03.05 정서희 20899
1일의 어울林이, 30년의 푸르林을... 2 file 2017.04.03 김유나 14579
1코노미: 1인 경제 file 2017.06.03 송경아 13034
200인 원탁토론으로 시민과 함께하는 평택 만들기 file 2017.09.06 황연희 14623
2015 광주 유니버시아드대회 전야제에 ‘EXID, 방탄소년단, 샤이니, 포미닛, 로맨틱 펀치, YB, 알리, 걸스데이 등’총 출동! file 2015.07.05 정은성 27623
2015년 프로야구 개막전, 광주 ‘챔피언스필드’에서 기아타이거즈의 승리! 2 file 2015.03.30 정은성 27877
2015시즌의 시작, 전북현대모터스FC의 출정식이 열리다 2 file 2015.03.06 정보민 25220
2016 K리그 클래식 개막, 8개월간의 대장정 시작 2 file 2016.03.13 한세빈 15721
2016 고양국제꽃박람회, 시민들의 따뜻한 마음 1 file 2016.05.19 홍새미 13573
2016 글로벌 리더십 외국어 경연대회를 다녀와서 ~~ file 2016.06.30 홍준영 14691
2016 리우올림픽 '축구 대표팀' … D-24 1 file 2016.07.13 한세빈 15916
2016 메이커 페스티벌 개최 : 상상이 현실이 되다 1 file 2016.06.19 이예진 13845
2016 불꽃축제 2 file 2016.10.24 우지은 15543
2016 서울 환경영화제(5.6~5.12) 진짜 자연인들이 왔다 file 2016.05.10 이민구 16830
2016 서울세계곤충박람회를 다녀와서 ~~ file 2016.08.14 홍준영 15748
2016 주한 외국 대사관의 날, 광화문 광장에서 지구촌을 담다 file 2016.11.24 김태윤 16439
2016 트렌드, 로즈쿼츠와 세레니티 1 file 2016.03.23 강하윤 29239
2016 프로야구 시작 전 몸풀기 하고 가세요~(롯데자이언츠) file 2016.03.21 김규리 16566
2016굴포천 대청소,환경미화는 선택 아닌 필수 file 2016.10.23 최찬영 15188
2016년 공정무역 축제를 다녀오다 2 file 2016.05.26 이지은 14599
2016년 부산국제영화제를 지켜주세요 file 2016.05.08 안세빈 15413
2016년 제주 수학축전 2 file 2016.10.07 이서연 18715
2016년 주한외국 대사관의 날! 그 축제의 현장 2016.11.15 서지민 16423
2016년 트렌드, 정교한 감각과 평범함의 향연 file 2016.05.22 한세빈 16118
2016년 하반기,영화계에 돌풍이불다 2 file 2016.07.24 최서영 13809
2016년, 세계의 여름을 돌아보자 1 file 2016.09.18 김초영 15536
2017 '사이언스리더스리더(Science Reader's Leader)' 1기 모집 1 2017.05.27 김도연 15045
2017 ISU 피겨스케이팅 선수권대회 4 file 2017.02.18 박승미 15654
2017 KITAS 스마트 디바이스 쇼 1 file 2017.10.16 김진 14640
2017 경향하우징페어 In 킨텍스 file 2017.02.27 장지민 14226
2017 공감영화제, 배리어프리 영화를 아시나요? file 2017.09.08 주진희 15674
2017 남양주 슬로라이프 국제대회 개최! 2017.09.28 신유림 15873
2017 대한민국 LED 산업전과 대한민국 ICT 융합 엑스포 성황리에 마쳐 file 2017.09.22 박광천 16584
2017 독도 골든벨 1 file 2017.10.31 임수민 14009
2017 롤챔스 코리아 스프링 시즌, 막을 내리다. file 2017.04.24 조윤지 15219
2017 마마(MAMA) 시즌의 개막, 라인업부터 눈을 사로잡는다! 2 file 2017.10.27 정현지 16753
2017 민주평통 고등학생 통일골든벨 경북지역 본선대회 개최 1 file 2017.06.25 정명주 16988
2017 서울 모터쇼를 다녀 오다. file 2017.04.18 주건 14250
2017 서울장미축제..."100만여 명 방문 예상" file 2017.05.22 이동우 17280
2017 서울환경영화제, 부스를 둘러보니.. 현재 지구의 환경은 심각.. file 2017.06.02 김홍렬 14155
2017 쇼트트랙 세계 선수권 대회, 한국 선수들에게만 깐깐한 심판들로 인해 억울한 패배를 맛본 한국 선수들? file 2017.03.25 이예성 16246
2017 아시아 최대 '드론쇼' 부산서 개막 10 file 2017.01.19 한태혁 26064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을 소개합니다! 1 file 2017.09.19 홍여준 14116
2017 오토모티브위크 file 2017.10.19 김화랑 13710
2017 올스타 주인공은 나야 나! 1 file 2017.07.18 김채현 131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