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by 구혜진 posted Jul 31, 2014 Views 2187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요즘 청소년들이 흡연하는 연령대가 낮아짐에 따라 길거리나 공원에서 교복을 입은 채 담배를 피는 학생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는 어른뿐만 아니라 학생인 우리에게도 좋지 않은 인상을 준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흡연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제기되었다. 이는 청소년들의 흡연이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말해 주고 있다.

담배를 피우는 행위가 몸에 해롭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아는 사실이다. 그런데 왜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몸을 해쳐가면서 담배를 피우는 것일까? 한 사이트에서는 호기심 때문에, 또래집단과 어울리기 위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멋있어 보이기 위해, 부모님의 영향 등을 청소년 흡연의 이유로 나열하였다. 여기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호기심이다. 2007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흡연 이유를 조사하였는데 남자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각각 61.8%, 50.2% 를 호기심이라고 응답하였고 여학생의 경우 중. 고등학생 각각 61.1%, 58.5% 가 호기심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흡연 문제를 줄이기 위해 담배를 피우는 청소년들에게 무조건적으로 금연을 요구하는 것은 학생들의 반항심을 불러 일으킬 뿐만 아니라 큰 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다. 담배에는 니코틴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다. 이는 마약과 같이 굉장한 중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끊을 것이라고 마음먹는다고 해서 쉽게 금연을 할 순 없다. 만약 담배를 피우고 있다면 피우는 횟수를 점점 줄여가는 것이 적당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요즈음에는 금연에 도움을 주는 상품들과 식품들이 많이 출시가 되고 있는데 이것들의 도움을 받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또한 담배를 사지 않음으로써 모이는 돈들을 차곡차곡 저축하는 습관을 길러 금연에 성공한 사례도 공개 되었으므로 통장을 만들어 저축하는 방법도 금연의 길이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애초부터 흡연을 시작하지 않는 것이다. 일찍이부터 학교에서나 가정에서는 간접흡연의 심각을 강조하면서 담배가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사실을 가르쳐 흡연율을 줄이는데 동참해야 한다. 앞에서 말했듯이 청소년 흡연의 이유 중에 부모님의 영향도 있었다. 부모님들은 스스로 금연을 하시면서 학생들이 담배에서 멀어지게끔 해야 할 것이다.

흡연을 하는 청소년의 연령대가 낮아지고 남학생뿐만 아니라 여학생의 흡연율도 상당히 높다. 청소년들은 호기심에 이끌려 흡연을 하는 것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불쾌할 수 있는 행위가 흡연이다. 지금부터라도 흡연율을 줄이기 위해 우리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562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350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6685
광주도 백신 이송 모의 훈련 진행.. file 2021.02.22 옥혜성 7250
정의당, 앞으로의 미래는? 2021.02.23 김성규 19080
허울뿐인 ‘딥페이크 처벌법’… ‘딥페이크’ 범죄, 막을 수 있을까 3 file 2021.02.23 장혜수 13392
전 세계 백신 접종자 1억 명 돌파. 대한민국은? file 2021.02.25 김진현 13506
LG 트윈타워 청소 근로자 파업농성 50일 훌쩍 넘어가고 있어... 진행 상황은? file 2021.02.25 김예린 7503
가상화폐는 투기적... 주요 인사들의 경고 file 2021.02.26 김민정 7220
코로나19 백신,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어떻게 다를까? file 2021.02.26 김정희 7488
KFX 인니 '손절'? file 2021.03.02 정승윤 8341
바이든 대통령과 첫 한미 정성회담 통화 file 2021.03.02 고은성 6275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7575
코로나19 접종 시작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 file 2021.03.02 오경언 6664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7359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8265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10706
곧 국내에서도 시작되는 코로나 예방 접종… 각 백신의 특징은? file 2021.03.02 김민결 7117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7793
文 대통령, 3 ·1 기념식에서 ‘투트랙 기조, 한·일 관계 회복해야...’ file 2021.03.04 이승열 6622
"말을 안 들어서..." 10살 조카 A 양을 고문한 이모 부부, 살인죄 적용 1 file 2021.03.05 한예진 7920
미얀마 학생들의 간절한 호소 2021.03.05 최연후 8189
김치와 한복에 이어 BTS까지 지적한 중국 file 2021.03.05 박수영 9409
로봇세 부과해야 하나 2021.03.08 김률희 13011
하버드 교수의 ‘위안부’ 비하 발언 file 2021.03.09 최연후 8783
변화하는 금리의 방향성 file 2021.03.10 신정수 8230
#힘을_보태어_이_변화에 file 2021.03.18 김은지 9970
미얀마의 외침에 반응하고 소통하다 file 2021.03.18 김민주 9234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1910
학교폭력 줄이자는 목소리 커지는데...교육 현장에선 ‘개콘’ 우려먹기 file 2021.03.23 박지훈 10969
설탕세 도입 갑론을박 "달콤함에도 돈을 내야 하나","건강 증진을 생각하면.." file 2021.03.25 김현진 8452
11년 만에 한미 2+2 회담 2021.03.25 고은성 8485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속출 file 2021.03.25 심승희 10005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8260
아시아인 증오 범죄가 시발점이 된 아시아인 차별에 대한 목소리 file 2021.03.26 조민영 8629
퇴직연금 수익률 디폴트 옵션으로 극복 가능할까, 디폴트 옵션 도입 법안 발의 file 2021.03.29 하수민 8847
주식청약 방법과 문제점 file 2021.03.29 이강찬 8813
'최대 산유국, 이상적인 무상복지국가, 미인 강국'의 몰락 2021.03.29 김민성 9282
美, 잇따라 아시아인을 겨냥한 범죄 발생… file 2021.03.29 이지연 8960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7569
무너져버린 일국양제, 홍콩의 미래는? 2021.03.29 김광현 8137
월스트리트에 걸린 태극기 - 쿠팡의 미국 IPO 상장 1 file 2021.03.29 양연우 8268
젊은 층이 관심을 두는 투자, 비트코인은 건강한 투자인가? file 2021.03.30 조민서 9299
이집트 수에즈 운하 사고 1 file 2021.03.30 최연후 11167
美 애틀랜타 총격 사건... “내 사람들을 죽이지 마세요” 2 file 2021.03.30 임이레 7970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7495
법무부, ‘벌금형 집행유예’ 활성화 추진..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가 있을까 file 2021.04.02 이승열 9777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7796
[4.7 서울시장 선거] '이분법정치의 패배'...네거티브는 먹히지 않았다 file 2021.04.09 김도원 9121
선거 7번 출마, 허경영…. 서울시장 선거 3위 기록 file 2021.04.12 김민석 8038
민주당, 참패.... 文 대통령의 고민 file 2021.04.12 김민석 59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