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조선의 그린벨트, 성저십리

by 4기최지민기자 posted Mar 01, 2017 Views 1889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그린벨트

Ottawa Greenbelt [이미지 제공=P199]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그린벨트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그린벨트는 개발제한구역이라고도 불리는 곳으로,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 건축물의 개발이 제한되는 지역을 의미하는데요. 최근 국민, 특히 토지 소유자의 이익과 환경보호 중 어느 것을 우선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면서 환경을 위한 구역 그린벨트의 지정 역시 끊임없이 회자되고 있는 문제입니다.


그런데 여러분, 조선시대에도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곳이 있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이는 바로 성저십리라고 불리는 지역입니다.


Finefir2001.JPG


성저십리 [이미지제공=Finefir2001]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성저십리란 한성부 도성에서 10리 이내에 해당하는 지역을 의미합니다. 이곳에서는 금장과 금송이라는 제도가 운영되었는데, 금장은 묘를 조성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고, 금송은 나무, 특히 소나무를 베지 못하게 하는 제도였습니다. 본래 이 지역은 환경을 보호하려는 목적에서 지정되었다기보다는, 도성 내에 주로 거주하는 지배층의 생활을 쾌적하게 하고 그들을 피지배층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역이었습니다. 그러나 금장, 금송 제도로 인해 사람들이 잘 거주하지 않는 구역이 되었고, 결과적으로 생태 보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합니다.


  성저십리에서는 벌목이나 개간, 채굴 등 삼림을 훼손하는 행위를 일체 금지하였습니다. 때문에 한 번은 세도가에서 성저십리의 소나무를 베어 주택을 지은 일로 탄핵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이처럼 한성과 한성에 사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나름의 도시계획 성저십리가 결과적으로 조선시대 자연을 보전하는 데 일조하였습니다. 그린벨트 역시 이처럼 산업과 자본주의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고, 자연을 위하자는 마음으로 보전가치가 있는 곳에 지정되고 보호되었으면 합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최지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유림기자 2017.03.04 15:07
    학교 사회시간에 그린벨트에 대해서 배운 기억이 나네요. 성저십리라는 곳을 통해 이전부터 그린벨트를 시행해 왔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앞으로 그린벨트 구역이 잘 보존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좋은 정보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오경서기자 2017.03.12 10:36
    그린벨트가 조선시대에도 있었고 이를 엄격하게 지켜왔다는 사실이 놀라워요. 오히려 현대에는 사람들이 사업의 이익을 위해 그린벨트를 해제시킬 궁리만 하고있는 것 같아요. 환경보호를 위해 선조들을 본받아 그린벨트를 잘 보존했으면 좋겠어요. 좋은 기사 잘읽었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9073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8839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08022
드림스프링스, 청소년의 꿈을 응원합니다! 1 file 2017.02.27 김보경 547123
[PICK] 삼성전자의 3세대 폴더블 Z Filp 3를 살펴보다 2 file 2021.08.25 김승원 465926
[PICK] 혼자가 더 편한 이들에게 건네는 공감과 위로, 영화 <혼자 사는 사람들> 1 file 2021.08.26 한수민 464850
최초의 유화 애니메이션, <러빙 빈센트> file 2017.11.28 신현민 404344
[포토]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재준 고양시장 인터뷰 진행 file 2020.11.10 디지털이슈팀 279556
[PICK] KBO 역사상 최대 위기, 팬들의 마음은 이미 돌아섰다 file 2021.07.26 지주희 254509
애니메이션 속 숨겨진 명대사 5 file 2020.04.28 권빈 240458
베이킹 속에 숨어있는 과학 원리 file 2018.02.01 정용환 213116
여자배구 대표팀, 2021 VNL 참가 18인 명단 공개...도쿄올림픽 향한 첫걸음 1 file 2021.04.12 김하은 190758
[PICK]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과 화이자 백신 R&D 사업본부, 코로나 백신에 대해 이야기하다 1 file 2021.06.18 이주연 168019
[PICK] '대통령 특별사절 1호 가수' 방탄소년단, "사명감 갖고 긍정과 희망 에너지 전하고파" file 2021.07.26 김수인 167136
[PICK] 쓰레기로 만든 신발 나이키 레디메이드 블레이저 file 2021.07.27 류태영 166543
[PICK] 가까워지는 코로나 종식, 문화생활 시작될까 1 file 2021.06.28 이소현 157533
[PICK] 남자농구 대표팀, 4승 2패로 아시아컵 본선 진출 확정 file 2021.06.28 윤서원 155988
“이게 한국?”...내셔널지오그래픽에 한국인들이 뿔난 이유 file 2021.07.27 박지훈 137770
청소년기자단봉사회, ‘시각장애인·정보소외계층 위한 기사녹음 봉사활동’ 운영 file 2018.10.31 디지털이슈팀 107254
서초구를 뒤흔들다. 2017 서초구 서리풀 페스티벌 file 2017.09.27 김서영 105204
'신흥 강자'로 불리던 게임들이 유독 한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1 file 2020.09.21 김상혁 89207
내가 직접 만들어서 팔아요. 2017.06.30 박승미 83188
프랑스의 깊은 맛, 대표 음식 Top 3 file 2017.10.18 박미진 83029
녹색교육센터, 2022년 글쓰기로 마음을 키우는 숲놀이터 '글꽃숲' 글 모음집 발간 file 2023.01.02 이지원 82356
청소년들에게 일상이 되어버린 비속어 1 file 2017.03.20 김재윤 81003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2813
필환경이 트렌드로 주목되다, 이 변화에 기여한 자들은? file 2020.04.13 남지영 64368
순우리말 간판, 돌아오다. 11 2017.02.22 장나은 56907
FTA의 장점과 단점 file 2017.10.09 최현정 50875
마케팅의 기본, 분석법을 배우자!! file 2016.06.04 김성현 49145
엄마! 소고기는 왜 돼지고기보다 비싸요? 3 file 2019.09.02 김도현 48809
청소년 아이돌 팬덤 문화의 양면성 2017.07.29 정혜원 47728
10대들이 받고 싶어 하는 선물은? file 2020.01.03 이채희 47611
블루투스는 왜 한 개만 연결이 가능할까? file 2021.05.27 장은솔 44540
'탈석탄'을 위한 온라인 엽서 쓰기 4 file 2021.05.24 김태희 44256
대기 중 이산화탄소로 망가져가는 해양을 살릴 수 있는 기술들 1 file 2020.12.31 이지민 44212
성격 유형에 따른 MBTI, 나는 어떤 유형일까? 7 file 2020.07.03 윤소영 44137
자극적인 콘텐츠 속 블루오션, '무자극 컨텐츠 연구소' file 2017.08.01 김재윤 43660
세계의 의식주①: 다양한 전통의상 2018.01.30 김민지 43229
청소년들의 새로운 문화공간, '청소년 클럽' 5 file 2018.03.02 박건목 40915
세계로 나가는 자랑스런 한국의 맛! <제12회 전주국제발효식품 엑스포> 1 file 2014.10.23 최다혜 40723
원숭이와 친해져볼까?! 에버랜드 '몽키밸리 리얼대탐험' file 2015.06.07 김민정 40671
10대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패션 브랜드 '키르시(KIRSH)' 9 file 2019.04.12 김세린 40535
서울시 교육감과 함께한 명덕여고 학생자치법정 1 file 2015.08.11 심희주 40185
사람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 MBTI 1 file 2020.01.03 조은비 40170
새로운 기자단 tong, 시작을 알리다 4 file 2015.07.28 김혜빈 39631
SKY캐슬 예서는 '이기적 유전자'를 이해하지 못했다? 2 file 2019.03.22 이연우 38957
[곰이 문 화과자] ' 2월 ' 문화행사 A to Z 19 file 2016.02.11 박서연 377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